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t We Forget, the best of -Marilyn Manson



이 만큼이나 사람들로 부터 엄청난 사랑과 또 그 만큼의 증오를 동시에 받는 뮤지션이 있을까?

작년에 우리나라에서 2장의 앨범(정규 앨범과 투어 기념 앨범)을 발매했던 Marilyn Manson, 올해는 그냥 넘어가나고 내년쯤 새앨범이 나오려나 생각하고 있었는데 의외의 새로운 앨범이 나왔다. 사실 새로운 앨범이라고 하기에는 좀 껄끄럽다. 새로운 싱글하나만를 추가한 베스트 앨범이니 말이다.

지금까지 베스트 앨범 없이 정규앨범 6장과 라이브앨범 1장만을 발표했던 Marilyn Manson이기에 이번 베스트 앨범은 의미가 크다. 앨범 타이틀은 'Lest We Forget, the best of'....'우리가 잊지않게 하려고 나온 베스트'라고 해야하나?

총 18곡의 수록곡들의 구성을 살펴보자면, 우선 1집 'Portrait Of An American Family'와 2집 'Smells Like Children'에서는 각각 2곡과 1곡씩 밖에 포함되었다. Manson을 좋아하는 나도 갖고있지 않고 굳이 들어보려고 하지 않은 앨범들인데 아직 Manson만의 색깔이 확립되지 않은 시기였다고 한다. 'Sweet Dream'은 Manson의 너무 유명한 곡이기 때문에 알고 있지만 'Lunchbox'와 'Get Your Gunn'에서 Manson의 조금 앳된 목소리를 들으니 기분이 묘했다.(고는 하지만 사실 목소리에 차이는 거의 없었다. Manson의 Sweet Dream이 리메이크 곡이긴 하지만 요즘 모 휴대폰 광고에서 나오는 Sweet Dream은 들어도 들어도 너무 낯설다. Manson의 전혀 Sweet하지 않은 목소리로 Sweet를 들어야 Sweet하게 느껴진다고 할까?)

Manson의 3부작-순서대로 Antichrist Superstar, Mechanical Animals, Holy Wood-에서는 각각 3곡, 2곡, 4곡이 포함되었는데, Manson의 최대 히트작이라 불릴만한 Mechanical Animals에서 2곡밖에 뽑히지 않은 것은 정말 의외였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어두운 분위기보다는 흥겨운 곡들과 발라드 같은 곡들이 트랙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Mechanical Animals이기에 지나치게 흥겨운 곡들이 선택되었다면 베스트 앨범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흐릴 수도 있었을 것이다. 영화 'the Matrix'의 OST에도 수록되면서 우리나라에도 많이 알려진 'Rock is Dead'와 흐물러거리는 느낌의 'The Dope Show'... 정반합의 변증법처럼 앞의 두 앨범의 융합에 의해 완성되었다고 평해진는 Holy Wood의 4곡들은 Manson의 팬이라면 누구나 선택할만한 4곡이었다. Manson의 3가지 적(敵)-Gun, God, Government-를 외치는 구호가 인상적인 'The Love Song', Manson교의 주기도문이라 불리는 'The Fight Song', 콜럼바인 총기의 원흉으로 몰린 것에 대한 분노를 담은 'Disposable Teens' 그리고 꽤나 애상적인 'The Nobodies'...Manson을 Superstar로 만든 Antichrist Superstar에서 선택된 2곡은 너무나도 유명하리라 생각되는 'The Beautiful People'(나도 이곡을 듣고 Manson에 빠져들게 되었다.), 너무나 강력한 후반부가 인상적인 'The Reflecting God' 그리고 곡의 분위기만으로는 Manson의 곡이라고 생각되지 않는'Tourniquet'...

가장 최근 앨범, 'The Golden Age Of Grotesque'에서는 단순하면서도 강렬했던 'This is the new shit'을 포함해 3곡이 선택되었고 나머지 2곡은 Manson이 참여했던 OST에서 선택되었다. 'This is the new shit'은 'Matrix : reloaded'의 OST로 먼저 소개되어 비슷한 시기에 발매된 새앨범에 대한 기대를 한 껏 부풀렸던 곡이다. 'Tainted Love' 이곡도 우리나라에는 개봉되지 않은 영화 'Not Another Teen Movie'의 OST 수록곡으로 MV만큼이나 매력적인 곡이다.

마지막으로 신곡 'Personal Jesus'는 리메이크 곡이지만 베스트 앨범의 전체적인 분위기에 잘 녹아들어가는 곡이라고 생각된다.

부클릿을 살펴보면 최근 4개의 앨범 활동을 하면서 모여진 사진들이 가득 실려있다. 그리고 4개의 마크가 나란히 그려져있다. 팬이라면 모두 아시리라. Antichrist Superstar부터 The Golden Age Of Grotesque까지 4장의 앨범을 상징하는 마크들이다. Manson이 이 4장의 앨범에 얼마나 애착을 갖고 있는지 대충 짐작이 가는 부분이다. 또 주목해야 할 부분은 맴버 소개가 나오는 부분이다. 전작에서 밴드의 곡을 만들어 가던 'Twiggy Ramirez'의 이름이 빠져 있었다. 하지만 다행히 또 다른 맴버 Jonh 5의 활약으로 Ramirez의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번 베스트에는 Jonh 5의 이름마저도 빠져있다. 그는 또 무슨 일로 밴드를 탈퇴한 것인지...앞으로 나올 Marily Manson의 새앨범에 대하여 기대보다는 걱정이 앞선다.

Manson의 음악 인생의 정리하는 앨범으로 그의 변화와 일관성 동시에 볼 수있는 앨범이랄까? 별은 5개를 주고 싶다. 하지만 Manson의 팬으로서의 욕심이라 생각하고 4.5개로 하련다.

그리고 보니 The Golden Age Of Grotesque에 이어 이번 앨범에도 보너스 DVD가 빠졌다. 또 심의를 통과하지 못했는지... 정말 한국에 산다는 것이 억울하다고 밖에 할 수 없겠다.
2004/10/10 21:49 2004/10/10 21:49

너무 이쁜 씨디 - J의 The Crush of Love

'제이'의 새앨범을 냈다. 벌써 그녀의 정규앨범은 한쪽 손의 손가락을 모두 채울 만큼 나와서 이번이 다섯번째 앨범 거의 2년만에 나온 앨범라서 그런지 앨범 디자인에도 상당히 신경을 쓴 듯하다. 그리하여 이 이쁜 CD를 소개해 볼까 한다.



싸인 씨디로 구했다. 싸인이 있으면 소유욕을 자극한다. 흑...
씨디케이스로 되어있지 않고 작은 수첩 모양으로 되어있다. 제본되어있는 쪽은 붉은색 테이프 비슷한 것으로 보강해서 튼튼하게 보이긴하나, 역시나 확 펴보기에는 부담이 된다. 위에서보면 접착제로 붙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ㅜ.ㅠ

제이 씨디케이스 더보기

2004/10/10 21:45 2004/10/10 21:45

M-boat, 그들은 행진은 어디까지 계속 될 것인가?


몇년째 끝을 모르는 음반업계 장기 불황 속에 시작해 몇 안되는 소속가수들로 상당한 성공을 거둔 회사, M-boat...

작년, '휘성' 2집과 '빅마마(Big Mama)' 1집의 대성공으로 R&B/Hip-Hop 씬에서 대표적인 기획/제작사로 입지를 굳혔다고 할 수 있겠다.

1집의 발라드풍의 R&B '안되나요..'와는 180도 다른 정말 깜짝 놀랄만한 타이틀 곡 'With Me' 그리고 이어지는 '다시 만난 날'과 'I'm misiing you'로 이어지는 강하고 다양한 스펙트럼의 2집으로 46만장을 넘긴 '휘성'과 외모가 가창력보다 중시되는 우리나라 가요계에서 통념을 깨고 가희 인간 승리의 감동의 드라마를 보여주는 듯, 36만장이라는 예상외의 대단한 판매고를 올린 '빅마마'가 2003년 M-boat 성공의 쌍두마차였다.

희망 속에 시작된 2004년, 하지만 잘 나가던 M-boat에도 불운의 그림자가 드리워졌다. M-boat는 남성 솔로 '휘성', 여성 그룹 '빅마마', 여성 솔로 '거미'에 이어 4번째 4인조 남성 그룹 '원티드(wanted)'의 1집으로 가요계에 포문을 열었다. 4가 겹쳤던 탔일까? 데뷰 100일도 안되서 생긴 불의의 사고, 그리고 멤버 한명의 상실...

그리고 9월 말 거미의 2번째 앨범이 발매되었다. 거미는 작년 1집을 냈지만, 신인치고 꽤나 괜찮았던 앨범의 완성도에 비해(혹은 휘성과 빅마마의 성공에 가려) 10만장에 못미치는 (신인치고는 괜찮았지만 'M-boat 소속의 신인'치고는 저조한) 판매량을 올렸었다. 그런 기대와 우려 속에 발매된 거미의 2집...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우려는 말끔히 씻어낼 만한 대중을 현혹시킬 만한 화려한 스펙트럼과 상당한 완성도(혹은 음악성)과 대중성을 가진, 한마디로 '대박'이었다. 작년처럼 의외의 앨범(작년의 '더더'의 4집처럼)이 등장하지 않는 이상 '제2회 한국대중음악상'에서 올해의 가수(여자) 부문에서의 수상은 '따 놓은 당상'으로 보여진다.

거미 2집의 인상적인 성공은 아마 같은 소속의 동료인 '휘성'과 '빅마마'의 작년의 큰 성공이 한 몫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먼저 M-boat 가수들의 R&B의 특징을 본다면, 소위 말하는 R&B창법(많은 R&B가수들이 보여주는 기교)보다는 우리나라 대중의 귀를 사로잡을 만한 풍성한 음성과 가창력을 중심으로 승부하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작년의 '휘성'과 '빅마마'의 연이은 성공으로 대중의 귀를 '휘성', '빅마마' 그리고 '거미'가 공유하고 있는 그 점에 맞추어 놓았다고 생각된다. 또 다양한 장르를 한 앨범에 보여 주었던 휘성의 2집의 성공으로 M-boat가 '거미'의 앨범에서의 비슷한 시도가 충분히 먹혀들 수 있으리라는 것을 확신하게 했다고 생각한다. 어찌보면 '휘성'과 '빅마마'가 힘차게 닦아 놓으면서 날아간 활주로를 타고 '거미'가 활짝 날아오를 수 있었던 것이라고 할까?

또 M-boat와 YG의 연합전선도 빼놓을 수 없겠다. Win-Win 전략으로 연합을 형성한 R&B/Hip-Hop계의 두 제작사의 연합은, M-boat가 YG의 공고한 입지와 상대적으로 많은 뮤지션들로 약간 더 이익을 본 듯 하지만 '휘성'과 같은 확실한 한방을 가진 뮤지션이 없던 YG측에서도 이익을 본 성공적인 연합이라고 생각된다.

이번 거미의 새 앨범을 보면 M-boat와 YG 소속의 뮤지션들의 이름이 featuring 뿐만 아니라 작사, 작곡까지 앨범을 화려하게 수놓고 있다. 거미의 2집이 M-boat와 YG에서 나온 앨범들 중 이 연합전선의 위력이 가장 여실히 나타나는 앨범이 아닐까한다. '휘성' 2집이 휘성의 현란한 원맨쇼를 100% 보여주면서 풀어나간 앨범이 었다면 '거미' 2집은 이 연합전선의 결속이 만발하여 풀어나가는 앨범이라 보인다.

거미 2집의 인기는 음반판매량만 어느 정도 받쳐준다면 롱-런하지 않을까한다. 이달 중순에는 '드디어' 휘성의 3집도 발매된다고하니 M-boat의 승승장구는 내년 초까지 식지 않을 듯하다. 이런 M-boat의 화려한 행보는 계속될 것인가? 영원한 것은 없다. 그리고 한번에 화려하게 핀 꽃일 수록 한꺼번에 져버리게 마련이다. M-boat도 그런 이치를 벗어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누구나 할 수 있는 말이지만) M-boat가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고 뛰어난 신인들을 꾸준히 배출하고 YG와 연합전선에 금이 가지 않는 한 21세기의 첫번째 10년은 M-boat의 무대가 되지 않을까 한다.

여담으로 휘성 1집은 타이틀은 'Like A Movie', 빅마마 1집은 'Like The bible', 거미 1집은 'Like Them', 원티드 1집은 'Like The First'였다. ('Like The First'라니 왠지 가슴이 아프다. 1집으 원티드의 처음이자 마지막, 언제나 첫번째 앨범이 되어버린 것은 아닌지...) 그리고 휘성의 2집이 'It's Real', 거미의 2집이 'It's Different'로 둘 다 자신감에 찬 타이틀 만큼이나 환골탈퇴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예상해 보건데 빅마마의 2집이 나온다면 타이틀은 'It's Great' 정도가 되지 않을지...휘성 3집의 타이틀은 어떻게 나올지가 나의 또 다른 관심사가 되어 버렸다.
2004/10/10 21:38 2004/10/10 2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