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IT 업계의 회두는 '헬스케어(Health Care)'다.

애플, 구글, 삼성 등 IT 업계의 공룡들도 미래의 먹거리로 낙점한 상태다.

이 열풍을 자세히 살펴보면, 진원지는 '미국'이다.

미국의 지나치게 높은 '의료비 지출'을 생각하면 열풍의 근원에 대한 답을 생각할 수 있다.

높은 비용으로 의사와의 면담 자체가 어려운 상황에서,

'민간요법과 자가치료'가 'IT와 융합하고 상업화'된 결과물이 바로 헬스케어 열풍이다.

하지만, 생각해보자.

복지가 튼튼한 유럽 국가들처럼 '주치의 제도'가 있을 경우에는

헬스케어 상품에 의존하기보다는 직접 주치의와 만나서 상담하는 쪽이

환자의 만족감도 더 높고, 건강 습관 개선에 대한 동기부여도 더 강할 것이다.

주치의 선에서 해결할 수 없어서 상급 의료 기관으로 의뢰가 필요한 문제들은

최첨단 IT 기술이 모인 '스마트 밴드'라도 별 수 없다.

스마트 밴드는 '건강 관리(헬스 케어)'에서 아주 작은 일부분일 뿐이다.

우리나라의 상황도 비슷하다.

한국처럼 병원의 문턱이 낮은 국가에서는 수십만 원짜리 헬스케어 제품을 살 돈으로,

병원에서 종합 건진 한 번 더 받는 편이 더 '헬스케어적'이리라.

적어도 한국에서는 낮은 의료 수가 덕분에 헬스케어 제품들이 쏠쏠한 재미를 보기가 쉽지 않다.

정부까지 IT와 융합된 헬스케어 산업을 미래 산업으로 천명한 상황은 흥미롭다.

약간의 비약일 수도 있지만,

정부가 헬스케어 산업을 살리기 위해서는 '헬스케어 제품이 의료 서비스와 밥그릇 싸움을 하는 상황'을 없애야하고,

그러려면 '의료 수가를 대폭 올려야 한다'는 '역설적 결론'에 도출된다.

의료비 지출 상승을 유발하는 '의료영리화'를 정부가 밀어붙이는 이면에는

'헬스케어 산업 육성'이라는 기조가 깔려있으리라 유추해 볼 수도 있겠다.

...

물론, 의사로서 헬스케어 산업의 트렌드와 원격 모니터링에 대한 기초적인 소양이야 필요하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