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찾아줘 (Gone Girl) - 2014. 10. 23.

볼 만한 블록버스터가 없는 영화관에서 큰 기대 없이 선택했지만, 큰 여운을 남긴 영화 '나를 찾아줘(Gone Girl)'.

'데이빗 핀처', 헐리우드에서 작품성으로 나름 인정받는 감독이다. 하지만 그의 영화는 초기 작품들인 '에일리언3'와 '세븐'을 빼면 제대로 본 작품이 없었다. 이 영화도 사실 '데이빗 핀처'의 작품이라는 사실도 모르고 보았다.

결론적으로는, 2시간이 넘는 상영시간(149분)이 지루하지 않을 만큼 꽤 흥미진진한 영화였다. 'Gone Girl'이라는 원래 제목처럼, 소녀처럼 애지중지 자라온 '실종된 부인'의 행방에 관한 이야기가 전반의 내용이다. 벤 에플랙이 연기한 남편 '닉'이  범인처럼 보이면서도, 범인답지 않은 어리숙함은 관객을 혼란스럽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관객과 밀고 당기기를 하면서 긴장감을 놓치지 않는 진행은  베테랑 감독의 관록과 연출력이 빛나는 부분들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후반에서 부인 '에이미'의 행적이 드러나면서 놀라운 반전이 시작된다. 그녀는 꽤 영리한 '사이코패스'였고, 인관 관계를 이용해 먹을 만큼 사악했다. 그리고 그녀의 계산에는 미국 대중매체의 반응과 사법 제도의 허점까지 들어있었다. 실종 사건의 시작부터 해결까지 모두 스스로의 각본 위에서 조종하는 그녀는 '데우스 엑스 마키나(Deus Ex Machina)'와 같은 존재였다.

사실 이 거대한 사건의 발단인 '에이미의 정신적인 문제'는, 의사나 교육학 혹은 심리학에 조예가 있는 사람들이라면 어느 정도 눈치챌 수 있는 부분들이 보인다. 그녀의 성장 과장은 부모에 의해 상업적으로 이용되었고, 그 때문에 그 과정은 왜곡되고 과장되었다. 결국 그녀의 정신적 성장은 비틀어지고 미숙할 수 밖에 없었고, 그녀가 바로 절제를 모르고 자란 'spoiled child'의 미래였다. 딸의 실종 후 기자회견에서 웹사이트까지 만들어서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부모의 모습은 다분히 비정상적이다. 에이미가 대중매체를 능숙하게 이용하는 모습은 확실히 부모에게 매운 점으로 보인다.

'이용하기 쉬운 대중매체의 폐해'와 '여론/언론에 휘둘리는 미국 사법 제도의 허점'은 이미 여러 영화에서도 다룬 소재이다. 하지만 이 영화는 그런 '폐해와 허점'을 뛰어넘어, 그것들을 이용하는 '인간의 위험성'을 직접 대면하게 한다. 그리고 '데우스 엑스 마키나'답게 사악하고 충격적인 결말은 꽤 진한 여운을 남긴다. 별점은 4.5개.
2014/12/23 15:58 2014/12/23 15:58

인터스텔라(Interstellar) - 2014. 11. 7.

믿고 보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새 영화 '인터스텔라(Interstellar)'.

수개월 앞서 공개된, '가족'과 '우주여행'이라는 테마를 결합한 예고편은 큰 궁금증을 유발했다. 더불어 '우주'라는 다분히 이성적이고 과학적인 목적에 '가족'이라는 감성적인 접근을 더한 점은, 저명한 천문학자 '칼 세이건'을 소설을 원작으로 '조디 포스터'가 출연했던 영화 '콘택트(Contact)'가 떠오르기에 충분했기에, 그 '감상적인 우주'를 클리스토퍼 놀란이 약 20년 가까이 지난 시간만큼 '얼마나 다르게 그려내느냐'가 감상 포인트였다.

물론 '이성적인 과학(우주)'과 '비이성적인(감정적인) 신념(가족)'이라는 두 상반되는 테마 사이에서 적절한 타협점를 잡기란 사실 쉽지는 않은데, 이 영화를 이야기하면서 영화 '콘택트'가 자주 언급되는 이유는 그 균형을 잡았기 때문이다. '콘택트'는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는 우주'와 그 너머에 '아직 알지 못하는(언젠가는 알게 될) 우주' 사이에서, 'SF(Science fiction)'답게 과학적 지식과 상상력이 절묘하게 타협한 영화였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도 '콘택트'를 의식했을까? 콘택트에서 주인공 '조디 포스터' 다음으로 비중있는 역할이었던 '매튜 매커너히'가 바로 인터스텔라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뚜껑을 연 인터스텔라는 어떨까? 

가까운 미래에 자연재해와 식량부족으로 위기에 처한 지구에서 시작되는 이야기는, 종말을 앞둔 묵시록적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지구를 대신할 '대안'을 찾는 과정을 풀어낸다. 복귀를 기약할 수 없는 '우주 여행'의 시작을 그리는 초반은, 조금 지루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만큼 잔잔하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우주 여행에서는 SF 영화다운 영상 효과로 눈을 즐겁게 하면서 동시에, '시간의 상대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다른 속도의 시간을 살아가는 가족의 모습에서는 애틋한 감정의 파문을 일으킨다.

지구의 대체 행성을 찾는 과정에서 모이게 되는 4명이 인물의 성격과 구도도 상당히 흥미로웠다. 4명의 모습은 '우주 개발'에 대한 여러가지 시각을 대변한다고 볼 수 있는데, '시간의 상대성' 덕분에 24년에 가까운 시간을 우주선에서 기다리면 관측을 한 '로밀리(데이빗 기아시)'의 모습은 인간의 우주에 대한 '순수한 지적 호기심'과 가깝다. 깜짝 등장하는 '맷 데이먼'이 연기한 '닥터 만'의 '대의를 위한 희생'을 내세우면서도 '사리사욕'을 탐하는 모습은, 다수를 위해 소수의 희생을 강요하는 '전체주의'가 떠오른다. 주인공 '쿠퍼(매튜 맥커너히)'가 보여주는 '미국적인 가족애'는 '강한 애국심'과도 관련이 있고 전통적인 '보수주의' 정도로 해석할 수 있겠다. '쿠퍼'와 함께 마지막까지 생존하지만, '지구로 복귀'가 아닌 연인이 있는 행성을 선택한 '브랜드(앤 헤서웨이)'는 '우주 개발'의 '기본적인 목적'과는 다르게 행동하는 '낭만주의'나 '진보주의'라고 볼 수 있다.

블랙홀의 중력을 버티는 우주선의 모습이나, 블랙홀을 통해 시간의 틈으로 들어가서 과거의 딸에게 힌트를 주는 '순환하는 우주관'은 조금 황당하지만, 'SF 영화'의 애교로 봐주자. 지금까지 놀란 감독이 보여주었던 '블록버스터다운 기대 이상의 스펙터클'은 부족했지만, 그래도 '콘택트'의 '감성적인 우주'에서는 '십수 년 동안 업데이트된 과학적 지식'만큼 한 발자국 정도는 더 나갔다고 본다.

'시간의 상대성' 덕분에 100년이 가까운 시간이 흘렀고, 자신을 기다릴 가족이 사라진 '쿠퍼'가 떠나는 모습에서는, '다크나이트 라이즈의 결말'처럼 '새로운 모험'을 향한 '열린 결말'이라서 마음에 들었다. 앤 해서웨이의 비중이 큰 편은 아니었지만, 마지막 장면만으로도 그녀의 캐스팅 이유는 충분했다. 천신만고 끝에 찾아낸 '지구의 대안'이지만 먼저 도착했던 연인은 이미 숨을 거두었고, 홀로 남겨진 행성에서 지평선 아래로 사라지는 태양을 바라보는 그 먹먹함은, 그녀의 깊은 눈이 아니면 또 어떤 여배우가 표현할 수 있었을까? 별점은 3.5개다.
2014/12/09 15:16 2014/12/09 1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