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적인 데뷔 앨범을 남기고, 리더의 유학으로 긴 휴식에 들어갔던 밴드 '살롱 드 오수경'이 두 번째 정규앨범을 2015년 8월에 발표했습니다. 전혀 예상하지 않고 있었기에 최근에야 발표 사실을 알았고 들어보았네요.
앨범 자켓부터 살펴보면 1집 "Salon de Tango"와는 전혀 다른 분위기로 "파리의 숨결"이라는 타이틀처럼 '파리(Paris)'의 분위기가 물씬 느껴지는 사진을 선택했습니다. 비가 내린 다음 날의 날씨처럼 구름 낀 하늘과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건물에서는 묘한 평화로움이 느껴지네요.
앨범을 여는 '오라투와'는 프랑스어 'oratoire'로 '기도실'을 뜻합니다. 제목만으로는 경건한 느낌이 들지만, 흥얼거림과 간결한 연주에서는 경건함보다는 미묘한 긴장과 비밀이 느껴집니다. 기도실에서 기도와 함께 홀로 독백하는 '비밀 이야기'가 아닐까요? 제목처럼 1집을 아우르는 '탱고'와는 전혀 다른 분위기입니다.
'슬픈로라'는 제목처럼 쓸쓸하고 애처러운 피아노 연주로 시작합니다. 악기가 하나하나 추가될 수록 연주는 감정의 흐름은 거세져서, 절정을 향합니다. 2분이 되지 않는 짧은 트랙으로, 짧지만 강렬하고 슬픈 꿈과 같은 곡입니다. 기타리스트 'Joon Smith'와 함께한 '파리의 숨결'은 파리의 거리에서 만날 수 있는 '거리의 악사'가 연주할 법한 흥겨운 기타 연주로 시작합니다. 방랑 혹은 유랑 악단을 떠오르게 하는 기타와 아코디언의 조합은, '파리'라는 도시가 주는 낭만과 고독, 그리고 비애를 담아냅니다.
'장난감 병정의 비행'은 처음 듣지만, 들어본 듯한 기시감을 주는 트랙입니다. 장난감 병정을 연상시키는 태엽 돌아가는 소리와 어린 시절의 묘한 기억을 떠올리는 오르골 소리로 시작해서 부드러운 현악으로 이어지는 구성은. '탱고'가 테마였던 지난 앨범과는 확연한 차이를 들려주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이런 부드러운 낭만은 어쩐지 밴드 '두번째 달'의 프로젝트였던 'Alice in Neverland'를 떠오르게 합니다.
이어지는 네 트랙 '놀이동산', '원더랜드', '뮤직박스', '회전목마'는 (이 블로그에서도 소개했던) 리더 오수경이 밴드를 결성하기 전에 발표했던 소품집 "시계태엽 오르골"를 통해 발표했던 곡들로, 이번 앨범을 통해 4중주로 되살아 났습니다. 첫 세 트랙들과는 또 다른 분위기의 곡들이기에, 한 가지 테마를 갖고 진행되던 전작과는 비교가 되면서, 이 앨범을 '소품집'처럼 들리게 합니다.
앞선 '장난감 병정의 비행'에 이어지는 느낌을 주는 '놀이동산'은 '어린 시절 일상의 소소한 즐거움'이었던 놀이동산에 대한 기억을 새록새록 떠오르게 하는 따스한 곡입니다. 하지만 이어지는 '원더랜드'의 시작은 손님이 모두 떠나고 불도 꺼진 놀이동산처럼 처량한 느낌을 줍니다. 어린 시절 꿈꾸던 '원더랜드'는 결국 세상에 없다는 사실을 깨닳게 되는, 아이가 어른으로 성장하면서 느끼게 되는 어떤 '상실감'으로 시작하지만, 결국 자신만의 또 다른 '현실 속의 원더랜드'를 찾게되는 해피엔딩으로 마무리합니다.
'뮤직박스'는 1분이 조금 넘는, interlude라고 할 수 있는 트랙으로, 현악 덕분인지 원곡과는 꽤 다른 느낌입니다. 원곡은 앨범의 마지막 곡으로 꽤나 쓸쓸한 분위기가 강했는데, 새로운 편곡의 뮤직박스는 우아하고 고풍스럽습니다. 이어지는 마지막 트랙 '회전목마'도 기묘한 분위기였던 원곡과는 다른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역시나 '홀로 도는 텅빈 회전목마'는 느낌인데, '모든 열정이 식어버린 뒤 남은 집착의 광기가 불러온 새드 엔딩'라고 할 수도 있을 만큼, 독특합니다. '뮤직박스'와 '회전목마', 두 곡에서는 '박찬욱' 감독의 여러 영화에서 음악을 담당했던 '조영욱' 음악감독의 디스코그라피가 떠오르게 하는 점도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구성으로 진행되었던 데뷔앨범과는 달리, 수록곡들의 다양한 분위기 때문에 정규앨범보다는 한 템포 쉬어가는 '소품집'의 느낌이 강합니다. 더구나 수록곡의 절반이 리메이크된 곡들이기 때문에 더 그렇습니다. 하지만 밴드 '살롱 드 오수경'의 새 앨범을 기다려온 팬들에게는 충분히 기다림의 선물이 될 만한 곡들이고, 전작의 탱고에 거부감이 있을 수 있는 일반 청자들에게도 더 대중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곡들입니다. 이제 팬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바로 '공연'이 아닐까 하네요. 별점은 3.5개입니다.
아름다운 혼돈 내 20대의 비망록... live long and prosper!
Search Results for '살롱 드 오수경'
2 items
살롱 드 오수경 - 파리의 숨결
- Posted at
- Last updated at
- Filed under 타인의취향/Song&Album
살롱 드 오수경 - Salon de Tango
'탱고(tango)'를 생각하면 대표적으로 떠오르는 이미지는 '고혹적인 아름다움'과 '열정적인 사랑' 그리고 '비극적인 결말'입니다. 하지만 그런 연상의 이유가 '왜?'인지 정확하게 설명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어떤 부분은 '탱고'라는 단어가 열정적인 '춤'을 의미하는 동시에 비극이 공존하는 '춤곡'도 의미하는 점에서 왔을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과거부터 현재까지 수 많은 영화들 속에서 탱고가 그런 장면들에 삽입되었기에 발생하는 일종의 '조건 반사'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또는, 역사적으로 여러 민족의 침략과 이주가 이어진 아르헨티나의 '역사적 굴곡'으로부터 탱고 속에 스며든 '희노애락'이 듣는이에게 전달되었을 수도 있겠습니다. 그리고 그 희노애락은 역사를 통틀어 꽤 많은 외세의 침략을 겪은 우리민족의 감정과도 닿아있는 부분입니다. 어찌 되었든, '탱고'는 우리에게 역사적/지리적으로는 꽤 멀지만, 감정적/감상적으로는 또 그다지 멀지만은 않게 느껴집니다.
홍대 인디밴드들의 키보드 세션으로 더욱 유명한 '오수경'의 2012년 9월 발표한 개인 소품집 "시계태엽 오르골"은 '키보드 세션'이 아닌 '솔로 뮤지션'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 앨범이었습니다. 여섯 트랙의 EP "시계태엽 오르골"은 연주곡만을 수록하고 있지만,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처럼 독특한 그녀의 음악 세계를 들려주는데 부족함이 없었고 당연히도 그녀의 다음 앨범이 궁금해졌습니다. 그렇게 약 1년이 지난 2013년 10월 그녀는 새로운 앨범을 발표했습니다. (저는 2014년 3월에 앨범의 존재를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앨범은 '오수경'이라는 이름의 솔로 앨범이 아닌 '살롱 드 오수경'이라는 독특한 이름을 가진 밴드의 앨범이었습니다.
"살롱 드 오수경"은 전곡을 작곡한 피아니스트 '오수경'을 중심으로 바이올리니스트 '장수현', 첼리스트 '박지영', 그리고 청일점 베이시스트 '고종성'으로 구성된 4중주(quartet) 밴드입니다. 우리말로 '오수경(의) 살롱' 정도가 될 밴드 이름에서부터 독특한 분위기가 느껴집니다. 앨범 제목도 밴드 이름과 비슷한 "Salon de Tango", 즉 '탱고 살롱'으로 '장르는 탱고'라고 분명하게 표현합니다. 여성의 목덜미를 보여주는 사진도 흥미롭습니다. 목걸이를 하는 거친 손이 연주자라고 짐작되는데, 무대에 오를 준비를 하는 그 마지막 순간의 뒷모습에서 '비장함' 혹은 '비장한 결의'가 느껴집니다.
첫 트랙 'The Salon is open'은 제목 그대로 앨범 "Salon de Tango"를 시작하는 곡입니다. 앞으로 이 salon에서 펼쳐질 이야기를 전혀 예측할 수 없게 하려는지, 피아노 연주는 '영화 상영에 앞선 예고편'처럼 경쾌하며서도 간결합니다. 곳곳에 사용된 꾸밈음은 간결하지만 투박하지 않은, 섬세함을 더합니다. 본격적인 이야기를 시작하는 '만남'은 필연적으로 '사랑 그리고 이별'을 예감하게 합니다. 전체적으로 연애세포을 간지럽히는 봄 바람처럼, 혹은, 그 봄 바람에 살랑이는 꽃잎처럼 나긋나긋합니다. 그 나긋나긋한 멜로디 속에서도, 불협화음처럼 어긋난 끝음은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게 합니다. 그리고 도입부의 삐걱거리고, 두드리고, 끍는 소리들도 주목할 만한 장치입니다. 그 효과들이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시작처럼 작은 소동이라면 '인연의 발단'일 수도, 혹은 '필연적인 이별의 복선'일 수도 있습니다. '관음증'이라는 제목은 탱고의 이미지 가운데 하나인 농밀한 '에로티시즘(eroticism)'을 상기시킵니다. 영화 "그녀에게"에서 훔쳐보는 장면들이 떠오르기도 하는데, 이 '훔쳐보기'는 '색정적'인 느낌보다는 서글픈 구석이 있습니다. 닿을 수 없는 존재에 대한 슬픔과 닿을 수 없는 상황에 대한 고독이 그 서글픔의 발로가 아닐까요?
'서로에게 길들여지기'의 도입부에서 피아노에서 바이올린으로 이어지는 돌림노래같은 반복은, 두 사람의 '동화(同化)'가 시작되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그 길들여짐은 평탄하지 않습니다. 완급의 변화는 그 과정에서 반목과 화해가 반복되는 상황를 암시하는 듯합니다. '사랑의 인벤션'은 다음 트랙의 전주라고 할 수 있는 짤막한 피아노 연주입니다. 사랑의 설렘처럼 들리기도 하지만, '찬란하게 타오르기 위한 잔잔한 예열' 혹은 '폭풍전야의 고요한 평온함'일 수도 있습니다. '열정적인 사랑'은 제목과는 다르게 활활 타오르기만 하지는 않습니다. 그 안에는 우아함과 고혹, 비애와 격정까지 모두 녹아있습니다. 그리고 그 감정들이 차곡차곡 쌓여서 찬란하게 타오르는 열정적인 사랑으로 결실을 맺습니다. 하지만 사랑이 뜨거웠던 만큼, '이별'은 차갑습니다. 하지만 그 이별의 모습을 '과장된 비극'으로 포장하기 보다는, 담담하고 쓸쓸하면서도 우아한 기품과 멜랑콜리한 분위기를 유지하는 점은 이 곡의 미덕입니다.
'뫼비우스'는 '만남과 이별', '열정과 냉정'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사랑의 역사'를 의미하리라 생각됩니다. 긴장감있게 몰아치는 연주와 느릿한 연주가 교차되는 구성은 그런 '순환'을 표현합니다. 시작과 끝이 연결되고 안과 밖을 구분할 수 없는 '뫼비우스의 끈'처럼, 이별이 남기는 허무함을 알면서도 끊임없이 사랑이라는 불빛을 좇는 모습은 인간의 어리석은 본성일까요? '만남'의 철자를 풀어보면 'ㅁㅏㄴㄴㅏㅁ'으로 마지막 철자부터 거꾸로 써도 같은 '만남'이 되는 회문(palindrome)이라는 점이 재밌습니다. 시작과 끝이 같으니, 남이었던 두 사람의 인연이 닿는 만남에 있어서 다시 남이 되어야 하는 이별은 피할 수 없는 종착역일 수도 있겠습니다. 'Goodbye'는 마지막 쓸쓸한 미소와 같은 결말이지만, 집으로 돌아와서는 이불 속에 파묻혀서 울어버렸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마지막 여운을 남기는 piano solo 버전의 '관음증'은 혹시 오수경의 솔로 욕심이 담긴 트랙일까요?
밴드의 리더로 이 앨범에 수록된 모든 곡을 작곡한 오수경 그녀이지만, 연주에 있어서는 과욕을 부리지 않은 점은 이 밴드가 만들어지고 이 앨범이 나올 수 있었던 가장 큰 원동력이라고 보입니다. '탱고'의 대표적인 악기로 '반도네온'이 떠오르는데, 반도네온이 없는 '피아노 4중주' 밴드에서 소리의 중심은 '바이올린'같이 날렵한 음색의 악기가 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녀도 그런 점을 받아들이고 소리의 중심에서 물러나 조율의 역할을 한 점은, 그녀의 탁월한 작곡 능력 그리고 멤버들의 탄탄한 연주 실력과 함께, 이 앨범이 연주 앨범으로는 기대 이상으로 성공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입니다. 이런 그녀의 현명한 선택은 오랜 시간동안 다른 뮤지션들의 키보드 세션을 했던 경험이 묻어나온 부분이 아닐까 합니다. 이제 '살롱 드 오수경'의 리더이자 작곡자로서 그녀를 또렷하게 기억해야 겠습니다. '살롱 드 오수경'의 행보가 이 앨범 한 장에 그치지 않고 꾸준히 이어지기를 기대해 봅니다. 별점은 4개입니다.
홍대 인디밴드들의 키보드 세션으로 더욱 유명한 '오수경'의 2012년 9월 발표한 개인 소품집 "시계태엽 오르골"은 '키보드 세션'이 아닌 '솔로 뮤지션'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 앨범이었습니다. 여섯 트랙의 EP "시계태엽 오르골"은 연주곡만을 수록하고 있지만,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처럼 독특한 그녀의 음악 세계를 들려주는데 부족함이 없었고 당연히도 그녀의 다음 앨범이 궁금해졌습니다. 그렇게 약 1년이 지난 2013년 10월 그녀는 새로운 앨범을 발표했습니다. (저는 2014년 3월에 앨범의 존재를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앨범은 '오수경'이라는 이름의 솔로 앨범이 아닌 '살롱 드 오수경'이라는 독특한 이름을 가진 밴드의 앨범이었습니다.
"살롱 드 오수경"은 전곡을 작곡한 피아니스트 '오수경'을 중심으로 바이올리니스트 '장수현', 첼리스트 '박지영', 그리고 청일점 베이시스트 '고종성'으로 구성된 4중주(quartet) 밴드입니다. 우리말로 '오수경(의) 살롱' 정도가 될 밴드 이름에서부터 독특한 분위기가 느껴집니다. 앨범 제목도 밴드 이름과 비슷한 "Salon de Tango", 즉 '탱고 살롱'으로 '장르는 탱고'라고 분명하게 표현합니다. 여성의 목덜미를 보여주는 사진도 흥미롭습니다. 목걸이를 하는 거친 손이 연주자라고 짐작되는데, 무대에 오를 준비를 하는 그 마지막 순간의 뒷모습에서 '비장함' 혹은 '비장한 결의'가 느껴집니다.
첫 트랙 'The Salon is open'은 제목 그대로 앨범 "Salon de Tango"를 시작하는 곡입니다. 앞으로 이 salon에서 펼쳐질 이야기를 전혀 예측할 수 없게 하려는지, 피아노 연주는 '영화 상영에 앞선 예고편'처럼 경쾌하며서도 간결합니다. 곳곳에 사용된 꾸밈음은 간결하지만 투박하지 않은, 섬세함을 더합니다. 본격적인 이야기를 시작하는 '만남'은 필연적으로 '사랑 그리고 이별'을 예감하게 합니다. 전체적으로 연애세포을 간지럽히는 봄 바람처럼, 혹은, 그 봄 바람에 살랑이는 꽃잎처럼 나긋나긋합니다. 그 나긋나긋한 멜로디 속에서도, 불협화음처럼 어긋난 끝음은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게 합니다. 그리고 도입부의 삐걱거리고, 두드리고, 끍는 소리들도 주목할 만한 장치입니다. 그 효과들이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시작처럼 작은 소동이라면 '인연의 발단'일 수도, 혹은 '필연적인 이별의 복선'일 수도 있습니다. '관음증'이라는 제목은 탱고의 이미지 가운데 하나인 농밀한 '에로티시즘(eroticism)'을 상기시킵니다. 영화 "그녀에게"에서 훔쳐보는 장면들이 떠오르기도 하는데, 이 '훔쳐보기'는 '색정적'인 느낌보다는 서글픈 구석이 있습니다. 닿을 수 없는 존재에 대한 슬픔과 닿을 수 없는 상황에 대한 고독이 그 서글픔의 발로가 아닐까요?
'서로에게 길들여지기'의 도입부에서 피아노에서 바이올린으로 이어지는 돌림노래같은 반복은, 두 사람의 '동화(同化)'가 시작되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그 길들여짐은 평탄하지 않습니다. 완급의 변화는 그 과정에서 반목과 화해가 반복되는 상황를 암시하는 듯합니다. '사랑의 인벤션'은 다음 트랙의 전주라고 할 수 있는 짤막한 피아노 연주입니다. 사랑의 설렘처럼 들리기도 하지만, '찬란하게 타오르기 위한 잔잔한 예열' 혹은 '폭풍전야의 고요한 평온함'일 수도 있습니다. '열정적인 사랑'은 제목과는 다르게 활활 타오르기만 하지는 않습니다. 그 안에는 우아함과 고혹, 비애와 격정까지 모두 녹아있습니다. 그리고 그 감정들이 차곡차곡 쌓여서 찬란하게 타오르는 열정적인 사랑으로 결실을 맺습니다. 하지만 사랑이 뜨거웠던 만큼, '이별'은 차갑습니다. 하지만 그 이별의 모습을 '과장된 비극'으로 포장하기 보다는, 담담하고 쓸쓸하면서도 우아한 기품과 멜랑콜리한 분위기를 유지하는 점은 이 곡의 미덕입니다.
'뫼비우스'는 '만남과 이별', '열정과 냉정'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사랑의 역사'를 의미하리라 생각됩니다. 긴장감있게 몰아치는 연주와 느릿한 연주가 교차되는 구성은 그런 '순환'을 표현합니다. 시작과 끝이 연결되고 안과 밖을 구분할 수 없는 '뫼비우스의 끈'처럼, 이별이 남기는 허무함을 알면서도 끊임없이 사랑이라는 불빛을 좇는 모습은 인간의 어리석은 본성일까요? '만남'의 철자를 풀어보면 'ㅁㅏㄴㄴㅏㅁ'으로 마지막 철자부터 거꾸로 써도 같은 '만남'이 되는 회문(palindrome)이라는 점이 재밌습니다. 시작과 끝이 같으니, 남이었던 두 사람의 인연이 닿는 만남에 있어서 다시 남이 되어야 하는 이별은 피할 수 없는 종착역일 수도 있겠습니다. 'Goodbye'는 마지막 쓸쓸한 미소와 같은 결말이지만, 집으로 돌아와서는 이불 속에 파묻혀서 울어버렸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마지막 여운을 남기는 piano solo 버전의 '관음증'은 혹시 오수경의 솔로 욕심이 담긴 트랙일까요?
밴드의 리더로 이 앨범에 수록된 모든 곡을 작곡한 오수경 그녀이지만, 연주에 있어서는 과욕을 부리지 않은 점은 이 밴드가 만들어지고 이 앨범이 나올 수 있었던 가장 큰 원동력이라고 보입니다. '탱고'의 대표적인 악기로 '반도네온'이 떠오르는데, 반도네온이 없는 '피아노 4중주' 밴드에서 소리의 중심은 '바이올린'같이 날렵한 음색의 악기가 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녀도 그런 점을 받아들이고 소리의 중심에서 물러나 조율의 역할을 한 점은, 그녀의 탁월한 작곡 능력 그리고 멤버들의 탄탄한 연주 실력과 함께, 이 앨범이 연주 앨범으로는 기대 이상으로 성공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입니다. 이런 그녀의 현명한 선택은 오랜 시간동안 다른 뮤지션들의 키보드 세션을 했던 경험이 묻어나온 부분이 아닐까 합니다. 이제 '살롱 드 오수경'의 리더이자 작곡자로서 그녀를 또렷하게 기억해야 겠습니다. '살롱 드 오수경'의 행보가 이 앨범 한 장에 그치지 않고 꾸준히 이어지기를 기대해 봅니다. 별점은 4개입니다.
- Posted at
- Last updated at
- Filed under 타인의취향/Song&Alb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