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년 초 '아이폰4'로 스마트폰 사용을 시작하여, 약정기간인 2년을 넘어가니 아이폰4의 기능들이 하나 둘씩 문제를 일으키기 시작했습니다. 이미 작년에 알 수 없는 고장을 일으켰고, 다행히 보험으로 수리를 해서 잘 사용하고 있었으나 시간에는 어쩔 수 없나 봅니다. 사소한 불편함들이 늘어났고, 시대에 뛰떨지게 작은 화면 크기는 가장 큰 불만이었습니다. 더불어 얼마전 iOS7으로 업데이트하면서, iOS7을 지원하는 최하위 기종답게 하드웨어적으로 부족한 모습을 보이면서 스마트폰 교체하려는 마음에 더욱 힘을 실어주었네요.
3G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쓰고 있었고, wibro 및 인터넷 상품(약정)과 묶어서 저렴하게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번호이동은 어려웠고, 기기변경이나 같은 통신사로 신규가입을 해야 폰을 저렴하게 구할 수 있기에 고민이 좀 있었습니다. 현재 3G 스마트폰은 단종에 가까워지면서 쓸 만한 기종이 거의 없기에 선택의 폭이 거의 없었고, 그렇기에 신규가입도 기본적으로 요금이 비싼 4G LTE로 해야하기 때문이었죠. 사실 데이터를 많이 쓰는 편은 아니지만, iPad를 사용하기에 가끔 테더링까지 제대로 쓰는 달에는 1~2Gb 정도는 사용하기 때문에 저렴한 요금제도 사용할 수 없었고, 현재 (각종 할인을 받아) 쓰고 있는 3G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보다 비싸질 수 밖에 없더군요. (현재 3G 데이터 무제한 + 인터넷 + wibro 30Gb를 묶어서 월 6만원 정도에 이용하고 있습니다.) 결국 요금제를 유지하고, 자급제 폰을 구입하여 기기변경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리고 최종 선택은 '3G 끝판왕'이라도 불리는 'Nexus 4(넥서스4)'가 되었습니다.
현재 시중에 판매중인 자급제 스마트폰들은 저렴하지만 그만큼 기기 사양이 낮은데, 'LG'가 만들고 'Google'이 판매하는 '넥서스4'는 '3G 끝판왕'답게 준수한 사양에 합리적인 가격을 갖춘 점이 매력이었습니다. 더구나 최근 8Gb 모델이 299,000원, 16Gb 모델이 359,000원으로 가격 인하되었기에 구입하기에 좋은 기회였습니다. 가격을 내린 이유가 후속 기종의 출시에 앞서 재고소진일 확율이 높기에 더 늦으면 구입할 수 없을 수도 있기에 서둘렀죠.
9월 30일 낮에 '구글 플레이(Google Play)'에서 주문하였고, 10월 2일에 '출고 및 배송'이 시작된다고 하여서 느긋하게 기다리려고 했는데, 바로 다음날인 10월 1일에 통관이 완료되었다는 문자를 받았고 그 다음날인 10월 2일에는 택배를 받아 볼 수 있었습니다. 참고로 넥서스4는 Made in Korea, 자랑스러운 국내 생산 제품이지만 홍콩에서 배송을 시작하는 일종의 '역수입' 제품입니다. 한국 구글에서 판매하는 제품이기에 관세 등 별도의 통관 비용은 없었고, 배송비도 무료입니다.
'디스트릭트 9(District 9)' 한 편으로 SF 영화 매니아들을 사로잡은 '닐 블롬캠프' 감독의 신작 '엘리시움(Elysium)'.
닐 블롬캠프 감독의 헐리우드 데뷔작 '디스트릭스 9'은 다큐멘터리의 형식을 빌린 SF 영화로서, 근미래를 배경으로 꽤 잘 짜여진 사실성과 개연성으로 전세계 SF 매니아들을 열광시키기에 충분했고, 새로운 SF 거장의 탄생을 예감하게 했습니다. 더구나 결말에서는 후속편을 강하게 암시하였기에, '디스트릭트 10'을 기다리는 SF 매니아들은 상당히 많았을 듯합니다. 하지만 닐 블롬캠프는 '디스트릭트 9의 후속편은 없다'고 선언했고, 그의 차기작으로 밝힌 '엘리시움'이 국내에서도 개봉했습니다.
이번 엘리시움의 배경이 되는 가까운 미래의 미국 'LA'의 모습은 전작의 배경이었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소외된 계층이 살아가는 빈민가, 슬럼가의 모습은 매우 닮아있어서 디스트릭트 9을 떠올리기에도 충분합니다. 이런 열악환 환경을 그려내면서 역시 전작처럼 계층간의 갈등을 통해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모습 또한 비슷합니다. 다만 전작이 '가난한 난민 외계인과 부유한 지구인'사이에서의 갈등은 한 지구인이 겪는 사건에 대한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풀어냈다면, 이번에는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인류 계층사이의 갈등을 한 사람의 삶을 통해 그려가고 있습니다. 영화 속 배경 뿐만 아니라, 다큐멘터리처럼 hand-held camera의 시각으로 움직임을 쫓는 장면들이나, SF영화에서 빠질 수 없는 첨단 무기와 장비들 역시 엘리시움이 디스트릭트 9과 땔 수 없는 연관성을 느끼게 합니다.
디스트릭트 9에서 지구인과 외계인의 갈등을 통해 인류 빈부 격차에 따른 갈등을 우회적으로 꼬집고 있다면, 엘리시움에서는 그런 빈부 격차에 따른 갈등을 직접적으로 보여주고 더 나아가 그 격차에 따른 '건강와 의료' 문제를 직접적으로 드러냅니다. 주인공 맥스(맷 데이먼)을 포함해서 영화 속 LA의 빈민들이 엘리시움에 가고 싶은 이유도 바로 생명과 관련된 '의료 서비스' 문제 때문입니다. 이는 현재 미국을 비롯한 서구화된 몇몇 나라들에서 빈부 격차에 따라, 생명 유지의 기본이 되는 '의료 서비스'에서도 극심한 차이를 보이는 세태를 풍자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영화가 던지는 생명과 희생의 메시지는 그럴싸 하지만, 개연성에서는 부족합니다. 영화 속 복선들로 결말은 예상이 가능하지만 예상을 빗나가지 않는 점도 아쉽습니다. 100여분이라는 조금 부족했는지, 막판에는 성급하게 결말로 달려가는 기분입니다. 엘리시움 내에서의 알력 싸움이나 등장 인물들의 갈등에 충분한 시간이 할애되지 않은 점은 뭔가 빠진 느낌이 들게 합니다.
전작의 주인공이었던 '샬토 코플리'가 악역으로 등장하면서 변신을 꽤했는데, 개인적으로 그는 악당 두목보다는 두목의 끈질긴 수하('트랜스포머' 시리즈의 '스타스크림'정도)가 더 잘 어울린다고 생각됩니다. 이제는 액션 스타가 된 '맷 데이먼'은 무난했고, 오랜만에 스크린으로 만나는 '조디 포스터'의 비중이나 분량은 '용두사미'가 되어 아쉬웠습니다. 별점은 3.5개입니다.
*맥스(Max)와 프레이(Frey)가 어린시절, 프레이가 맥스의 손에 그려준 그림(?)에서 두 사람의 이니셜 F+M은 결국 Female과 male, '모든 인간' 의미한다고 생각되네요. 어린 맥스에게 뿌리를 잊지 말라고 말한 늙은 수녀의 모습은, 그들의 근원인 지구를 천대하며 살아가는 엘리시움의 거주자들에 대한 비판인 동시에, 과학기술을 지배의 수단이 아니라 지구 전체를 위해 사용하라는 충고와도 같이 들립니다.
방송국 스튜디오라는 한정된 공간안에서 진행되는 독특한 '테러' 영화 '더 테러 라이브(the Terror Live)'.
현재 '대한민국 대표 배우'라고 할 만큼 성장한 '하정우'가 단독 주연으로 등장하고, 스튜디오 안에서 거의 모든 것이 진행되는 영화이기에 상영시간의 절반 이상에서 그가 연기한 앵커 '윤영화' 모습만을 비춰줍니다. 하지만 영화는 지루하거나 느슨하기는 켜녕, 매우 긴박하고 박진감 넘칩니다. 앵커로서의 올바론 이미지와 적당히 불량하면서도 퇴폐적인 이미지가 섞여있는 '하정우'가 아니면 할 수 없을 연기들로 관객을 사로잡기에 충분했습니다. 앵커 윤영화가 상대하는 폭파 테러범의 목소리 연기도 좋았습니다. 그의 목소리는 일상에 지친 우리 가운데 누군가의 목소리이자, 국가에게 정당한 사과를 요구하는 우리 모두를 대변하는 목소리로, 부족함이 없었습니다.
폭파 테러범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이지만, 영화가 던지는 메시지는 다분히 정치적입니다. 영화는 국가를 위해 국민으로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위해 국가가 무엇을 해줄 수 있는가를 단도직입적으로 묻습니다. 테러범이 바라는 고작 '한 마디 사과'이면 많은 사람을 구할 수 있음에도 '권위'를 내세워 거부하고 의도하지 않았던 더 많은 희생이 발생하는 모습은, 선거 전과 후가 확연히 다른 현실의 정치인들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중대한 정부와 정치인들의 과오에 대해 사과하기는 커녕, 오히려 국민 개개인의 사소한 과오를 이용한 언론 플레이로 무마시키려는 모습까지 보여주면서 대한민국의 현실을 풍자하고 있고, 관객들을 '스톨홀름 신드롬'에 빠저들게 할 만한 충분합니다. 귄위적이고 부폐한 권력자들에 의해 국민 누구라도 (가해자처럼 보이지만 결국 피해자인)'폭파 테러범 박노규'가 될 수도 있고 '앵커 박노규'가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앵커 윤영화는 재결합하려던 전부인을 잃고 목숨까지 위험하게 되면서, 폭파 테러범대신하여 결말을 내는 '새드 엔딩'이지만, 방송국 건물이 무너지면서 덮치는 건물의 모습을 확인하면 상당히 통쾌합니다. 평소 우리나라의 부폐한 정치판의 물갈이를 위해서는 국회의사당에 모여있는 국회의원들을 몰살시키는 방법 밖에 없다고 생각했었는데, 원작자 혹은 각본가도 같은 생각이었나 봅니다. 하정우의 뛰어난 영기와 더불어, 한정된 공간에서 긴박하고 팽팽하게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감독의 역량은 최근 국내 영화계에서 최고로 뽑을 만한 완성도의 영화를 만들었고, 장르적으로도 국내 영화사에 한 획을 그을 만한 작품이라는 생각입니다. 별점은 4.5개입니다.
'워너(Warner bros.)'와 'DC' 연합은, 이미 '마블(Marvel)'의 '엑스맨(X-men)'을 멋지게 스크린으로 옮겼던 '브라이언 싱어' 감독을 영입하여, 히어로 무비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슈퍼맨(Superman)' 시리즈를 성공적으로 리부트하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웁니다. 하지만 1년 앞선 2005년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에 의해 '배트맨 비긴즈(Batman Begins)'로 성공적으로 리부트된 배트맨 시리즈와는 달리, 2006년 '슈퍼맨 리턴즈(Superman Returns'가 기대 이하의 반응을 보여주면서, 암흑기를 벗어나나 싶었던 슈퍼맨 시리즈는 또 다시 후속편에 대한 소문만 수년동안 이어지는 암흑기를 이어가게 됩니다. (엑스맨 시리즈의 세 번째 영화를 포기하고 '슈퍼맨 리턴즈'를 선택했던 브라이언 싱어 감독의 선택은, 결국 '엑스맨 : 최후의 전쟁(X-Men : The Last stand)'가 여러 면에서 시리즈가 쌓은 명성에 먹칠하는 영화로 탄생하면서, 결과적으로 미국 양대 코믹스의 영화를 말아먹는 결과를 초래했죠.)
소문만 무성하던 후속작은 영화 '300'과 '왓치맨(Watchmen)'으로 감각적인 액션과 영상을 보여주었던 '잭 스나이더' 감독을 영입하면서 또 다시 '리부트'를 선택했습니다. 제목은 슈퍼맨 시리즈 처음으로 제목에 '슈퍼맨'이 들어가지 않는 '맨 오브 스틸'이 되었고, '다크 나이트(Dark Knight)' 삼부작으로 배트맨 시리즈를 완벽하게 리부트하는 동시에 '히어로 무비는 오락 영화'라는 고정관념을 뛰어넘어 걸작 반열에 올려놓은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제작에 참여하면서, 개봉 전부터 여러모로 우려보다는 기대가 큰 영화가 되었죠. 사실 잭 스나이더 감독도 '300' 이후로는 흥행성적은 신통치 않았지만 그래픽 노블을 원작으로한 '왓치맨'도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호평을 받았던 작품이었기에, 그가 만드는 새로운 슈퍼맨은 기대하기에 충분했습니다.
뚜껑을 연 '맨 오브 스틸'은 슈퍼맨의 기원을 설명하는데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었습니다. '배트맨 비긴즈'처럼 새로운 시리즈로 리부트하면서 세계관을 탄탄하게 구축하기 위함일텐데, 제작자로 참여한 크리스토퍼 놀란의 입김이 어느 정도 작용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최근 히어로 무비에서도 영웅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은 보편적인 내용이 되었는데, 이 영화에서도 지구인과 외계인, 클락 켄트와 칼-엘이라는 정체성 사이에서 고뇌하는 모습이 그려지고, 이와 관련하여 영화 내내 청년 클락 켄트가 과거를 회상하는 장면들은 드라마에도 꽤 신경썼음을 알 수 있게합니다. 슈퍼맨의 두 아버지, 각각 클락 켄트의 양아버지 '조나단 켄트'와 칼-엘의 친아버지 '조-엘'로 등장하는 '케빈 코스트너'와 '러셀 크로'의 연기도 이 영화의 완성도를 높입니다. 특히 조나단 켄트의 마지막 모습은 짧은 분량이지만, 뜨거운 부성애가 느껴질 만큼 케빈 코스트너의 연륜이 느껴지는 연기력을 볼 수 있는 장면입니다.
액션도 상당히 볼 만합니다. 영화 '300'처럼 정지화면을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적의 타격에 벽을 뚫고 날라가는 등, 다소 과정된 액션은 놀란 감독의 다크 나이트 삼부작에서는 볼 수 없었던 시원시원한 액션을 보여줍니다. '어벤져스'가 '트랜스포머' 시리즈의 도시 전투 장면들처럼 3인칭 시점에서 다수의 아군과 적들이 충돌하는 액션 자체의 화려함을 보여준다면, '맨 오브 스틸'의 액션들은 근접 격투 위주로 흘러가면서 '매트릭스' 시리즈에서 보여준 과장된 액션들을 떠오르게 합니다. 주연 '헨리 카빌'은 정체성으로 고민하는 슈퍼맨의 어두운 면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강인한 액션을 보여주기에 적절한 캐스팅이라고 생각되네요.
전반적으로 무난한 완성도를 보여주지만 몇몇 가지는 좀 아쉽습니다. 시리즈의 시작부터 슈퍼맨과 같은 크립톤 행성 출신의 강력한 적 '조드 장군'을 등장시켜서 앞으로 어떤 어떤 적을 등장시킬지 우려가 됩니다. 슈퍼맨 역시 너무나 강력함을 보여주었기에, 아무리 생각해도 슈퍼맨의 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렉스 루터'같은 '지구인'은 적수나 될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더불어 조드 장군의 오른팔로 등장하는 '피오라(안체 트라우)'가 주연급 조연으로서 이 영화에 등장하는 여자 배우들 가운데 가장 뛰어난 미모와 동시에 너무나 강렬한 액션을 보여주어서, 영화의 클라이막스가 되어야하지만 약간 허무하게 끝나는 조드 장군과의 마지막 전투가 더욱 시시하게 보이는 점입니다. 여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로이스 레인(에이미 애덤스)'도 지적인 미녀이지만 '슈퍼맨의 그녀'로서는 아쉽습니다.
아쉬운 점들이 있지만, 가장 비현실적인 히어로들 가운데 하나인 '슈퍼맨'을 비교적 현실적이고 완성도 있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속편은 더욱 기대될 수 밖에 없습니다. 부디 잭 스나이더 감독을 비롯한 교체 없는 캐스팅으로 후속편이 이어지기를 기대합니다. 별점은 4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