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루 + Swinging Popsicle @ 상상마당

1막 2장, '파스텔뮤직 7주년 기념 공연 Stage 1'의 두 번째 무대의 주인공들은 '타루'와 'Swinging Popsicle'이 입니다. '타루'의 첫번째 정규 앨범 리뷰에서도 언급했듯이, Swinging Popsicle이 타루 1집의 프로듀서로 참여하여 작곡 및 연주 등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2008년 1월의 5주년 기념 공연에서도 함께 무대에 오른 일이 있기에 '당연한 일'이라고 하겠습니다. 더구나 타루 1집에 이어 Swinging Popsicle의 새 앨범 'Loud Cut'이 한일동시 발매되면서 한국에서는 파스텔뮤직을 통해 유통되기에, 타루의 쇼케이스일 뿐만아니라 Swinging Popsicle의 쇼케이스도 될 것이라고 예상되었습니다.

금요일 공연과는 다르게 토요일 공연은 '스탠딩'이었는데, 파스텔뮤직에서 공개한 공연 예상 시간은 무려, '대략 3시간'이었습니다. 아무리 좋은 공연이라도 서서 보기에는 쉽지만은 않은 시간이었죠. 또 하루 전 공연과는 다르게 압도적인 남성 우위를 보이는 남녀 성비였습니다. 입장시에 나누어준 뱃지처럼 '김타루로 대동단결'이라는 구호를 외치는 '야생타루당'의 당원들 역시 남성이 압도적인가 봅니다.

오프닝 게스트는 '파스텔뮤직'의 신예로 1집을 준비 중인 '이진우'가 올라왔습니다. 7주년 기념 컴필레이션 앨범의 수록곡으로 '델리스파이스'의 곡을 리메이크한 '고백'을 들려주었습니다. 앨범에서는 'Epitone Project'와 '루싸이트 토끼'의 '조예진', 두 사람과 분담하여 불렀던 곡이기에 홀로 부르는 모습이 바빠 보였습니다. 이어 두 번째이자 마지막 곡으로 준비중인 앨범에 수록될 'Sorry'를 들려주었습니다. 그가 갖고 찾아올 앨범에서 얼마나 그의 매력을 들려줄 수 있을지 궁금해지네요.

메인 무대의 첫 번째 팀은 'Swinging Popsicle'이었습니다. '타루'와 비교하면 뮤지션으로서 상당한 선배이기 때문에 Swinging Popsicle이 먼저 오른 점은 조금은 예외였습니다. 물론 '타루'가 공연의 주최인 파스텔뮤직 소속이고, 파스텔뮤직이 Swinging Popiscle과는 지속적으로 돈독한 관객를 유지하여 왔고 Swinging Popsicle로서는 '초대가수' 정도의 입장이기에 그랬겠지만, 이 노련한 밴드의 너그러운 아량에 감탄할 수 밖에 없네요.

전작인 앨범 'Go on'의 수록곡들과 'Snowism', 그리고 '베란다 고양이'이 정도 외에, 그 이전 앨범들은 거의 모르는 저에게는 낯선 곡들이 몇 곡 이어졌습니다. 첫 곡인 라운지음악풍의 'Afterglow'에 이어 Swinging Popsicle다운 팝 넘버들인 'I love your smile', 'サテツの塔'', 'Remember'였죠. 모두 우리나라에서는 발매되지 않은 앨범들에 수록된 곡들로 특히 'Remember'는 상당히 좋았습니다. 언어의 장벽이 있었지만, 흥을 돋우기에는 부족함이 없었죠. 그리고 그 점이 이 밴드의 내공이었구요.

이번 공연은 세 멤버인 미네코, 히라타, 시마타 외에 드러머 세션인 '코지'와 함께하고 있는데, 그는 미네코와 히라타가 대학교 시절에 같이 밴드를 했던 선배라고 합니다. Same University지만 not same age의 강조가 있었죠. 드러머 코지가 잠깐 무대에서 내려갔고, 미네코는 의자에 앉아 두 곡을 어쿠스틱으로 들려주었습니다. 베란다 고양이나 Snowism 만큼은 아니지만, 제법 귀에 익은 '遠い空''과 'Veranda Neko(베란다 고양이)'가 바로 그 두 곡이었습니다.

다시 드러머가 등장했고, 너무나 귀에 익은 멜로디가 시작되었습니다. 바로 앨범 'Go on'의 첫 곡인 'Rainrounds'였죠. 그러고보니 이 곡의 기타 연주나 곡 구성은 타루 1집의 첫 곡 'Night Flying'의 느낌과 닮아있더군요. 당연히 같은 작곡자이니 그렇겠죠. 이어 5주년 기념공연에서도 라이브로 들려주어 신선했던 'Chocholate Sould Music'이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이 때, 공연장의 분위기는 절정에 오르고 있었죠.

'Joy of Living', '靜寂と流星', 'Something New', 'Change', 'I just wanna kiss you'까지 밴드 사운드에 충실한 곡들이 이어졌습니다. 그 중 'Something New'는 제목처럼 신곡이라고 합니다. 사실 이번 앨범 'Loud Cut'은 완전히 새로운 곡들을 담은 '정규 앨범'이라기보다는, 앨범을 통해서는 미발표된 신곡과 지난 인기곡들을 담은 '스페셜 앨범'에 가까운 앨범입니다.

타루의 무대가 시작되기전, 두 번째 게스트로는 조금은 예상했던 '노리플라이(No Reply)'가 등장했습니다. 바로 이 밴드의 보컬 '권순관'이 타루와 함께 노래했기 때문이죠. 그래도 다른 레이블의 유망주를 게스트로 초대하는 파스텔뮤직의 '대인배 기질'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노리플라이의 '앨범 발매 기념 공연',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 'Live THEY'에 이어 타루의 쇼케이스까지, 최근 상당히 자주 보게되네요. 앞서 이진우도 언급했었지만, 예비군 훈련소를 방물케하는 남성 우위에 조금은 당황한 모습이었습니다.

노리플라이는 앨범 첫 번째 곡인 '끝나지 않은 노래'와 두 번째 곡인 '시야'를 들려주고 내려갔습니다. 곧바로 타루와 함께 불렀던 '내일이 오면'이 이어지리라 기대했는데, 아니었습니다. 노리플라이의 공연은 여성팬이 많고  좌석인데, 이번 공연은 워낙 남성들이 많고 스탠딩이라 반응이 좋았기 때문인지, 두 사람의 모습에서도 전에 느끼지 못했던 열기가 느껴졌습니다. 이 밴드의 노래들은 최근 자주 들었기 때문인지 이제는 조금 따라부르게 되더군요.

드디어 관객 대다수가 기다렸을, 이 날의 주인공 '타루'가 키보드 세션 '오수경'과 등장했습니다. 어둠 속에서 그녀는, 그녀의 1집 쇼케이스를 겸한 파스텔뮤직의 '7주년 기념 공연'이라는 취지에 맞게, 7주년 컴필레이션 앨범에서 그녀가 리메이크했던 'Kiss Kiss'를 들려주었습니다. 워낙 제가 좋아하는 곡이고(스위트피 버전과 타루 버전 둘 다), 싸이월드 뮤직과의 인터뷰에서 이 곡에 대한 그녀의 이야기에 대단히 공감했기에 너무 좋았습니다. 그 이야기는 이렇습니다.

이 노래를 들을 때는 정끝별 시인의 <내 처음 아이> 라는 시가 꼭 떠올라요. 내 안에 아직 다 자라지 못한 어린 소녀를 마주하게 되거든요. 사랑을 주세요. 모두 자신안에 있는 유년시절의 이에게 사랑을 줘야 한다고 생각해요. <타루>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그래서 제가 파스텔뮤직의 여러 뮤지션들과 그들의 음악을 좋아하는 이유이구요. 그들의 음악에는 분명 '유년시절의 이'를 보듬어주는 무엇이 있습니다. 특히 제가 유독 좋아하는 '미스티 블루'가 꼭 그렇습니다. 1집의 '위로'부터 최근 여름 EP의 '빨간 벽돌집 바이엘'까지 그렇습니다. 타루도 그런 곡들을 쓰는 뮤지션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어 앨범 수록곡 가운데 가장 말랑한 곡이라고 할 수 있는  '연애의 방식'이 이어졌습니다. Kiss Kiss는 1집 수록곡이 아니었으니 그렇다고 해도, 앨범 수록곡에서 Swinging Popsicle이 등장하지 않은 점은 예상 밖에었습니다. 기타를 둘러멘 그녀는 기타 연주와 함께 자작곡 한 곡을 들려주었습니다. '여기서 끝내자'라는 곡으로 기대을 뛰어넘는 몰입도와 감수성에 놀랐습니다. 왜 이 곡은 앨범에 수록하지 않았나요?

오프닝 게스트 '이진우'가 기타 세션으로 등장했고 타루와 함께 'Just Go'를 들려주었습니다. 연주는 좋았지만, 그의 코러스는 소리가 조금 큰 감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추모앨범에 수록되었던 '겨울새'가 이어졌습니다. 이미 예고를 했지만, 눈물을 글썽이는 그녀의 얼굴을 보니 마음은 숙연해졌습니다.

오프닝 게스트부터 기타 세션까지 수고해준 이진우가 내려가고, 드디어 Swinging Popiscle이 무대위로 등장했습니다. 오리지널 밴드와 함께 한 첫 곡은 바로 방방 뛰는 분위기의 'Slow Star'였습니다. 분위기를 바꾸어 방방 뛰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녀를 따라 야생타루당원들은 다시 가벼운 마음으로 뛰어올랐습니다. 이어서 새로운 편곡으로 더 신나는 곡이 된 'Yesterday'가 이어졌고 싱얼롱 타임이 시작되었습니다. 절대적 다수를 차지하는 남성팬들의 기세는 좁은 공연장이 아닌, '쌈지 사운드 페스티벌'이나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같이 야외에 방목했다면 슬램이라도 할 기세였습니다. 저는 이렇게 외치고 싶었습니다. '당신의 남동생에게 타루의 노래들 들려주세요. 그리고 그녀의 매력의 노예가 되어 함께 놉시다!'  대한민국 남동생들에게 한 번 즈음은 그녀의 목소리를 들려주어야한다고 생각됩니다.

분위기의 절정은 바로 1집의 타이틀 곡이라고 할 수 있는 'Night Flying'이었습니다. 앨범의 첫 곡이기도 한, 이 곡은 앞으로 타루의 공연에서 언제나 울려퍼질 만한 넘버가 되리라고 생각됩니다. 싱얼롱의 절정이 될 곡이겠구요. 이어서 노리플라이의 권순관이 등장했습니다. 그는 엄청난 열기에 조금은 압도된 분위기였고, 사단을 거느린 타루는 그에게 장난을 쳤습니다. 당연히 '내일이 오면'을 들을 수 있었고 조금은 차분한 분위기가 시작되었습니다. 권순관이 퇴장하고 편안한 팝락 넘버 'Don't let me down', 흥겨운 분위기의 'Talk & Play'와 양심의 판단을 맏기는 '쥐色귀 녹色눈'으로 예정된 순서는 모두 끝났습니다.

당연히도 모든 관객들을 앵콜을 외쳤고, 퇴장했던 타루와 Swinging Popsicle은 다시 무대에 올랐습니다. 그리고 두 곡을 들려주었습니다. 바로 '세탁기'와 'Sad Melody'였습니다. 하지만 독특하게도, Swinging Popsicle의 곡이고 타루가 리메이크한 곡들이기에, 한국어와 일본어로 번갈아 불러 '세탁기 + Snowism'과 'Sad Melody'이 되었습니다. 타루와 미네코가 함께 우리는 두 곡은 앞으로 경험하기 힘든 멋진 앵콜곡들이었습니다. 더불어 앨범을 제작한 오리지널 밴드인 Swinging Popsicle과 함께한 흔하지 않은 공연으로, 타루 1집 및 향후 활동에서 '중요한 이정표'라고 할 수 있는 멋진 공연이었습니다.

3일 연속 공연의 끝, 마지막 날에 뵈요!

2009/09/07 20:50 2009/09/07 20:50

'결코 끝나지 않을 우리들의 이야기' 발매 기념 공연 @ 상상마당

'파스텔뮤직'은 창사 7주년을 기념하여 9월부터 올해 말까지 이어지는 기나긴 공연 시리즈를 준비하였습니다. 총 4개의 'Stage'로 구성되었고 첫 번째 Stage가 9월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상상마당'에서 열렸습니다. 첫 번째는 바로, 역시 7주년을 기념하여 발매된 컴필레이션 앨범 '결코 끝나지 않을 우리들의 이야기'의 발매기념 공연이었습니다. 이 컴필레이션의 부제는 'Hommage to Moonrise'로 이 부제처럼, 바로 '문라이즈 레코드'에서 발매되었고, 얼마전 파스텔뮤직을 통해 재발매된 '스위트피(김민규)'의 첫 번째 앨범 'Neverendingstories(결코 끝나지 않을 이야기들)'에 오마쥬가 담긴 제목이기도 합니다.

이전 컴필레이션 앨범 '크래커'나 '12 songs about you'의 발매기념 공연에서 앨범에 참여했던 대부분의 뮤지션들이 공연에 참여했던 것처럼, '발매 기념 공연'이라고 하여 모든 뮤지션들이 등장한 것을 기대한다면 큰 오해일 수도 있겠습니다. 이번 '발매 기념 공연'에는 참여 뮤지션 중 상대적으로 최근 공연이 없거나 좀 한가한(?) 뮤지션 세 팀이 참여했습니다. 바로 순서대로 '루싸이트 토끼', '재주소년', '짙은'이었습니다.

3일 연속 공연의 시작, 1막 1장의 오프닝을 담당한 '루싸이트 토끼'는 꿈같은 공연으로 초대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는지, '꿈에선 놀아줘'로 문을 열었습니다. 이어 소박한 연애감정을 노래하는 '비오는 날'이 이어졌죠. 두 멤버와 키보드의 세션의 소개도 있었는데, '뭐뭐를 담당한 누구'로 소개하는데 그 담당 영역이 조금 달라졌습니다. 요리나 멘트 담당이 있었던거 같은데 이번 소개에서는 빠졌더군요. 그리고 카피곡으로 'Joni Michell'의 'Big Yellow Taxi'가 이어졌습니다. FPM이나 Mondo Grosso의 노래를 카피한 적이 몇 번 있었는데 이 곡은 처음이었습니다. 마지막에 보컬 조예진의 음역 변화로 깜짝 놀랐습니다.

모 건전지의 광고에 등장하는 북치는 토끼에서 영감을 얻어, 토끼의 애환을 담은 '북 치는 토끼'와 '12월'이 이어졌습니다. 1집의 타이틀 곡이었던 12월에 대한 일화로, 2007년 12월 즈음에 라디오 방송에 나간적이 있는데 PD가 12월이 다갔다고 타박을 주었던 이야기를 소개했습니다. 앨범 발매가 2007년 12월 초여서 충분히 홍보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을 텐데, 그래서 '루싸이트 토끼'는 '뒷 북 치는 토끼'가 되어버린거죠.

역시 '12월'처럼 9월과는 어울리지 않는, 아른한 봄을 노래하는 '봄봄봄'과 마지막 곡이자 2집에 수록될 '손 꼭 잡고'로 순서는 끝났습니다. 10월 경에 앨범 발매와 쇼케이스가 예정되어있는 '루싸이트 토끼'로서는 1집을 정리하는 의미의 공연이었다고 하겠습니다. 이제 다음 공연부터는 2집의 신곡 위주로 꾸려나갈테니 1집의 수록곡은 몇몇만 들을 수 있겠죠.

두 번째는 '재주소년'이었습니다. 문라이즈 레코드에 소속되어 세 장의 앨범을 발매했을 때부터 알고 있었고, 파스텔뮤직 소속으로 발매한 EP '마지막 춤은 나와 함께'도 갖고 있지만 공연은 처음이었습니다. 두 명의 남자로 이루어진 팀으로 이미지는 그들이 들려주었던 노래와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스크린이 오르고 세 곡 '오사카', 'Heart', '마르세유'을 연속으로 들려주었습니다. 그 중에 '마르세유'의 프랑스의 도시 마르세유와 관련된 이야기를 들려주었는데 사실인지 정말 궁금해지더군요.

조용조용한 곡들을 들려주는 두 사람은, 2003년부터 활동하였으니 약 6~7년 정도의 짧지 않은 기간이었지만 멘트에서는 수줍은 모습들을 보여주었습니다. 더구나 두 사람이 서로의 멘트를 중간에 잘라서, 마치 달리기를 하는데 왼발이 오른발에 걸려, 오른발이 왼발에 걸려 자꾸 넘어지는 상황이 연출되었습니다. 물론 재밌었지만요. 이른의 아침의 조깅같은 '간만의 외출'과 너무나 멋들어진 제목의 '그래서 그런지 현실이 낯설었어'을 들려주었습니다. 재밌는 듀오였지만, '그래서 그런지...'에서 은근히 진지한 목소리도 좋았습니다.

7주년 컴필레이션에서 '요조'가 리메이크했던 '귤'도 들을 수 있었는데, 요조 버전과 비슷한 감성이었죠. 컴필레이션에 수록된 신곡 '농구공'과 '이분단 셋째줄'을 들려주고 스크린은 내려왔습니다. '재주소년'이라는 이름은 바로 문라이즈 레코드의 사장이었던 '김민규'가 붙여준 이름이랍니다. 처음 문라이즈 레코드로 데모 테잎을 보냈을 때, 겉에 써있던 '제주대 1학년...'을 보고 '재주소년'이라도 지어주었다네요 '제주'가 '재주'가 된 것은 '지역색'을 지우기 위해서라네요. 저도 '재주소년'이 '제주도'에서 유래되었다고 읽은 기억이 있네요. 그런데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X놈이 번다'에 빗대어 '재주는 소년이 부리고 돈은 사장이 번다'는 실없는 농담이 머릿속에 떠올랐습니다.

재주소년의 음악에서는 야구만화라기보다 야구를 차용한 성장만화였던 'H2'의 작가 '마다치 미츠루'의 작품들처럼 여백의 미가 있으면서도 진중하게 '성장'에 대해 고민하는 흔적이 느껴집니다. 언제쯤 '재주소년'은 '재주청년'이 되어있을까요? 갑자기 '재주중년'이 되어버리지는 않겠죠?

마지막은 '짙은'으로 미모의 첼리스트와 함께 등장하였습니다. 세 팀다 조용한 음악이고 뭔가 '매니악'한 구석도 있어 보이는데 '루싸이트 토끼'가 세 명의 '동인녀'같았고, 재주소년이 그야말로 건프라와 비디오 게임의 '오덕후'같았다고 한다면, 짙은은 'AV 매니아' 정도는 붙여줘야할 법했습니다.(물론 농담입니다.) 개인적으로 짙은의 EP 'Rock Doves'를 발매한 날 클럽 '롤링스톤스2'에서 공연을 보고 EP를 구입했던 기억이 있는데, 여러모로 아쉬웠습니다. 그 당시만해도 그의 보컬에서는 어떤 '과잉'이 있었습니다. 지금과는 다르게 공연에서 과도하게 사용한 '바이브레이션'이 그 과잉이었죠. 그렇게 좋지 않은 첫인상 때문인지, 이후로 그의 공연은 찾아가지 않게 되었죠.

첫 곡으로 '나비섬'을 들려주었습니다. 이어 들려준 '동물원'은 바로 7주년 컴필레이션에 수록된, '토마스 쿡(정순용)'의 곡을 리메이크한 곡으로, 어쩌면 슬프게도, 이번 공연에서 그가 들려준 어떤 곡들보다도 좋았습니다. 밴드 '동물원'의 이야기를 하면서 '다른 모습'을 이야기하기에 '혹시 밴드 이름처럼 술을 마시면 짐승으로 변하기라도 하나' 이런 망상을 했지만, 역시 어림없었습니다. 미모의 첼리스트는 얼마전에 솔로 앨범을 발표한 'Eterno 지송'이라고 합니다. 첼로의 고수라고 하는데, 역시 대단한 연주를 들려주었습니다. 싱글로 발표된 'December'를 들려주었습니다. 그런데 December는 바로 12월로 어찌보면 루싸이트 토끼와 같은 제목이 되네요. 드라마 '트리플' OST에 수록된 'Feel Alright'과 1집의 타이틀 곡 '곁에'가 이어졌습니다. 그가 아끼는 EP 수록곡 'Wonderland'도 들을 수 있었고, '괜찮아'로 첫 째날의 공연이 끝났습니다.

제가 그에게 느꼈던 '과잉의 첫 인상'은 이제 지워야겠습니다. 왠지 클라이막스가 나와야할 법한 곡에서 그 정상까지 올라가지 않는 점은 조금 아쉽지만, 그 나름대로의 '절제의 미덕'을 갖춘 지금의 모습에서 그의 다음 공연이 조금은 기대가 되더군요. 짙은은 'Stage 2'에서 단독 공연이 9월 26일에 예정되어있습니다. 관객들이 퇴장이 끝나고 바로 다음날 공연이 있는 'Swinging Popsicle'이 공연을 위해 상상마당을 찾아오기도 했습니다. 다음 이야기에서 만나죠.

2009/09/07 03:31 2009/09/07 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