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타지 삼매경

예스24에서 2주전에 주문한 '월야환담 창월야'의 8권과 9권을 지난주에 받아 어제 읽기를 마쳤습니다. 7권을 읽은 후 상당히 오랜만에 읽어서 좀 혼란스러운 부분도 있었지만 다행히 기억을 끈을 연결하여 읽었답니다.

전작 '월야환담 채월야'가 7권으로 완결된 데에 비해 창월야는 9권까지 왔는데도 끝날 기미가 조금 밖에 보이지 않네요. 채월야에 비해 상당히 거대해진 스케일은 앞으로 2~3권은 가야 끝나지 않을까 합니다.

세건, 서린, 실베스테르와 단죄자들, 이사카와 볼코프의 연합, 테트라 아낙스, 반 테트라 아낙스 연합(펜텀, 아르곤 등), 앙리유이와 석세서들 등 다양한 집단들이 서로 얽히고 섥혀서 최후에 과연 누가 웃을지...

어제 예스24를 확인해보니 지난주에 '묵향' 21권이 출시되었네요. 이렇게 어긋나다니 정말... 어쨌든 재빨리 주문했으니 빨리 받아보았으면 좋겠네요.

21권부터는 출판사가 바뀌었네요. 그래서 책표지도 바뀌었습니다. 결말이 얼마 남지않은 마당에서 바뀌다니 좀 아쉽습니다. 아마 원래 20권까지 계획되있던 책이 늘어지면서 출판사와의 재계약이 실패하기라도 했나봅니다.

외전으로 '아르티어스 애가' 곧 나온다고 하네요. 후속작이 궁금했었는데 결국 '아르티어스'로 울궈먹으려나요. 이러다가 나중에는 '카렐'의 이야기도 책으로 만들어지지 않을까 합니다.
2006/03/19 23:40 2006/03/19 23:40

우리는 어디에서 시작되었나?

우리는 어디에서 시작되었나?

이 질문만큼 인간에 대한 근본적이고 또 끊임 없이 탐구해야할 의문이 있을까?

그리고 이 의문에 대한 두 관점들, '창조론'과 '진화론'만큼이나 오랜 시간동안 대립해 왔고 또 앞으로도 그러할 논쟁거리가 있을까?


이 넓은 우주에서 고등한 생명체는 인간뿐이라면 정말 공간 낭비가 아닐까?

우습게도 역시 그런 생각을 갖고 있는 수 많은 다른 고등 생명체 종족이 있지는 않을까?

또 그런 자아도취를 비웃고 있는 또 다른 초고등 생명체가 있지는 않을까?


과연 우리가 이제는 화석으로 남은 공룡들과 같은 기원을 갖고 있을까?

사실 현재 인류와 그 전 단계의 화석들(오스트랄로 피테쿠스부터)은 다른 종들과는 전혀 다른 기원을 갖고 있지는 않을까?

같은 길을 왔다기에 현재의 인류는 이 좁은 지구에 대해 너무 오만하고 파괴적이다.


다른 종들이 유기물에서의 단세포 생성에서 시작된 진화의 길을 걸어왔지만

인류는 다른 행성으로부터 보내진 일종의 '고등 생명체로의 진화 가능성이 있는 원숭이'는 아니었을까?

아니면 다른 고등 생명체가 자신들로부터 복제 혹은 창조한 생명체는 아니었을까?


전설의 대륙 '아틀란티스'와 '뮤' 그리고 아직도 풀리지 않은 많은 불가사의들은 인류가 있고 있는 기억, 인류의 기원을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어느날 지구는 단지 '배지'일 뿐이고 그 위의 모든 생명체는 어느 초고등 생명체가 배양하는 '미생물'에 불과하다는 폭탄 선언이 있지는 않을까?
2006/03/17 20:15 2006/03/17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