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ne Marlin

미국과 영국 중심의 팝음악 시장을 중심으로 보면

변두리라고 할 수 있는 노르웨이 출신의

'Lene Marlin'이라는 이제 막 20대가 된 싱어송라이터가 있다.

그녀의 음악을 첨 알게 된건

모든 것이 불확실하기만 했던 시기,

그림자를 쫓고 있었던 19살, 재수를 하고 있었을 때였다.

이쁜 얼굴은 아니었지만

그녀의 노래, 그 편안한 멜로디와

간지럽지도 힘이 넘치지도 않는, 그런 목소리가 나 귀를 사로잡았다.

15세 때 나를 사로잡았던 분노가 넘치는 Alanis만큼은 아니지만...

그리고 작년 말에 그녀의 2번째 앨범이 나왔다.

난 뒤늦게 듣게 되어 앨범은 산지는 얼마되지 않았지만...

이번 앨범의 타이틀 곡 'Another day'

참 좋다...

그다지 화려하지 않은 멜로디

그리고 어렵지 안고 적당히 슬프고

마음을 관통해 버리는 듯한 가사...

그리고 그다지 슬프지 않은 목소리...



'Lie to me, say that you need me...'

모든게 좋다...

'Another day' 이 노래를 듣고 있는 지금 이 순간만은...

'this thing called love...'
2004/05/06 23:12 2004/05/06 23:12

아쉬운 이별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듯이

사람사이의 관계도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는 법이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절교, 이주, 사망 등등에 의해

이미 알고 있던 누군가와 헤어지게 된다.

이별하게 된다.

하지만 끝은 또다른 시작이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은 이별하지만 언젠가는 어떻게든 다시 만나게 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만남이 이번 삶에서, 또는 다른 삶에서 이루어지든 말이다.


책 제목 중에 이런 것이 있다.

"우리는 다시 만나기 위해 태어났다."

참 공감이 가는 말이다.

이런 말이 있다.

"옷 깃만 스쳐도 인연이다."

그 정도인데 지금 우리가 매우 가깝게 지내는 사람들은

얼마나 큰 인연일까?

아마 지금의 우리의 부모, 형제, 자매, 친구들

그리고 앞으로 찾아올 배우자, 자녀, 또 새로운 친구들

그들은 모두 우리의 전생에서도 가족이나 가까운 친구였을 정도의

인연이었음에 틀림없다.



"우리는 다시 만나기 위해 태어났다."

나도 잘 알고 있다.

그렇지만 아직까지도 나에게 이별이란 참 힘든 일이다...
2004/05/06 23:11 2004/05/06 2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