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과학서적'이라고 할 수 있는 '오리진(Origins)'은 약 10년 전에 한국어판 발매와 직후 사두었는데, 이제서야 제대로 한 번 읽어보았다. 사실 오래전에 도전했다가, 지루함 때문에 책장에 묵혀두었던 책이기도 하다. 그러다가 작년에 NGC 다큐멘터리 '코스모스(Cosmos)'를 본 기억이 나서, 다시 도전해 봤다. 두 저자 가운데 한 사람인 '닐 디그래스 타이슨'이 바로 '코스모스'의 안내자였기 때문이다.

약 10년이라는 시간만큼 내 독서 스펙트럼도 달라졌을까? 좀 오래 걸리기는 했지만, 꽤 흥미롭게 읽어나갔다. 어린 시절부터 천문학이나 천체물리학에 관심이 많았지만, 사실 그 쪽으로는 '별자리 이야기'나 '그리스/로마 신화' 정도를 빼면 아는 지식이 없었는데, NGC 코스모스와 더불어서 우주에 대한 견문을 넓힐 수 있는 책이었다. '천체물리학'과 '양자물리학'에 대한, 기초적이고 비교적 최근의 지식들을 접할 수 있어서 즐거웠다. 하지만, 확실히 TV 다큐멘터리보다는 깊이가 있는 책이어서, 인력이나 중력 그리고 원자와 분자 등 기본적인 물리화확적 지식이 없으면 쉽지만은 않은 책이다. 고등학교 때 이과였고, 그리도 물리/화학/지구과학을 열심히 공부했던 '과거의 나'에게 고맙고 뿌듯해지는 경험이었다.

10년 전에 끝까지 읽고 더 나아간 책들을 읽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칼 세이건'의 시대보다 더 나아간 지식을 담은 책이지만, 이 책도 지금으로부터는 '10년이나 지난' 지식들이다. 그 10년 동안 얼마나 더 많은 발견과 지식의 발전이 있었을까? 인간에게 아직도 우주는 무한하고 신비롭고 경외롭다. 아주 작은 지구 위에 사는 아주 작은 인간에는 낯선 세계이지만, '신성'과 '초신성'의 폭발이나 '퀘이사' 같은 천체 현상들이 인간 사회의 현상과 닮아있다는 점이 재밌다.

'기원'을 의미하는 '오리진'이라는 제목처럼, 이미 '빅뱅'으로 잘 알려진 우리 우주의 탄생 과정은 꽤 자세히 알 수 있다. 인류의 기원은 무엇인가? 우주에서 인류와 같은 지적 생명체를 찾을 수 있을까? 이런 근본적이고 영원한 질문들의 해답을 위한 작은 실마리들도 담겨 있다. 하지만 그 답을 찾기까지, 인류에게는 갈 길이 아직도 멀다.

많이 읽을 수록 더 많이 알게 되지만, 그만큼 더 모르는 것과 궁금한 것들이 많아진다. 바로 그 점이 독서에 빠져드는 이유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