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시야가 '태양계 속 태양과 일부 행성들' 수준에만 머무르던 우주개발시대 이전에, '화성'만큼 인간의 상상력을 자극했던 천체가 있었을까? 화성은 오래전부터 밤하늘에 빛나는 붉은빛 때문에 '피'와 관련된 신화와 상징들을 만들어냈고, 근대에는 일반인들도 천체 망원경으로 표면을 관찰할 수 있을 정도 가까운 거리에 있기에 상상력을 더욱 자극해왔던 천체이기도 하다.
19세기 말 '허버트 조지 웰스'의 "우주전쟁(1898년)"이라는, '화성'에 대한 막연한 공포를 담은 소설로 화성을 신화 속에서 현실로 가져왔고, SF 장르의 단골 소재로 가져오게 했다. 이후 20세기에는 꽤 많은 작가들의 화성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내놓았다. 2012년에 헐리우드 영화로 국내에 알려진 "존 카터 : 바숨 전쟁의 서막"도 20세기 초에 발표된, 가상의 '화성'을 배경으로 하는 SF 소설들 가운데 하나이다. 그리고 지금 소개하는 '레이 브래드버리'의 "화성 연대기(the Martian Chronicles)"도 제목처럼 화성을 배경으로 하는 이야기다.
하지만 "화성 연대기"는 SF 소설들과는 분명 다르다. '아이작 아시모프', '로버트 하인라인' 등의 SF 거장들이 과학과 기술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미래를 정교하게 예측한 편이라면, 레이 브래드버리가 이 작품 속에서 그린 '미래의 모습(작품 속 설정 년도로는 21세기의 현재)'에서는 과학적 고찰을 느끼기는 어렵다. 그래서 그의 소설은 SF보다는 환상문학으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일리가 있는 부분이다. '연대기'라는 제목처럼 이 소설은 기승전결로 끝나는 하나의 이야기가 아닌, 느슨한 연관성을 갖는 단편들의 모음집이다. 그리고 '화성'이라는 배경을 지구 위에 있는 '미지의 지역'으로 슬쩍 바꾼다면, '기묘한 이야기'나 '환상특급'에 더 어울릴 만한 단편들이 많다.
사실, 작가는 과학적으로 고뇌보다는 '시대적 비난'을 회피하기 위한 방편으로, 미지의 세계 '화성'을 배경으로 이용해서 현실을 풍자하려 했을 수도 있겠다. "무진기행" 속 가상의 도시 '무진'처럼, 그의 이야기가 펼쳐질 '환상/비현실'과 '현실'이 공존할 수 있는 공간으로 선택된 '화성'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확실히 '화성 연대기' 속 배경과 이야기들은 지금의 우리가 알고 있는 '화성'과 같은 곳이라고 생각하기에는 너무나 아릅답다. 눈물 겹도록 아름다우면서도 비장한 마지막 단편 "백만 년짜리 소풍"이 가장 먼저 쓰여진, 이 연대기가 쓰여지게 한 계기라는데, '대홍수와 방주' 신화에서 모티프를 얻어으리라 생각되는 이 한 편만으로도 작가의 뛰어난 필력과 함께 '인간의 어리석음'에 대한 경고과 풍자를 충분히 느낄 수 있다.
레이 브래드버리가 약 반 세기 전에 예측한 화성 여행이나 지구의 상황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우리 인류는 언제나 그가 예측한 '가장 비참한 결과'에 빠질 위험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 과학적 고찰은 허술하지만, 인류와 현실에 대한 그의 날카로운 인식이 그의 작품의 걸작 반열에 올렸다고 본다. '화성 연대기'에 꽤나 연관성을 갖고 있는 그의 다른 대표적들도 궁금해지는, 책 읽기 좋은 봄의 저녁이다.
2015/03/09 18:46
2015/03/09 1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