츠지 히토나리 - 언젠가 함께 파리에 가자

'언젠가 함께 파리에 가자'


참 낭만적인 제목이다. 오래전에 사두고 이제서야 읽었지만, 아마 이 책이 출간되었을 때도 이 제목에 끌려서 샀을 게다. 프랑스는 커녕 유럽도 가본 적이 없지만, 문화와 예술이 살아 있는 낭만의 도시 '파리(Paris)'라는 이름이 부사 '함께'와 만나니 그리도 낭만적이면서도 애틋하게 들리는 이유는 왜일까? '언젠가'는 모호한 시간을 의미하는 부사로 허언처럼 들리게 할 수도 있지만, '가자'라는 힘있는 동사와 만나니 언젠가는 꼭 이뤄질 법한 약속처럼 들린다.

일본 작가 '츠지 히토나리'는 우리나라에 많은 책이 소개되지 않았지만, 작가이자 영화 감독이자 뮤지션으로 예술에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이는 사람이다. '냉정과 열정 사이'로 국내에도 이름이 알려졌고, 일본 영화 '러브레터'의 여주인공 '나카야마 미호'의 남편으로 더 유명한 작가이기도 하다. 우리말로 번역된 그의 책은 많지 않지만 몇몇 소설들을 꽤 재밌게 읽은 기억도 있기에, 이 책도 집어 들었다.(그런데 사실은 온라인으로 샀다.)

이 책의 일본어판은 2005년에 출간되었는데, 약 1년 반이라는 시간동안 파리에서 살면서 취재하고 쓴 책이라고 한다. 2003~2005년이 될테니 지금으로부터 약 10년 전 '파리 생활'을 담은 책이라고 할 수 있겠다. 작가는 이 책을 여행자들이 목적지로 떠나기 전에 읽는 '가이드 북'이 아니라 '라이브 북'이라고 한다. '가이드 북'들은 유명하거나, 꼭 가봐야 하거나, 가볼 만한 곳들을 모아서 '백화점'식으로 소개하곤 하는데, 이 책은 그런 가이드 북들과는 확실히 거리가 있다. 이 책은 '파리 여행자'를 위한 책이 아니라 '파리에 거주할 예정'인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가이드 북처럼 관광지를 떠먹여 주는 책이 아니라, 경험에서 우러나온 파리에서 살아가는 요령과 마음가짐 등을 알려주는 책이다. 굳이 비유하자면, 잡은 물고기를 주지 않고 낚시할 때 요령이나 마음가짐 정도를 알려주는 책이랄까?

그렇고다 여행자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책은 아니다. 미식가가 유난히 많아 보이는 일본답게, 그도 나름 미식가로서 여러 음식점들을 추천하고 있다. 몇 년전부터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진, 음식점을 평가하는 유명한 기준인 '미슐렝 가이드'에 대한 이야기도 빠지지 않는다. '미슐렝 가이드'는 이름처럼 프랑스의 타이어 회사 '미슐렝(Michelin)'이 조사하고 발간한 책으로 최대 3개로서 음식점을 평가하는데, 프랑스에서도 꽤 중요한 음식점 판단 물론 입맛이라는 감각이 다분히 주관적이 요소도 크게 작용해서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지만, 파리에는 미슐렝 가이드에서 별이 3개에서 2개로 떨어져서 자살한 쉐프가 있을 정도로 쉐프들에게는 자존심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오픈한 유명한 쉐프 '피에르 가니에르'도 언급되니다. 그렇지만 미슐렝 가이드의 별점에만 의존하지 않고, 그가 찾아낸 잘 알려지지 않은 맛집도 소개하고 있다.  다만 이 책에 나온 음식점 이름들은 약 10년 전의 정보라서 지금도 유효할 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자신만의 맛집을 찾아내는 요령도 놓지지 않고 있는 책이기에 파리에 오래 머무른다면 도움이 될 수도 있겠다.

먹는 이야기가 분명히 많지만, 프랑스의 기나긴 '바캉스', 파리에서의 '운전', 다정한 인사 '비주', 일본과는 다른 아내의 '출산' 등 거주자가 아닌 여행자라면 알 수 없을 이야기들도 담고 있어서 '파리에서의 삶'을 여러 면에서 바라볼 수 있는 점도 이 책의 매력이다. 지리적으로도 가깝고, 문화적으로더 다르면서도 비슷한 점이 많은 한국와 일본이기에 일본인이 파리에 살면서 겪었을 곤란을 한국인으로서 공감할 부분들이 많았다. '인구 고령화', '저출산', '독신 가구'의 증가 등 여러 사회 현상에서 우리보다 수 년에서 십수 년을 먼저 겪은 일본을 따라가고 있는 한국이기에, 이런 현상들에 대한 일본인의 시각이나 대처는 참고할 만하다고 생각하는데, 그런 일본보다도 더 빠르게 그런 현상들을 겪은 프랑스를 일본인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점도 흥미롭다. 과거 유럽 최저 출산 국가였던 '프랑스'는 약 10년 전부터 늦은 출산이 유행처럼 번지면서 지금은 유럽에서 출산율이 높은 국가라고 하는데, 이 책에도 그론 늦은 출산이 유행할 수 있었던 배경에 대해서 조금은 알 수 있었다.

프랑스, 그리고 파리. '프랑스 대혁명'은 자유주의 기원이 되었고 수 많은 예술가들이 살았고 지금도 살고 있는 '예술이 살아 숨쉬는' 도시답게 '자유와 낭만의 도시'라고 불린다. '경제 지표'만을 강조하고 국민들에게 세뇌시키는 우리나라의 현실과는 확실히 다른 풍경들이다. 시민 의식 수준 또한 굉장히 높다고 하는데, 그런 의식 수준의 바탕이 된 역사적 유산과 문화적 배경은 부러울 따름이다. 이 책을 읽고나니 한국을 벗어난 '낯선 도시'에서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프랑스 파리'가 아니더라도 한 번쯤은 그렇게 해보고 싶어졌다.

2014/04/03 22:44 2014/04/03 22:44

캡틴 아메리카 : 윈터 솔져 (Captain America : the Winter Soldier) - 2014. 3. 29.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arvel Cinematic Universe)'의 첫 번째 페이즈(phase)를 화려하게 장식한 '어벤져스(the Avengers)'의 영웅들 가운데 '캡틴 아메리카'는 확실히 독특한 위치에 있는 영웅입니다. '반신반인'인 데미갓(Demigod)으로 신과 인간 사이에서 고뇌하는 '토르'나, 명석한 두뇌와 엄청난 재산 물려받은 '엄친아'로 태어나 양심적인 이성과 본능적인 명예욕이 뒤엉킨 '아이언맨', 그리고 역시 뛰어난 과학자로서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이성'과 '파괴적인 동물적 본성' 사이에서 고뇌하는 '헐크'과 비교해보면, '캡틴 아메리카'는 상당히 평면적인 인물에 가까워 보입니다. 능력 면에서도, 대단한 과학자인 '토니 스타크'와 '브루스 배너'와 비교하면 지적 능력은 일반인 수준이고, '반신반인 토르'나 '태양계 최고의 근육, 헐크'에 비교하면 육체적 능력도 현실에도 존재하는 '조금 강한 지구인 수준' 정도로 평범해 보입니다. 만화 '드래곤볼'의 지구인 최강 '크리링'정도에 비교할 수 있을 정도로, 기상천외한 힘들이 난무하는 히어로 무비 '어벤져스'에서 그는 다른 의미로 '밸런스'를 파괴하는 존재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의 이름처럼 그가 상징는 '냉철한 정의'와 '뜨거운 애국심'은 현대사회에서 다소 흐릿해진 '고전적 가치'들입니다.

하지만 정의와 애국심은 아직도 유효한 가치들이자 인류를 위헙하는 위기 상황들에서 더욱 빛나는 가치들이기에, '공통의 위험'에 대항하지만 이해관계가 복잡한 어벤져스를 묶는 구심점으로서 '캡틴'인 그의 묵직함이 필요해 보입니다. 그리고 캡틴 아메리카의 현실적인 능력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가 원작 마블 코믹스의 온 우주를 넘어 평행 우주까지 확장되는 '마블 유니버스'와는 다르게, 기술적인 측면에서 영상으로 적절히 표현가능하고 원작 코믹스를 모르는 일반 영화 관객들도 이해가 가능한 수준으로 제한하는 '안전장치'로 볼 수도 있습니다. 전작 '캡틴 아메리카 : 퍼스트 어벤져(Captain America : the First Avenger)'는 부제처럼 '어벤져스'의 예고편 정도로 보일 만큼 아쉬움이 컸습니다. '토르 : 천둥의 신(Thor)'도 마찬가지여서, 두 영화는 '어벤져스' 결성을 위해 급조된 느낌이 다분했습니다. 그래서 두 영웅의 후속편들은 '어벤저스' 이후의 이야기를 이어가면서도, 각자의 스토리 라인을 이끌어가는 점이 중요했으리라 봅니다. 더구나 군인 출신인 '캡틴 아메리카'는 '쉴드(S.H.I.E.L.D)'의 요원으로 그 연결끈을 놓을 수 없는 존재이고, '어벤져스' 이후에도 개별적인 영화로 소개되지 않는 '쉴드'의 '국장 닉 퓨리'와 '블랙 위도우' 등의 요원들의 이야기를 제대로 볼 수 있는 방법은 없기에, 영화 속에서 '쉴드'라는 조직이 차지하는 비중도 고려했으리라 생각됩니다.

결론적으로 '조 루소'와 '안토니 루소' 형제가 감독한 '캡틴 아메리카'의 두 번 째 극장판 영화는 '어벤져스의 예고편으로서는 나쁘지 않았지만, 단독 영화로서는 실망스러웠던' 전작의 그림자를 지워내는 멋진 헐리우드 블록버스터로 돌아왔습니다. 부제 '윈터 솔져'처럼 캡틴 아메리카가 북극에서 냉동 상태가 되기전 잃어버린 동료 '버키 반즈'가 '윈터 솔져'로 돌아오는 내용이지만, 두 옛 동료의 대결이 전부인 영화는 아닙니다. '쉴드' 안에 숨어든 적의 비밀 조직 '히드라'의 음모와 맞서 고군분투하는 쉴드의 멤버들을 보여주면서, 지금까지 '마블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마블 히어로 무비 가운데는 가장 치밀한 스토리 라인을 보여줍니다. 캡틴 아메리카와 윈터 솔져의 대결과 쉴드와 히드라의 대결이 동시에 그려지면서, 130분 정도로 짧지 않은 상영 시간동안 느슨해지는 부분 없이 팽팽한 긴장을 유지하며 이야기는 진행됩니다. 스크린을 화려한 볼거리로 채우는 어벤져스 동료들(아이언맨, 헐크, 토르)과는 다르게, 방패 하나와 육체만으로 승부하는 캡틴 아메리카의 모습은 '마블판 본 아이덴티티(Bourne Identity)'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물론 맨손 격투의 화려함이나 영화의 짜임새는 '본 시리즈'를 따라가려면 아직은 부족하지만, 가족용 애니메이션으로 유명한 '디즈니(Disney)'의 계열사로서 관람 등급에 신경쓸 수 밖에 없는 '마블 스튜디오'로서는 발전된 모습입니다.

'크리스 에반스'의 연기는 뛰어나다고 할 수 없지만, '정의'와 '애국심', 그리고 '우정'을 상징하는 '캡틴 아메리카'의 묵직함을 연기하기에는 부족함이 없어보입니다. 이제는 '닉 퓨리'가 아닌 다른 역할을 생각할 수도 없는 '사무엘 L. 잭슨'은 '안대'가 아닌 '선글라스'를 쓰고 어떤 활약을 보여줄지 궁금해 집니다. '어벤져스'에서 '호크 아이'와 러브라인이 있을 듯했던 '블랙 위도우(스칼렛 요한슨)'는, 호크 아이가 없는 이번 영화에서는 캡틴과 러브라인의 기류를 형성합니다. 블랙 위도우의 '바람기'가 '어벤져스2'까지 이어져 스토리 라인에 영향을 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별점은 4개입니다.

*'어벤져스' 속 본부로 등장하면서 수난을 겪었던 '헬리캐리어'가 이번에는 3대나 등장하지만, 제대로 활약을 하기도 전에 모두 격침되는 모습은 안타깝습니다. 다음 페이즈에 등장할 가능성이 있는 '닥터 스트레인지'의 본명 '스티븐 스트레인지'가 언급되는 점도 흥미롭습니다.
2014/04/03 02:28 2014/04/03 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