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리버드로 예매해서 수개월을 기대린 끝에 드디어 7월 26일! 금요일이라 휴가까지 내고 달려간 '안산 대부도'. 홈페이지에서 알려준 주차장 주소를 찍고 갔는데 전혀 다른 곳이 나와서 당황했고, 이정표보고 '대부바다향기테마파크'로 갔더니 차량은 못들어간다고해서 당황했다. 다행히 근처 공영주차장에 주차! 어처구니 없게도, 무료인 공영주차장이 유료인 전용주차장보다 가까웠다. 그래서 3만원은 절약! 근데 티켓팅하고도 10분가까이 걸어들어가야 해서 난감했고, 비는 그쳤지만 페스티벌 부지의 절반정도는 질척질척한 진흙탕에 가까워서 또 난감했다.
첫 날은 뜨거운 햇살덕에 힘들었다면, 두 째날부터는 비가 내려서 그마나 말랐던 땅이 더욱 질척해졌다. 바다 근처라서 더욱 습하기까지 해서 날씨는 여러모로 너무 아쉬웠다.
- 디아블로 & 램넌츠오브더폴른
빅탑 스테이지와 그린스테이지에서 연달에 벌어진 하드코어/메탈 계열 밴드들의 공연. 슬램도 벌어지고 메탈매니아들에게는 신나는 자리였을 듯. 첫 날이고 평일 낮시간이라 아직 관객은 적었지만, 분위기를 달구기에는 좋은 라인업이었다.
- 참깨와 솜사탕
어느덧 최근 1~2년사이에 빅밴드로 성장한 '데이브레이크'의 피해자 '참깨와 솜사탕'. 데이브레이크와 겹치는 바람에, 더구나 가장 작은 뉴텐트 스테이지라서 관객은 적었지만, 적당히 달달한 노래들로 굳세게 공연을 마쳤다. 아무래도 참솜은 록페스티벌보다는 GMF나 BML같은 무대에서 더 좋을 듯하다.
- 아시안 체어 샷
두 째날의 첫 밴드였던 '아시안 체어 샷'. 음악보다도 그 뒤에 있었던 기괴한 영상이 더 인상적이었다. 음악은 오프닝으로서 흥을 돋구기에는 충분했다.
- 불싸조
정말 오랜만에 보는 불싸조. 큰 무대에 올랐다는 점보다도 아직도 해체하지 않았다는 점이 더 신기했다. 역시 이 밴드의 음악은 라이브로 들어야 제맛이고, 록페스티벌에서 들으니 더 꿀맛이었다. 음원으로 들었을 때는 그 맛이 안난다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 9와 숫자들
이렇게 큰 무대에서는 처음 만나는 '9와 숫자들'. 시간이 짧았던지라 인기곡 위주로 꾸려갔고, 반응은 좋았다. 하지만 딱 하나 아쉬운 점이 있다면 뜨겁게 싱얼롱할 곡이 없다는 점. 오히려 '그림자궁전' 시절의 곡이 싱얼롱하기에는 더 좋기에, 그림자궁전이 한 5년정도만 더 늦게 활동했더라면 어땠을까하는 아쉬움이 들었다.
- 한희정
확실히 2집의 수록곡들이 록페스티벌에는 그나마 잘 어울렸달까. 페스티벌을 위한 그녀의 신의 한수? 밴드 모두 검은색으로 통일한 의상도 인상적. 얼마전에 보았던 '뮤즈 인시티'와 비슷한 셋리스트였다. '흙'은 참 묘하게 중독적이다.
- Nell & Pia
두 밴드가 같은 날 다른 무대에 섰는데, 공연시간이 10분 정도 겹친 일은 대단히 아쉬운 점이었다. 두 밴드 모두 '괴수인디진'에 들어가서 대중적 인지도와 인기는 올랐겠지만, 개인적으로 그 전의 앨범들이 더 좋았기에 '애증의 밴드'가 되어버린 두 팀이다. 피아가 하드코어/메탈계열의 밴드답게 남성팬들의 반응이 뜨거웠다면, Nell은 여성팬들이 상당히 많았다.
- 이진우
좀 으슥한 곡에 있었던 뉴텐트 스테이지에 오른 또 다른 피해자 '이진우'. 하지만 오랫동안 준비한 1집만큼이나 공연은 안정적이었다. 역시 봄이나 가을 페스티벌에서 보았으면 더 좋았겠다.
- 두번째달
음반은 수 없이 들었지만, 정작 공연은 보지 못했던 '두번째달'을 드디어 보았다. 사실 '록'과는 거리가 있는 밴드인지라 기대보다도 걱정이 앞섰는데, 신나는 곡들로 뜨거운 분위기를 식히는 '소방수'는 되지 않았다. 무엇보다 '얼음연못'을 라이브로 들을 수 있어서 좋았다. 두 번째 앨범을 준비중이라는데, 작년 디지털 싱글로 발표했던 (팬들이 밴드에게 묻고 싶은 말) '그동안 뭐하고 지냈니?'와 가수 '혜이니'와 함께한 곡도 들려주었다. 빨리 나와라 2집.
- 페퍼톤스
수 년 혹은 십수 년후, 록페스티벌의 헤드라이너로 오를 국내 밴드를 꼽으라면 빼먹어서는 안될 밴드로 성장한 '페퍼톤스'. 인기는 꾸준히 좋았지만, 록밴드로서 입지를 확고하게 굳힌 4집은 '신의 한수'였다. 특히 이번 공연에서도 들려주었지만, 싱얼롱하기 좋은 '행운을 빌어요'와 '21세기의 어떤 날'은 앞으로 페스티벌 무대에서는 빠질 수 없는 곡들이겠다. 당연히도 싱얼롱으로 화답한 관객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다만 신재평의 티셔츠에도 적혀있던 'Bikini'를 듣지 못한 점은 좀 아쉬웠다.
기타 잠깐 본 밴드들은 생략한다.
아름다운 혼돈 내 20대의 비망록... live long and prosper!
Search Results for '2013/07'

3 items
2013 안산 밸리 록 페스티벌 후기 -국내편-
- Posted at
- Last updated at
- Filed under 어떤순간에/from live
-
- Tag
- 밸리록페스티벌
Priscilla Ahn - A Good Day (2008)

artist : Priscilla Ahn
album : A Good Day
disc : 1CD
year : 2008
꾸미지 않은 자연을 닮은 우아한 목소리 'Priscilla Ahn'의 debut album 'A Good Day'
Priscilla Ahn, 우리에게는 낮선 이름이었지만 친숙하게 다가올 수 있었던 것은, 그녀가 한국인 어머니와 미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한국계'라는 점일 것이다. 더불어 우리에게는 'Jazz의 명가'로 유명한 label 'Bluenote'이 선택한 Musician이라는 점도 우리의 '묘한 애국심'을 자극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런 배경을 떠나 그녀는 debut album 'A Good Day'가 들려주는 소리들 만으로도 호감을 사기에 충분하다고 하겠다. 우아하면서도 편안한 아름다움이 느껴지는 그녀의 음성은 울창한 숲의 인위적으로 꾸미지 않은 자연스러움과 아늑함을 담고 있다. Folk를 기반으로 하는 이 앨범의 대표곡이라고 할 수 있는 첫 track 'Dream'은 다분히 그녀 내면의 소탈함과 외로움을 담고 있지만 미래에 대한 희망을 그려내어, 마치 외로운 한국계 '촌뜨기'에서 명가 'Bluenote' 소속의 Musician으로 당당히 성장하여 꿈을 이룬 그녀 자신의 이야기를 고백하는 듯하다. 외톨이들이지만 친구가 되어보자고 노래하는 'Wallflower' 역시 쓸쓸함과 희망을 모두 그려낸다. 다른 track들도 마찬가지여서 편안한 분위기를 유지하지만 그 뒤에 존재하는 그림자 역시 놓치지 않는다. 마음이 진정이 되지 않을 때, 조용히 마음을 다독여주는 편안한 그녀의 음성과 함께 마음의 평온을 찾아보는 방법도 좋겠다.
몰락해가던 미국의 'Bluenote'를 살린 사람들이 태평양 건너 일본의 Jazz Mania들이라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일본의 Jazz 사랑은 대단하단다. 그런데 그 이야기가 거짓이 아닌지, 그녀의 discography를 보면 꾸준하게 일본 시장(만)을 겨냥한 EP와 album을 발표해오고 있다. 최근 몇 년사이 국내에도 각종 Music Festival이 많아지면서 그녀도 자주 내한하고 있는데, 한국을 위한 album도 하나 나와주기를 기대해본다.
- Posted at
- Last updated at
- Filed under 타인의취향/with Hi-Fi
-
- Tag
- Priscilla Ahn
9와 숫자들 in 6월 22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연지홀

6월 22일 전라북도 전주에서 있었던 '9와 숫자들'의 단독공연.
최근 인디밴드들의 전국 투어 소식이 많이 들리는데, 몇년 전부터 봄부터 여름까지는 소위 '잘 나가는 인디밴드들'의 전국 투어 시즌(혹은 전국 '수금' 기간)이라고 할 수 있다. '9와 숫자들'도 투어를 해주었으면 좋겠지만 투어 소식이 들리지 않았는데, 전북 전주에 위치한 '한국소리문화의전당'에서 오랜만에 지방 공연을 한다고 해서 찾아갔다. 이 공연은 '아트스테이지 소리'라는 연작공연의 하나로, 여러 인디밴드들을 초대해서 열리는 공연으로, 9와 숫자들은 16번째였다.
주말 공연 시간으로는 좀 늦은, 저녁 7시보다 넉넉하게 도착해서 둘러본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은 '예술의 전당'이 생각날 정도로 겉보기에는 꽤나 크고 근사한 곳이었다. 공연이 열리는 '연지홀'의 규모도 상당했고, 전주 외각에 위치했기에 자가용을 이용하는 방문객들을 위해 주차장도 넉넉했다. 연지홀 공연장 내부도 생각보다는 큰 규모였지만, 이전에 가보았던 지자체가 운영하는 시설들보다는 공연을 즐기기에는 좀 더 좋은 느낌이었다. 보통 지자체의 시설들이 규모는 크지만 인디밴드의 공연보다는 오케스트라나 뮤지컬같이 큰 규모의 공연이 더 잘 어울리는 모습이었다면, 연지홀은 객석의 높이나 무대의 규모가 인디밴드가 공연하기에 더 편해보였다.
관객 구성도 눈에 띄였는데, 보통 홍대 근처에서 공연을 보면 '여자들끼리 온 경우(친구 혹은 팬클럽)', '남녀 커플이 온 경우', 그리고 '남자 혼자 온 경우'정도가 대부분인데, 전주 공연에서는 '남자들끼리 온 경우'와 '가족이 온 경우'까지도 볼 수 있었다. 고등학생이나 대학생정도로 보이는 남자들끼리 온 경우도 있었고, 어머니와 자녀들이 온 경우도 보였다. 이런 다양한 관객 구성은 '9와 숫자들'의 인기를 실감하게 하는 모습이었다.
공연 셋리스트는 작년 말에 보았던 단독 공연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1집과 EP 수록곡, 그리고 '겨울 독수리', '깍쟁이', '북극성'을 들을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인상적인 점은 관객의 반응이 매우 좋았다는 점이다. 전주에서는 9와 숫자들의 인기가 아이돌 그룹 수준인지, 아니면 전주 시민들이 너무나 공연에 목말라 있었는지, 공연 막바지에는 모두 자리에서 일어날 정도로 분위기는 뜨거웠다.(특히 가운데 맨 앞에 앉은 남자 3명의 반응은 최고였다.) 9 의 '맨체스터 댄스'는 그런 분위기를 만드는데 한 몫했다.
당연히 앵콜이 있었고, 뜨거운 분위기에 화답하기 위해, 원래 준비했던 '착한 거짓말들'대신 한 여름에 듣는 캐롤송 '산타클로스'를 들려주었다. 밴드와 관객이 뜨겁게 교감하는 '깜짝 선물'같은 공연이었다. 그리고 9와 숫자들의 치솟는 인기를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가을에는 시간을 내서 전국 투어도 해주었으면 좋겠다.
다만 연지홀은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이라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외형적인 시설에 비해 소리(사운드)는 좀 아쉬웠다. 음량부터가 좀 부족한 느낌이랄까?
- Posted at
- Last updated at
- Filed under 어떤순간에/from live
-
- Tag
- 9와 숫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