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달빛 - 28

28세의 청춘이 청춘에게 보내는 연가, '옥상달빛'의 '28'.

작년(2010년) 1월에 발표된 '옥탑라됴'로 가장 뜨거운 여성 듀오로 올라선 '옥상달빛'이 큰 기대 속에 2011년 4월 첫 정규앨범 '28'을 발표했습니다. '28'이라는 앨범 제목은 84년 생 동갑내기 두 멤버, '김윤주'와 '박세진'의 올해 나이와도 같은 숫자입니다. 밴드 '10cm'의 발음 '십센치'를 발음할 때 주의가 필요하듯, 28(이십팔)의 발음도 요주의입니다.

앨범을 여는 첫 곡은 'Dalmoon'입니다. 'dalmoon'은 옥상달빛의 클럽 주소이기도 한데, 우리말로 '달문'은 '달무리'의 사투리이기도 합니다. 피아노 연주에 이어지는 기타연주는, 대지를 촉촉히 적시던 비구름을 지나 모습을 드러낸 은은한 달빛을 떠오르게 합니다. 편안한 보사노바 연주와 두 멤버의 아름다운 화음이 돋보입니다.

데뷔 EP '옥탑랴됴'의 첫 곡부터 '안녕'을 고하던 두 사람이 이제는 어쩐일인지 '안부'를 묻습니다. 흥겨운 왈츠의 세박자와 '박세진'이 또렷히 선창하고 '김윤주'가 아련하게 되받는 구조는 친근한 동요를 떠오르게 합니다.

'없는게 메리트'는 이 앨범의 타이틀 곡입니다. 제목에서부터 EP의 '하드코어 인생아'처럼 '88만원 세대의 애환'이 느껴집니다. 하지만 잔잔한 모던포크 여성 듀오의 입으로 '어차피 인생은 굴러먹다가는 뜬 구름같은...'이라는 충격적인 한 줄로 현실을 적나라하게 표현했던 '하드코어 인생아'의 임팩트를 기대했다면 큰 오산입니다. '없는게 메리트'에서는 오히려 발랄한 멜로디로 88만원 세대의 '찬란한 슬픔'을 희망으로 바꾸려했다면 큰 욕심이 아니었을까요? 해학을 담으려했던 '없는게 메리트, 있는게 젊음'이라는 가사는 'A는 B이고 C는 D이다'라고 문법적 해석을 생각한다면 '메리트는 없고 젊음은 있다'라고 들리기까지 합니다. 분위기 환기에는 성공이지만 메시지 전달에는 실패입니다. 이 곡은 정말 '메리트'가 없네요.

평이하고 무난한 사랑노래 '보호해줘'를 지나 '그래야 할 때'는 오히려 이 앨범을 대표할 만한 매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지난 EP에서 김윤주의 보컬이 두드러졌다면 이번 정규앨범에서는 반대로 박세진의 보컬이 두드러지는 경향인데, 이 곡 역시 그렇습니다. '안부'처럼 박세진이 주고 김윤주가 받고 결국 같이 부르는 진행은 지난 EP의 'Another Day'나 '외롭지 않아'처럼 여성 듀오의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하모니를 들려줍니다. Azure Ray가 떠오르는 건 저 뿐인가요?

앨범 제목은 '28'이지만 앨범에는 같은 제목의 곡은 없고, 대신 3이 줄어든 '25'이 있습니다. EP의 '가장 쉬운 이야기'처럼 친구들과 함께했고 잡담까지 포함된 원테이크(one take) 트랙으로 앨범 제작비 절감을 위한 두 멤버의 눈물겨운 노력이 느껴집니다. 하지만 '가장 쉬운 이야기'의 메시지를 생각한다면 '25'는 아쉽기 그지없습니다. 두 멤버가 만났던 25세의 시작을 노래할지도 모르겠지만, '25'을 '28'에 담기에는 너무 늦었습니다. 이 앨범 전반에서 느껴지는 아쉬움을 생각한다면, 이 앨범의 제목을 '25'로 하고 두 멤버가 27세에 발표한 EP '옥탑랴됴'보다 2년 앞서 '진짜 25세때' 발표했다면 좋았을 법합니다.

'수고했어, 오늘도'는 '피로를 풀어주는' 모 음료처럼 달달한 청량감을 선사합니다. 가장 짧은 곡이지만, 아마도 두 멤버가 88만원 세대에게 전하려고 했던 위로의 메시지가 가장 간결하면서도 또렷하게 담겨있는듯 합니다.

'똥개훈련'은 누구나 하나씩은 갖고 있을 법한 어린시절의 강아지에 대한 추억을 노래하는 곡입니다. 잔잔하게 추억을 되세기는 시작은 좋지만, 애처로움을 극대화하려는 후렴구는 어쩐지 우습습니다. 순수한 아이의 똥개훈련이 아닌 악랄한 아이의 강아지를 괴롭히기 위한 사탕발림으로 밖에 들리지 않는다면 너무 색안경일까요?

'고요한'은 역시 여성 보컬의 장점이 빛나는 곡입니다. '피아노와 현악'의 사기스러운 조합은 대부분의 경우에서 보컬을 더욱 빛나게 하고, 여성 보컬과 만나면 그 장점이 더욱 빛나는데, 바로 그렇습니다. 하지만 이 곡이 들려주는 분위기와 구성은 이 듀오의 본래적인 분위기라기 보다는 빌려온 느낌이 강한데, 개인적으로는 'Alice in Neverland'의 첫 앨범에 수록되었고 '장필순'이 불렀던 '그 여름 가장 조용한 바다'가 떠오르네요.

'옥탑라됴2'는 바로 EP에서 두 멤버의 재치가 빛났던 '옥탑라됴'의 후속편입니다. 역시 두 멤버가 주고 받는 입담과 자화자찬이 재밌습니다.(더불어 이 듀오의 '라디오 방송'에 대한 욕심이 조금은 담겨있을지도 모릅니다.) 전작처럼 역시 다음 트랙으로 이어집니다.

이어지는 '정말 고마워서 만든 노래'는 제목 그대로 두 멤버가 서로에게 고마움을 담고 있습니다. 앨범의 마지막 '그래야 할때 (string version)'은 정체를 알 수 없는 트랙입니다. 앞선 원곡이 어쿠스틱이었기에 'string version'이라 하면  현악 편곡으로 보컬에 현악 연주를 더한 곡을 생각하는게 보통인데, 이 트랙은 제목 그대로 '현악으로만' 진행되는 반전을 담고 있습니다. 분명 듣기 좋은 트랙이지만, 앨범 전체를 생각했을 때는 의도를 알 수가 없네요.

최근 주목을 받은 후속작 가운데 이렇게나 '소포모어 징크스'가 철저하게 느껴질 만한 앨범이 있었던가요? 기교적인 면에서 여성 듀오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내고 있지만, 앨범의 구성과 메시지는 너무나 혼란스럽습니다. 개별적으로 들으면 나쁘지 않았을지도 모르겠지만, 앨범의 각 곡들이 전하려는 메시지와 그 접근 방법은 너무나 산만하여 앨범을 관통하는 일관성이 들리지 않습니다. EP '옥탑라됴'의 임팩트가 남긴 흔적은 너무나 흐릿합니다. 별점은 3개입니다.
2011/05/28 03:14 2011/05/28 03:14

Sentimental Scenery - Soundscape

오랜 기다림 그리고 새로운 시작 'Sentimental Scenery(센티멘탈 시너리)'의 'Soundscape'.

예상 밖의 오랜 기다림이었습니다. 첫 정규앨범이 이렇게나 지연될 줄 누가 알았을까요? 센티멘탈 시너리는 디지털앨범으로 활동하다 파스텔뮤직 합류 이후 2008년 '타루'의 EP를 프로듀싱하고 2009년에는 컴필레이션 앨범 '사랑의 단상 2'에 참여 및 기존 음원들에 신곡을 추가한 스페셜 앨범 'Harp Song + Sentimental Scene'을 발표하면서 활발한 활동을 기대하게 했죠. 더불어 광고음악으로도 만나면서 그 기대를 어느 정도 충족시켰습니다. 하지만 '신곡 가득'한 기대를 채워줄 정규앨범의 소식은 2010년 한 해가 다 지나가도 들을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2011년 4월, 드디어 정규앨범 'Soundscape'이 발표되었습니다.

가장 먼저 눈길을 사로잡는 건, 지난 스페셜 앨범의 연장선 위에 있는, 독특한 일러스트입니다. 일본의 유명한 그래픽 아티스트 'Marumiyan'의 작품입니다. 일본에서는 이미 여러 뮤지션들의 앨범이 그의 일러스트로 멋지게 꾸며졌고, 국내에서는 역시 파스텔뮤직 소속인 '짙은'의 앨범에서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스페셜 앨범을 소장하고 있다면, 바로 부클릿에서 채색만 다른 일러스트가 실렸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앨범을 여는 'Spring Breeze'는 따뜻한 '봄의 미풍'을 의미하는 제목과는 다르게 상당히 드라마틱하게 시작합니다. 애수에 찬 피아노 연주와 스트링은 청자의 신경을 사로잡을 만큼 인상적입니다. 'Paris Match'의 'Mizuno Mari'가 보컬로 참여했는데 알아들을 수 없는 소리를 들려줍니다. 앨범 부클릿을 살펴보면 11번 트랙인 Moonlight를 재구성(Reconstitution)했다는 문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Moonlight'를 위해 녹음한 보컬 트랙을 변조하거나 거꾸로 재생시켰나 봅니다.

'Tune of Stars'는 이 앨범에서 가장 흥미롭고 매력적인 트랙입니다. 앞선 트랙이 일본의 Mizuno Mari가 참여한데 이어, 이 곡에서는 미국 브루클린에서 활동 중이며, 얼마전 국내에는 파스텔뮤직을 통해 EP를 발표한 'Hee Young'이 참여하여, 이 앨범이 '글로벌 프로젝트(?)'가 되는데 일조하고 있습니다. 그녀의 EP에서 들려준 매력과는 다른 달콤한 보컬은 이 곡에 잘 녹아들어, Soundscape라는 청각과 시각이 합쳐진 공감각적인 타이틀만큼이나 공감각적인, '별들의 선율'을 의미하는 제목의 이 곡을 반짝반짝 빛나게 합니다.

'Childhood'는 유년기에 대한 동경이 느껴지는 연주곡으로, 피아노 연주가 중심이 된 흐름은 SS의 뉴에이지 경력을 떠오르게 합니다. 반짝반짝하는 밤하늘을 포착한 앞선 곡처럼, 반짝반짝 빛나던 한 순간에 대한 그리움을 담은 스트링이 아름답습니다.

오랜만에 '센티멘타루(SentimenTaru)'의 재결성인 'Brand New Life'는 '타루'와 함께한 이 앨범의 타이틀 곡입니다. 타루와 함께하는 SS는 언제나 멋진 결과물을 보여주었습니다. 다만 아쉬운 점은 너무나 익숙한 타루의 음성은 이 곡이 SS의 앨범이 아닌 그녀의 앨범 수록곡으로 느껴지게 한다는 점입니다.

'Glory Days'는 준수한 SS의 보컬이 돋보이는 트랙입니다. '음악적 풍광'을 의미하며, 청각과 시각의 공감각적인 타이틀과는 또 다른 처음 4개의 트랙들이 다분이 '시간적인(봄, 유년기,삶, 나날들)' 제목을 달고 있는 곡들이 많은 점은 흥미롭습니다. SS가 표현하고 싶은 Soundscape는 '인생을 담은 파노라마'일까요?

'Heavenly Sky'는 주로 '에피톤 프로젝트'와 호흡을 맞춰오던 '심규선'이 참여했습니다. 'Soundscape'의 발매에 앞서 공개된 티저 영상에 사용되었던 바로 그 곡으로, 시원시원한 목소리를 통해, 제목처럼 '상쾌한 하늘'을 그려내고 있습니다. 이번 앨범의 타이틀 곡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할 만한 임팩트가 느껴지네요.

앨범 제목과 동일한 'Soundscape'에서는 '얼후' 연주가 매력적인 연주곡입니다. 우수에 찬 바이올린 만큼이나 서글픈 선율을 들려주는 얼후는 동양적인 감성을 들려주면서도 피아노, 드럼과 어우러져 이국적인 째즈의 분의기를 자아냅니다. 동양적인 감수성과 서양적인 화법이 만나는 지점에 Soundscape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해금' 같은 악기와 협연하였다면 어떤 소리를 들을 수 있을지도 궁금해 지네요.

'Blingbling'은 이미 너무 익숙한 트랙이죠? 바로 광고을 위해 만들어졌던 곡으로 약 2년이나 지났지만 지금 들어도 신선한 느낌이 듭니다. 다만 이 앨범이 더 빨리 나왔다면 이 곡이 더 빛나지 않았을까 하네요. 2009년에 SS와 타루가 각각 보컬을 담담한 두 가지 버전이 공개되었었는데 이번 앨범에는 타루와 함께한 버전이 수록되었습니다.

'Ashes of Love'는 컴필레이션 '사랑의 단상 2'에 수록되기도 했던 곡입니다. 뜨겁게 불타오른 사랑이 지난간 자리에 남은 '사랑의 재', 사랑의 재는 사랑의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임을 표현한 곡이라고 생각됩니다. 완전히 불타오르면서 죽음을 맞이하고 그 재 속에서 다시 부활한다는 '불사조'처럼 말이죠.

'Lost Paradise'는 제목처럼 손에 잡히지 않는 '잃어버린 천국'을 그려냅니다. 차창 밖으로 빠르게 스치는 풍경들, 투명한 유리구슬 넘어 보이는 맑게 일그러진 모습들, 희미한 기억속에 드리운 문발을 넘어 햇볕을 등진 그림자들...가까이 있지만 잡을 수 없는 환영들이 스쳐갑니다.

'Moonlight'는 Mizuno Mari가 '제대로' 참여한 트랙입니다. 시를 읇는듯, 일렉트로닉 사운드에 휘둘리지 않는 '차분한 절제의 미덕'이 담긴 Mizuno Mari의 목소리는 고즈넉한 '달빛(Moonlight)'처럼 차가운 빛을 발산합니다. SS를 일본인 뮤지션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런 곡들이라면 충분히 그럴 만 하겠네요.

앨범을 닫는 트랙은 제목 그대로 마지막을 의미하는 'Finale'입니다. 절정으로 치닫는 화려한 사운드로 마지막을 장식하는 이 곡은 SS가 창조한 'Soundscape'의 절경을 그려냅니다. 지구 한 귀퉁이에서 부는 '봄의 미풍(Spring Breeze)'로 시작하여 우주적인 대폭발, '수퍼노바(Supernova)'로 확장되는 Soundscape의 여행은 아름답습니다.

오랜 기다림을 배신하지 않는 12개의 트랙으로 찾아온 'Soundscape'는 센티멘탈 시너리가 지향하는 Sentimental Sound의 연장선 위에서 새로운 확장을 보여줌이다. 지난 스페셜 앨범과는 달리, 'Paris Match'로 유명한 일본의 'Mizuno Mari'와 한국계이지만 파스텔뮤직에서도 해외 뮤지션으로 분류되는 'Hee Young', '에피톤 프로젝트'와의 합작으로 검증된 '심규선', 그리고 센티멘탈 시너리와의 궁합이 검증된 '타루'까지 다양한 음색의 객원보컬들을 적극 활용하여, 대중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고, '한미일' 국제적인 스케일로 해외 진출의 가능성도 담아냈습니다.

첫 정규앨범, 아직 20대인 센티멘탈 시너리에게는 이제 시작일 뿐입니다. 데뷔 초기에 한국을 뛰어넘는 사운드로 일본인 뮤지션으로 오해를 샀던 센티멘탈 시너리, 이제 활발한 활동과 함께 그의 재능을 만개하여 한국을 넘어 해외까지 알릴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별점은 4.5개입니다.

2011/05/16 23:03 2011/05/16 23:03

소규모 아카시아 밴드 - CIAOSMOS

'소규모 아카시아 밴드'의 언젠가 올 이별들을 위한 인사, 'CIAOSMOS'.

혼성 듀오 '소규모 아카시아 밴드(이하 소규모)'가 네 번째 앨범을 발표하기까지 정말 예상외의 일들이 많았네요. 2004년 12월에 발매된 데뷔앨범 '소의 성공과 2006년의 두 번째 앨범 '입술이 달빛'이 소포모어 징크스를 무색하게 할 만한 완성도를 보여준 점이나 전작과는 다른 색채를 보여준 점이 그러했죠. 또 2007년에 세 번째 앨범 '우리는 소규모 아카시아 밴드입니다'를 발표하면서 '요조'와 함께한 'My Name is Yozoh'를 발표한 점도 그러했고 그 덕분에(?) 세 번째 앨범이 가려진 점도 그러했네요. 2008년에는 여행앨범 '일곱날들'을 발표하면서 '거의 1년에 앨범 한 장'이라는 왕성한 창작력을 이어가는 모습이었지만, 2009년과 2010년을 그냥 넘어간 점도 역시 그러했구요. 당연히 금방 찾아올 새 앨범을 기다린 팬들에게는 긴 기다림의 시간이었겠고, Discography로는 2년이 넘는 공백이 있었지만 간간히 공연 활동을 이어가면서 새로운 곡들을 보여주었기에, 네 번째 앨범에 대한 기다림은 더욱 컸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낮선 제목 'CIAOSMOS'는 이탈리아어로 '안녕'을 의미하는 'Ciao'와 우주를 의미하는 'Cosmos'의 합성어로 '안녕으로 가득한 우주'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앨범을 여는 첫 곡의 제목 역시 'Ciaosmos'입니다. IDM을 연상시킬 만한 조용한 전자음들과 함께 시작하여 보컬 '은지'의 음성이 은은히 울려퍼지면서, 많은 소규모의 팬들 마음 한 구석에 숨겨놓았던, 데뷔앨범에 대한 그리움이 다시 물씬 피어납니다. 소규모의 '음악적 우주'에 접근합니다. 반갑습니다.

'언젠가 올 우리의 이별들을 위해'로 맺음하는 짧지만 강렬한 가사는 엄청난 몰입에 빠져들게 합니다. 4분에 이르는 긴 인트로라고 할 수 있지만 마치 30초 정도로 느껴질 만큼 빠르게 지나갑니다. 'Dream is Over'는 소규모식의 미니멀리즘이 돋보입니다. 단촐한 악기 구성과 간단히 반복되는 구조의 가사가 그렇습니다. 적당히 흥겨운 분위기는 2집와 맞닿아 있으면서도, 지나치지 않는 중용은 1집에 가깝게도 들립니다.

'Ladybird'는 2009년에서 2010년 사이의 공연들에 참여한 청자라면 들어보았을 곡입니다. 바로 'Bugs fly again'으로 공개되었던 곡으로 가사가 완성되면서 혐오스러울 수 있는 bugs에서 ladybird로 바뀌었나 봅니다. 전자음(삐)과 자연음(새소리)가 어우러진 배경음은 조용한 이 곡의 명상적인 분위기를 더합니다. 이어지는 'Life is Noise'는 여러면에서 'Ladybird'와 한 쌍같은 곡입니다. 이어지는 배경음이 그렇고 연주도 그렇습니다. 이 앨범에서 전체적으로 자연음과 소음(noise)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 아예 제목에서 '인생은 소음이다'라고 외치고 있습니다. Ciaosmos를 대표하는 모토일까요? 콧소리 섞인 민홍의 목소리는 약간 귀를 거슬리며 '코러스'와 '소음' 경계에 위치합니다.

창밖으로 스쳐지나는, 복잡한 도시를 그려낸 '23 Red Ocean' 역시 독특한 샘플링이 인상적입니다. 명상적이고 정중동의 이미지를 그려내는 '물에 사는 돌'은 어느 트랙보다도 소규모의 '회귀'를 느낄 수 있게합니다. 가장 편안한 구성으로 감동을 극대화하는 소규모의 기교가 빛납니다. '서부간선'은 소규모의 앨범들에 감초처럼 껴있는 '민홍 보컬'의 트랙입니다. 지난 앨범들에서 느끼기 힘든 락킹한 사운드를 즐길 수 있습니다.

'좋아하는 것, 괜찮은 것'에서는 '~것'의 열거와 놀림노래 형식의 믹스로 소소한 재미를 들을 수 있습니다. '던져지고 있는 돌'도 공연들에서 들을 수 있던 곡입니다. 쉐이크와 드럼 소리로 시작되는 공연에서 볼 수있는 '소규모다운' 구성으로 무대 위의 소규모가 그리워지게 합니다. 마지막은 연주곡 'Love on'입니다. 안녕으로 가득한 우주이지만 '사랑은 계속되어야한다'는, 평소 소규모의 철학이 담겨있는 곡이 아닐까 하네요.

오랜만에 찾아온 네 번째 앨범 'CIAOSMOS'는 이렇게 10개의 트랙으로 막을 내립니다. 오랜 기다림과 공연들에서 들을 수 있었지만 이번 앨범에 실리지 않은 곡들을 생각한다면 '10'이라는 숫자는 아쉽기 그지없습니다. 짧아서 아쉽지만, 이번 앨범에서 들려주는 영미 인디음악에서나 들을 만한 참신한 시도들은 귀를 즐겁게 합니다. 소규모 아카시아 밴드의 우주는 이제 시작일지도 모릅니다. 이제 좀 더 황성한 활동을 기대해 봅니다. 별점은 4개입니다.
2011/05/03 21:31 2011/05/03 2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