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영 -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영화가 개봉한다기에 박차를 가해서 지난주에 독파한 '공지영'의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바로 전에 읽은 '빗방울처럼 나는 혼자였다'가 좋았기에 작가 '공지영'에게 흠뻑 빠져들어 있었고, 영화로도 만들어졌으니 좋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인기작가답게 문장도 편해서 쉽게 책장이 넘어갔다.

여자주인공 '문유정'의 이야기, 멋진 노래나 시나 글의 한 구절, 남자주인공 '정윤수'의 짧은 이야기인 '블루노트'로 이어지는 구성이 참 좋았다. 두 사람의 이야기를 번갈아가며 들려주고 사이사이에 삶과 죽음, 슬픔과 사랑에 관한 짧은 글들... 시간 상으로 나중에 발표된 산문집 '빗방울처럼 나는 혼자였다'의 향기를 찾을 수 있어서 반갑기도 했다. (반대도 마찬가지여서 '빗방울처럼..'에서 '우행시'에 대한 것들을 읽을 수 있다.)

사실 멜로영화로 만들어졌다기에 슬픈 거라는 예상을 하고 읽으니 초반부를 읽을 때부터 눈이 그렁그렁했다. 다른 독자들은 어땠는지 모르지만, 나에게 이 소설은 오히려 앞부분이 더 슬펐다. 수차례 자살을 시도한, 삐뚤어진 인간인 '유정'과 살인자이자 사형수인 '윤수', 그들에게 어떤 사연이 있을 것이고 슬픈 이야기의 주인공이라고 생각하니 별 슬플 것도 없을 듯한 이야기가 어쩐지 더 슬프게 느껴졌다.(아, 영화 예고편의 부작용!) 그들이 서서히 마음의 치유를 받는 과정을 지나면서 그렁그렁한 느낌은 점점 가벼워져 갔다. 결국 인간에게는 빠르건 느리건 '죽음'이라는 피할 수 없는 운명이 지워져있기는 하지만...

'문유정'이라는 캐릭터는 참 멋진 점이 있었다. 천주교(카톨릭) 신자인 작가가 그리스도교(천주교과 개신교)의 위선을 조롱하는 모습이 어쩐지 멋져 보였다고 할까? (소설을 읽으면 처음에는 좀 거북해질 '광신도'가 있을지모 모르겠다.) 부유한 천주교 집안의 '유정'과는 전혀 다르게 자라왔고 모니카 수녀와 유정을 만나가면서 점차 '신'이 신도하는 길로 빠져드는 '윤수'의 모습은, '상습 자살시도자'와 '살인자'의 대비와 함께 인상적인 모습이었다.

'윤수'처럼 예수도 사형수 였다는 점이나 형이 집행되기 전 '유정'이 '윤수'를 부인한 점 등 성서를 염두한 작가의 배려가 눈에 띄고, 유정이 처음에 윤수를 그토록 싫어했던 이유가 예상대로 였을 때와 이어서 '윤수'와 '은수'의 중간 발음이 '운수'가 될 수 있다는 점은 정말 '작가가 이 소설을 쓸 때 부터 영화화를 고려 하지 않았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그리고 길지 않은 시간이었지만 '진짜 이야기'가 오가면서 두 사람이 서로의 상처를 다듬어가는, 인간의 일생일대의 가장 중요한 시간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그 많은 찬반 논란에도 '사형제도'에 대해 중립이거나 찬성쪽에 가까웠던 나의 마음이 반대쪽으로 조금 움직였다.

'사형'은 결국 '복수'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하지만 그 '복수'가 과연 정말 '사회의 원한'을 산 사람에게 이루어졌는가는, 윤수의 경우처럼, 확실하다고 단정지을 수 없다. 살인자와 피해자 외에는 아무리 형사들이 수사를 해도, 아무리 기자들이 기사를 써도 사실을 만들 뿐 진실은 완전히 밝힐 수 없으니까. 그리고 사형수들이 법정에서 사형을 받기까지 '범죄와 수감'의 악순환에서 헤어나오지 못한데에는 우리 사회도 어느 정도의 책임이 있을 수 밖에 없으니까.

그런데 그즈음 나는 어떤 사람도 행복의 나라나 불행의 나라 국경선 안쪽에 있지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모두들 얼마간 행복하고 모두들 얼마간 불행했다. 아니, 이 말은 틀렸을지도 모른다. 세상의 사람들을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면 얼마간 불행한 사람과 전적으로 불행한 사람 이렇게 나눌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그 종족들은 객관적으로는 도저히 구별해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카뮈 식으로 말하자면 행복한 사람들이란 없고 다만, 행복에 관하여 마음이 더, 혹은 덜 가난한 사람들이 있을 뿐인 것이다.
2006/09/30 01:59 2006/09/30 01:59

공지영 - 빗방울처럼 나는 혼자였다



작가 '공지영'의 최근작 '사랑 후에 오는 것들'을 읽고 상당히 실망한 후로, 산문집 '빗방울처럼 나는 혼자였다'를 받아보았을 때 다시 실망하게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앞섰다. 물론, 수필같은 산문집에 거의 실망한 일이 거의 없었다는 일말의 기대도 있었지만...

정체가 궁금하고, 또 조금은 부럽기도한 'J'에게 부치는 그녀의 이야기들과 멋진 시구들... 수필에는 거부할 수 없는 매력과 편안함이 있다고 할까? 결국 나는 작가 '공지영'에게 빠져들고 말았다. '수필'이 작가와의 개인적인 이야기까지 나눌 수 있는 어느 한적한 찻집에서의 '대화'라면, '소설'은 가면을 쓴 작가를 찾아서 그 작가가 그런 가면을 쓴 이유를 이리저리 궁리해야만 하는 '가면무도회'라고 할까?

빗방울처럼 혼자였던 그녀의 삶... 하지만 혼자 내리는 빗방울은 결코 없듯이 수많은 빗방울들과 비를 이루며, 가족, 친구, 그리고 수많은 사람들과 부대끼며 살아가야 할 그녀의 이야기.

그러다가 인사 한 마디 못하고 헤어진 옛사랑이 생가나거든 책상에 앉아 마른 걸레로 윤이 나게 책상을 닦아내고 부치지 않아도 괜찮을 그런 편지를 쓴다면 좋겠습니다. 그때 미안했다고, 하지만 사랑했던 기억과 사랑받던 기억은 남아 있다고. 나쁜 기억과 슬픈 기억도 다 잊은 것은 아니지만 그 나쁜 감정은 기억나지 않는다고, 다만 사랑했던 일과 서로를 아껴주던 시간은 그 감정까지 고스란히 남아서 함께 바라보던 별들과, 함께 앉아 있던 벤치와, 함께 찾아갔던 산사의 새벽처럼 가끔씩 쓸쓸한 밤에는 아무도 몰래 혼자 꺼내보며 슬며시 미소 짓고 있다고, 그러니 오래오래 행복하고 평안하라고 말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정말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그나저나, J는 누구일까? 남편일까? 아니면 그녀는 천주교 신자이니 'Jesus'의 J일까? 둘 다 아닌 듯한데...
2006/09/16 22:11 2006/09/16 22:11

멈춰서서 바라볼 수 없다면 - 윌리엄 헨리 데이비스

근심으로 가득 차

멈춰 바라볼 시간이 없다면

그것이 무슨 인생이랴

…….

한낮에도 밤하늘처럼 별들로 가득 찬

시냇물을 바라볼 시간이 없다면

눈에서 시작된 미소가

입가로 번질 때까지 기다릴 시간이 없다면

가련한 인생이 아니랴 근심으로 가득 차

멈춰서 바라볼 시간이 없다면


지금 읽고 있는 '공지영'의 '빗방울처럼 나느 혼자였다'에 인용된 시.

시를 읽지 않은지 오래되었는데, 이 책에서 멋진 시들을 발견했다.
2006/09/03 02:46 2006/09/03 02:46

공지영 - 사랑 후에 오는 것들



몇 일 전 아침, 신문에서 두 여성 작가의 책 소개가 있었다. 그 중 하나 '사랑 후에 오는 것들'이 내 관심을 끌었다. '냉정과 열정 사이'의 '츠지 히토나리'와 함께 썼다는, '냉정과 열정 사이'같은 형식의 소설, '공지영'의 '사랑 후에 오는 것들'이었다.

결국 난 그날로 책을 주문했다. 서적 구매에 거의 유일하게 이용하는 Yes24에서 이 책 두 권과 '나니아 연대기'를 담았다. 그리고 이틀 후 아침 책을 받았다. 참 좋은 세상이다.

'친절한 지영씨'

작가 공지영의 책은 이 책 '사랑 후에 오는 것들'의 처음이었다. '츠지 히토나리'가 쓴 남자편보다는 공지영이 쓴 여자편을 먼저 빼들었다. 그녀의 첫 느낌은 매우 친절했다. 간결하면서도 문장과 문장사이를 넘어가는 것이 쉽지 않았던 '에쿠니 가오리'의 '아오이'와는 달리 공지영의 '홍'은 장황한 만큼 감정에 대한 설명과 묘사가 풍부했고 막힘 없이 정말 '물 흐르듯' 읽을 수 있었다.

'이별 전에 있던 일들'

제목은 '사랑 후에 오는 것들'이지만 '홍'의 이야기는 '이별 전에 있던 일들'이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를 떠올리게 하는 사건이 있을 때마다 홍은 과거의 그와 함께 했던 시간 속으로 돌아간다. 사랑 후에 오는 것들이 이별 전에 있던 것들과 관련이 없을 수 없겠지만 홍의 '사랑 후'는 결국 '이별 전'의 거울이다.

'그녀의 이야기'

여자의 이야기이기 때문일까? 막힘없이 물길을 따라갔지만 그 물에 흠뻑 젖을 수 없었다. '조금은 기적같은 내용이었다면 좋았을텐데...'라는 생각도 든다. '사필귀정(事必歸正)'이라는 말처럼 내용은 너무도 바르게, 아니 결국 그럴 수 밖에 없게 흘러간다. 연애소설이 다 그런 것이겠지만... 좀 더 독자의 상상에 맏겨두어도 좋지 않았을까?

헤어짐이 슬픈 건 헤어지고 나서야 비로소 만남의 가치를 깨닫기 때문일 것이다. 잃어버리는 것이 아쉬운 이유는 존재했던 모든 것들이 그 빈자리 속에서 비로소 빛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사랑받지 못하는 것보다 더 슬픈 건 사랑을 줄 수 없다는 것을 너무 늦게야 알게 되기 때문에.
2005/12/31 02:20 2005/12/31 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