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dplay - X&Y



지난주 드디어 영국 밴드 중 제일 잘 나간다고 할 수 있는,'Coldplay'의 새 앨범 'X&Y'가 발매되었습니다. 저는 미리미리 예약해두어서 발매 다음날 받아 보았지요.

독특한 점은 이번 'X&Y'는 전량 Holland 수입반으로 발매된다는 점입니다. 라이센스반이 13400원이나 되는 상황이고 수입반이 14300원에 판매되는 상황때문인지 음반사에서 결국 전량 수입을 결정했나봅니다. 가라이센스반과 수입반의 차이가 900원이면 구매자 입장에서도 라이센스반의 메리트는 없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다른 면에서 보면 그만큼 우리나라에서 음반이 안팔린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라이센스판으로 찍어야 많이 팔리지 않으니 수지가 안 맞는다는 이야기죠. 초도 물량 한정으로 열쇠고리와 팔찌도 들어있으니 구매자 입장에서도 만족스러울 만 합니다. 물론 선물이 품질이 꽤나 좋다고 할 수는 없지만요.

X&Y는 이름처럼 X와 Y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각각의 부분의 6곡씩을 포함하고 있고, 앨범은 hidden track 한 곡 까지 합쳐 총 13곡을 수록하고 있구요. X는 X1을 시작으로 X6까지, Y는 Y1에서 Y6까지의 일련번호를 달고 있는 곡들을 담고 있습니다.

X1 'Square One'은 시작을 알리는 듯한 소리에 이어지는 밴드의 얼굴 Chris Martin의 보컬, 그리고 이전 어느 곡보다도 힘찬 연주는 이 앨범의 장대한 시작을 알리고 있습니다. 앨범의 첫곡으로 적격인 멋진 곡입니다.

X2 'What If'는 (역시) Coldplay답게 잔잔하게 시작합니다. 자칫 잔잔한 조금은 허무한 Chris의 보컬로 흘러갈 수있었지만 절정의 'Uh~ that's right'은 중독성 강한 구절입니다. 아마 지난 앨범의 'Clocks' 다음으로 좋아질 듯하네요.

X3 'White Shadow'는 단순하면서도 흥겨운 기타 리프로 시작합니다. 복고적이 느낌이 들면서도 Coldplay 특유의 영롱함때문에 미래적인 느낌도 함께 갖고 있는 곡입니다. 발장단 맞추며 어깨춤을 추며 들어도 괜찮을 곡이라고 생각됩니다.

X4 'Fix You'는 X2처럼 차분한 곡으로 Chris의 보컬과 오르간 연주로 잔잔하게 시작합니다. 이 곡의 매력은 곡의 절정이라고 할 수있는 Chris와 코러스의 합창 부분입니다. Coldplay가 애용하는 피아노가 연주가 곁들여진 위로 흐르는 합창은 정말 감동적입니다.

X5 'Talk' 역시 기타 연주가 귀에 쏙쏙 들어오는 곡입니다. 앞의 곡들과 마찬가지로 이제까지의 Coldplay의 곡들과는 다른 느낌의 곡이지요.

X6 'X&Y'는 제목처럼 X의 마지막 곡이자 Y의 시작을 알리는 곡입니다. 6번째 곡이지만 한 앨범을 마치는 데 사용되도 좋을 만한 느낌이 드는 곡입니다.

Y1 'Speed of Sound'는 첫 single로 발표되었던 곡이었던 만큼 설명이 필요없겠지요. Coldplay표 사운드의 영롱함이 역시나 잘 뭍어나는 곡입니다. 거기다 이 밴드의 진보를 엿보게 해주는 곡이었지요.

제 리뷰는 여기까지 입니다. 사실 X의 곡들이 너무 좋았기때문인지 Y의 곡들이 잘 안들어오더군요. Y의 곡들은 제 마음에 또 다른 바람으로 불어올 때 써볼까 합니다.

X&Y, X의 곡들만으로도 소장가치가 정말 충분한 앨범입니다. 아마도 다음 single은 X의 앞으 4곡 중 한 곡이 선정되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측을 해봅니다. 좀 더 강렬해진 사운드와 좀 더 듣기 편안해진 곡들은 강력한 흡인력으로 다가오네요.

X&Y, 좌표면의 두 축을 의미하는 앨범 제목처럼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관통하고 형식의 틀의 뛰어넘는 밴드의 의지를 보여주는 앨범이 아닌가 합니다. 앞으로도 멋진 앨범을 다작(多作)해주길 바랍니다. 제 기억 속에 Radiohead의 'OK Computer'와 함께 영국 락의 대표 앨범으로 남게 되길 바라며 별점은 4.5입니다.

P.S : 어이없이 IE 오류로 쓰던 글을 날리고 다시 쓰게 되네요. 전보다 조금 날림으로 빨리 썼네요.
2005/06/13 23:44 2005/06/13 23:44

김민정의 패션, 어디서 봤나 했더니...



'패션 70's' 이 드라마 한 번도 보지는 못했지만 뉴스를 보니 위 이미지가 있더군요. 그런데 스타일이 많이 보던 스타일이었습니다. 순간 머릿속에 번쩍 생각나는 것이 있더군요.


more..

2005/06/11 17:58 2005/06/11 17:58

언제일까요?

세찬 비바람과 거센 파도는 지나가고

끝없는 평온의 날들이 찾아왔으니...



그대, 봄이 되어 오시는 날 언제일까요?

내 마음의 차디 찬 눈과 얼음 모두 녹아

방울방울 눈물 되어 흐를 날 언제일까요?


그대의 마음안에 머물 날 언제일까요?

내 마음 온통 그대라는 영원의 빛으로 물들,

그런 아름다운 날은 또 언제일까요?



-'S.E.N.S'의 앨범 'Heart'에 부쳐-
2005/06/11 17:19 2005/06/11 17:19

encoding of 20050606

6일에는 달랑 한 장 추출. J의 2집 'In love'. 아마도 J의 최고의 앨범이 아닐지...

more..

2005/06/11 12:38 2005/06/11 12:38

encoding of 20050603

벌써 일주일전에 추출한 수지누나의 앨범들 몇장. 지난번에 추출했었던 4집, 9집을 빼고 5,6,7,8,10집에 싱글까지...

참고로 내가 생각하는 수지누나 최고의 앨범은 4집과 9집, 최악은 역시 8집...10집은 사진은 정말 별로지만 노래는 괜찮다.

more..

2005/06/10 16:51 2005/06/10 16:51

이루마 열애설과 단상

얼마전 다음(Daum) 첫 페이지 뉴스란에 이루마씨와 김지우양의 열애설이 뜨더군요. 정말 의외의 조합(?)이라 깜짝 놀랐습니다. 기사 밑에 달린 리플들을 보니 헛소문은 아닌듯했는데 역시나 악의적인 리플들이 눈썹을 찌푸리게 하더군요.

이루마의 다음 팬카페의 익명게시판에 가니 난리도 아니더군요. 이루마에 실망했다는둥, 상업적이더니 그럴줄 알았다는둥 인신공격적인 글들도 많았구요. 사건의 전말도 어느 정도는 알 수 있겠더군요. 물론 이루마씨가 경솔한 점도 있었지만 팬이라고 자처하던 사람들이 순식간에 변하는 모습을 보니 더욱 실망입니다. 아마도 우리나라 바람직하지 못한 팬덤(fandom)을 단면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합니다.

그런 비난을 하는 사람들에게 먼저 묻고 싶네요. 당신이 이루마를 좋아하게된 이유는 뭐냐고... 저의 경우는 제가 남자이고 나이가 나이인지라 스캔들 기사에 별 감흥이 일어나지 않았지만, 이루마라는 사람을 알기 전에 그의 음악를 듣고 좋아 음반을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비난을 퍼붙는 사람들은 아마도 그의 음악 자체를 좋아하기 보다는 그의 외모나 언변 등 겉으로 보여지는 것을 먼저 좋아하게 된 사람들이라고 생각하게 되네요.

그리고 거의 1년에 앨범이 한 장 꼴로 나오는 것을 보고 '상업적이다'라고 비난하는 사람들도 있더군요. 음악도 일종의 비지니스인지라 상업적인것은 당연합니다. '상업적'인 즉 '팔리는' 음악을 만들지 않으면 음악을 하기 어려운 것이 우리나라 현실이고 음반업도 이익을 창출할 수 있어야 유지되니까요. 그리고 1년에 1장의 앨범을 발표하는 것은 기본이고 2장의 앨범을 내는 가수들도 존재하는 상황에서 1년에 1장 정도를 상업적이라고 치부할 수 있는 것일까요? 순수음악에 가까운 장르를 하는 음악인은 꼭 수 년의 고뇌 끝에 한 장의 앨범을 발표해야 하는 것일까요? 왕성한 창작 활동으로 1년에 한 장씩 꾸준히 발표하면 상업적인가요? 한 앨범이 지난 앨범의 수록곡을 그대로 혹은 리믹스라는 이름으로 포장해 수록하는 것도 아닌데요.

또 이번에 나온 이루마의 두번째 정규 앨범 'First Love'의 리팩키지 앨범에 대해서도 상업적이라는 비난이 역시 있더군요. 하지만 저에게는 음반업계에서 정말 '진짜 상업적'인 것이 무엇인지 모르고 하는 소리들로 밖에 안들립니다. 앨범 'First Love'는 2001년에 첫 발매된, 올해로 '4년'째가 되는 앨범이자 이루마의 앨범들 중 가장 꾸준히 팔리는 앨범이기도 하구요. 또 이미 이 앨범의 기존판은 일부 온라인 매장에서 품절이 되었을 정도로 제고가 '소진'된 상태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재판을 찍어내면서 몇곡을 추가해서 리팩키지로 내는 것을 단지 상술적으로만 치부해야 할까요? 물론 상술적인 면도 있겠지만, 이미 기존판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기존판의 가치를 높인다는 점은 간과하고 있다는 것이 아쉽네요. 또 좋은 음악을 다른 사람들보다 먼저 찾아 들을 수 있었다는, 일종의 희열을 그 사람들은 알지 못하는 것일까요?

'상술적인 음반사'하는 빼놓을 수 없는 두 회사가 생각나네요. 우선, 90년대 말부터 몇년전까지 리팩키지 열풍을 불러일으킨 'Rock Record'가 생각납니다. Back Street Boys, Nsync, Britney Spears가 소속되있는 미국의 Jive Record의 국내 발매를 당담했던 Rock Record는 그야말로 '리팩키지의 대마왕'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정도 였습니다. 앞에서 언급한 가수들의 새앨범은 발매된지 1년도 채 되지 않아 리팩키지로 다시 발매되지 일수였죠. Rock 소속의 국내 가수들도 '몇 장만 돌파 기념'식으로 신곡, 미공개 곡이 포함된 리팩키지를 어김없이 발매했구요. 결국 저는 Rock에서 발매하는 앨범들은 기다렸다 리팩키지가 나온 후에야 샀답니다.

또 최근의 이수영이 소속된 '이가기획'도 상술의 맥을 이어가는 회사이죠. 이수영의 1집부터 4집까지는 앨범 발매후 1곡 정도 추가해서 스리슬쩍 재판을 발매했었죠. 4집부터는 '.5집'의 개념으로 1년에 정규앨범 한 장에 스페셜 앨범 한 장으로 도합 2장을 꾸준히 발매하고 있습니다. 5.5집은 리메이크로 괜찮았지만 그 앞뒤의 .5집들은 베스트나 앨범 미수록곡들의 짜집기이죠. 하지만 가장 문제되는 것은 '6집 사태'이라고 생각되네요. 6집 사태란 6집의 예약판매당시 친필 사인CD로 예약판매를 했는데 '선착순'이라거나 '몇 명 추첨'의 단서가 붙어있지 않았죠. 많은 사람들이 예약구매로 받은 CD는 결국 눈에 보기에도 대필임을 잘 알 수 있는 사인CD들이었습니다. 예약판매만으로도 몇 만장을 팔릴 것을 아는 이가기획의 농간이었죠.

이루마씨는 처음 순수음악을 하는 음악인으로 출발하였습니다. 하지만 거의 만능 엔터테이너를 요구하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대중매체에 자주 노출되고 어느 정도의 인기 얻게되면 음악인이 '연예인'화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무조건 분노하고 비난을 퍼붓기보다는, 지켜보고 축하해주는 사람이 진정한 팬이고, 그런 것이 팬덤이 아닐까요? 좀 더 성숙한 팬덤이 아쉽네요.
2005/06/05 23:36 2005/06/05 23:36

묵향 20권

제 블로그에 '묵향 20권'으로 검색해서 찾아오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그 동안 20권에 대한 내용은 없었는데 드디어 올립니다. 예스24에서 주문한 책이 오늘 도착해서 방금 후딱 읽고 씁니다.

무협과 판타지의 퓨전의 선두주자라고 할만한 '묵향', 벌써 20권째네요. 제가 1권을 읽었던 때가 2000년이니 벌써 6년째되구요. 묵향 시리즈의 20권이 제 책장 한켠을 채우고 있는 것을 보니 제가 소장하고 있는 단일 시리즈의 소설로는 최고의 권수를 자랑하네요.

20권, 역시나 19권에 이어 역시 재미가 쏠쏠합니다. 19권에서 1부(1~4권)의 관련인물들이 등장한다고 했는데 역시나 20권에서도 묵향과 여러 관계로 얽힌 인물들이 등장하구요. 아쉽게도 20권에서도 묵향의 통쾌한 전투나 대결 장면은 등장하지 않네요. 20권에서는 지략을 쓰는 묵향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묵향의 악랄한 복수가 유쾌 상쾌 통쾌합니다.

장인걸 드디어 직접 무림에 나서기 시작하는데 기대보다 강하지 않네요. 묵향과 언제쯤 만나서 처절한 격전을 보여줄지... 이번 20권에서도 아르티어스는 등장하지 않습니다만 다음권에서 아르티어스가 확실히 등장할 것을 약속하며 끝나는군요. 지난 19권때의 느낌처럼 '묵향'의 최종 상대는 주화입마한 아르티어스가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면 또 화려한 대결이 펼처지겠지요.

예정된 20권은 모두 나왔습니다. 하지만 작가 전동조씨는 아직 몇 권의 이야기를 남겨둔 듯합니다. 아마 22권이나 23권이면 이 긴 이야기도 마침표를 찍지 않을까합니다.
2005/06/04 18:46 2005/06/04 18:46

encoding of 20050531

promotion CD로 받은 '서울 전자 음악단'의 1집과 한 동안 잊고 있었던 '포츈 쿠키'의 1집을 찾아내서 추출했죠.

more..

2005/06/03 19:02 2005/06/03 19:02

소규모 아카시아 밴드 in 5월 29일 SoundHolic(2)

역시 2부가 재밌었습니다. 중간에 에그쉐이크와 불량식품 증정 이벤트가 있었지요.

공연 끝나고 뒤풀이도 있었습니다. 다음날이 월요일이라 오래 있지 못해서 아쉬웠죠.

2005/06/02 19:34 2005/06/02 19:34

소규모 아카시아 밴드 in 5월 29일 SoundHolic(1)

지난 일요일 '소규모 아카시아 밴드'의 단독 공연 '꽃놀이 갈까요?'의 전국 투어를 마치고 마지막 서울 앵콜 공연이 있었습니다. 단독 공연은 마직막이었고 앞으로 틈틈이 공연이 있을 것이라고 하는군요.

그리고 소규모 아카시아 밴드의 1집이 모두 팔려 재판이 나온답니다.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거의 구할 수 없고 온라인 매장에서도 곧 다 팔릴 듯한가봐요. 인디씬에서 재판이 나오는 일이 흔하지 않은데 참으로 고무적인 일입니다.

2005/06/02 19:00 2005/06/02 1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