내 20대의 비망록... live long and prosper!

Posted
Filed under 타인의취향/Movie&DVD
드디어 보았습니다. 알렉산더... 많이 망설였지만 조조영화 한 편 값에 3시간을 때울 수 있다면 좀 재미없더라도 큰 손해는 아니라고 생각했지요.

감독은 올리버 스톤, 주연은 콜린 파렐과 안젤리나 졸리, 발 킬머 등이지요. 올리버 스톤이야 뭐낙 유명한 감독이고 문제는 주인공 대왕 '알렉산더'에 콜린 파렐이 적격이냐하는 것이었습니다. 콜린 파렐의 좀 유약해 보이는 이미지는 대왕에게 필요한 카리스마와는 좀 맞지 않았으니까요.

하지만 그런 우려는 영화가 진행되면서 사라지더군요. 올리버 스톤이 그려낸 알렉산더는 카리스마와 정렬이 넘치는 '전쟁광 알렉산더'가 아닌 '이상주의자 알렉산더'였습니다. 그의 스승 아리스토텔레스가 가르친 지나친 절제는 틀리다고 생각하고 적당한 욕망을 추구하는 그런 사람이지요. 영화를 보기 전에는 콜린 파렐의 유약함이 우려가 되었지만 보고 왜 그가 알렉산더로 캐스팅되었는지 이해가 되더군요. 알렉산더, 그의 이상주의, 아슬아슬한 이상을 펼치는 모습을 표현하는데는 콜린 파렐이 적격이었습니다.

3시간 가까이 되는 대작답게, 여러가지 볼거리를 갖고 있습니다. 영화 속에서 다시 살아난 도시 바빌론은 정말 멋지더군요. 황무지 전투씬도 상당히 신경쓴 흔적이 느껴지구요. 마지막 전투씬은 대단하지만 참혹합니다. Vangelis가 참여한 사운드에서는 웅장함이 느껴집니다. Vangelis의 곡이라는 느낌이 좀 강한게 흠이지만 도시와 군대, 자연의 웅장한 광경들과 잘 어울리구요.

알렉산더가 시도했던 '세계시민주의' 그리고 '헬레니즘'이라는 동서문명의 만남, 그의 이상을 보면서 어쩌면 그는 (그가 살던 시대에 비해) 너무 일찍 태어난 이상주의자가 아닌가 합니다. 그 시대에 그가 시도했던 일들이 2천년 이상 지나 이루어지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역시 지나친 이상주의는 주위 사람들을 피곤하게 하고 자신의 목숨까지 위협하지요.

역사적으로 보면 알렉산더는 동방원정에서 돌아와 열병에서 죽었다고 하는데 영화에서는 그의 죽음에 대해 또 다른 이야기로 풀어나가고 있습니다. 그의 탄생은 정확하게 이야기하고 있지는 않지만 아버지 필립의 죽음과 어머니의 야망 등은 그리스 신화 속 이야기와 연관시켜 이야기 되고 있지요.

기대 이상의 괜찮은 영화였습니다. 별은 4개 정도를 주고 싶네요.
2005/01/17 15:39 2005/01/17 15:39

영화에 대해서 적잖이 안 좋은 이야기를 들어왔다. 그러나 필름2.0의 거의 찬양과도 가까운 영화평은 내가 이 영화에 대한 기대를 꺾지 않도록 도와줬다. 상당한 기대를 머금고 찾아간 영화관에서 나는 그 기대에 대한 만족을 충분히 얻을 수 있었다. ..

이 영화를 본 지는 꽤 됐는데, love님의 블로그에 갔다가 생각이 난 김에 간단하게나마 감상을 남겨봅니다. 이 영화를 보게된건 전적으로 단 두명의 영향이 컸습니다. 바로 이 영화의 타이틀 롤을 맡은 콜린 파렐과 감독인 올리버 스톤이 그 이유입니다..

From.BeyonD

영화는 정말 좋았습니다.
조금 다른 관점에서 영화를 바라본 것 같아 트랙백합니다.
제 리뷰에서는 유약하다는 모습은 알렉산더로서의 적격이거든요.
한번쯤 읽어주셨으면 합니다.

love

From.BeyonD 님//정신없이 쓰다보니 글에서 빠졌네요.^^ 영화보기전에는 그 유약함이 우려가 되었지만 보고 나니 이해가 되더군요. 알렉산더, 그의 이상주의, 아슬아슬한 이상을 펼치는 모습을 표현하는데 콜린 파렐이 적격이었습니다.^^

Xypher

음.. 생각보다 후하시군요.
아니, 어떤 의도가 들어간 말은 아닙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서사적인 느낌이 나는 - 가령 [글래디에이터]라거나, [트로이] 같은 것 - 영화를 굉장히 싫어하는 편이라, 요즘처럼 볼 영화 많은 시즌에도 아직 그다지 끌리지 않거든요.
하지만 love님께서 이렇게 호평을 해주시니 기대를 해볼까나요 :) 또 개봉 첫주 성적도 나쁘지 않다고 하니, 설마 그 많은 분들이 전부 돈 버린 것은 아니겠지요..

love

Xypher 님//네. 아무래도 올리버 스톤 감독이 상당히 신경쓴 듯합니다. 단순히 정복자 알렉산더의 모습만을 보였다면 저도 그냥 오락영화로만 생각했겠지만 이상때문에 흔들리는 알렉산더의 모습을 보면서 생각이 달라지더군요. 제 뒤에 앉아 관람하시던 어떤 여자분은 훌쩍훌쩍 울기까지... 글래디에이터는 볼거리말고도 가족애라는 요소가 강했기에 상당히 재밌게 보았지만, 볼거리에 치중한 트로이는 정말 별로였죠.

junspark

미국에서는 실패한 영화라지...

그 이유는 Almost all american says, "Who's the Alexander?"

ㅋㅋㅋ 무식이 극을 달리지...

love

junspark 님//ㅎㅎㅎ 미국인들 너무하네..기초교육의 차이인 것인가? 미국넘들은 너무 자기네 나라만 알아서 그래. 화끈하게 미국에 한번 대 지진이 나야...@@

love님,
부족한 글이지만 love님 글을 보고 생각난 김에 쓴 감상이라서 트랙백 보냈습니다. 괜찮죠?

love님 글 잘 읽었습니다..^^

love

곰 님//네 물론이죠^^ 곰 님 글도 잘았습니다. 원래 낭만곰 님이셨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