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는 '프렌지'였습니다. 보컬없이 연주만을 들려주는 '포스트락' 밴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타 한 명이 탈퇴하여 그림자궁전과 마찬가지로 다시 '종민'이 세션으로 참여하였습니다. 가을을 목표로 앨범을 준비 중이라고 하네요.
좋은 곡들이었지만, 너무 오랜만에 보는 모습이었고 연주곡의 특성상 기억에 깊이 남는 곡이 없네요.
아름다운 혼돈 내 20대의 비망록... live long and prosper!
Search Results for '2009/05'

26 items
프렌지 in 5월 17일 SSAM
- Posted at
- Last updated at
- Filed under 어떤순간에/from live
-
- Tag
- club SSAM, TuneTable Movement, 프렌지
그림자궁전 in 5월 17일 SSAM
SSAM에서 '쌈지사운드페스티벌 숨은고수 스페셜 2009'라는 긴 제목의 특별기획 공연이 있었습니다. 5월 18일부터 시작하는 쌈지사운드페스티벌의 숨은고수 모집을 축하하기 위한 공연이라고 하네요.
'한국대중음악상'에서 '올해의 신인'을 차지한 '로로스', '프렌지'와 우정출연한 '그림자궁전'의 공통점은 모두 '숨은고수'에 선발된 경력이 있다는 점이겠죠. 다른 공통점은 현재 'TuneTable Movement(튠테이블 무브먼트)' 소속이라는 점이구요.
첫 번째는 우정출연한 '그림자궁전'이었습니다. 잠정적으로 활동을 중단하였다가, 무려 9개월만의 공연이었죠. 드러머는 다시 공석이 되었나봅니다. 다시 활발한 공연을 시작한다거나 그런 것은 아니고 그냥 오랜만에 한 번하는 공연이었습니다. 1집 수록곡들과 카피곡 '커피 한 잔', 신곡 '톱니 바퀴'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로로스'의 '종민'이 가타세션으로 '남규'가 드럼세션으로 참여하여, 예전보다 더욱 밀도 높은 사운드를 들려주었습니다.
- Posted at
- Last updated at
- Filed under 어떤순간에/from live
-
- Tag
- club SSAM, TuneTable Movement, 그림자궁전
에쿠니 가오리 - 맨드라미의 빨강 버드나무의 초록
'에쿠니 가오리'의 작품 중 번역서로서는 단편집 '차가운 밤에'의 다음으로 나온 중단편 모음집 '맨드라미의 빨강 버드나무의 초록', 미루고 미루다가 드디어 다 읽었다. 최근 그녀의 소설은 장편보다는 단편이 더 재미있었기에 기대를 했지만, 사실은 '반짝 반짝 빛나는'의 10년 후 이야기가 실려있다는 점에 더 기대되었다.
'러브 미 텐더'는 지금까지 그녀의 장편 소설들과는 다른 노부부의 지극한 사랑을 보여주는 이야기로, 묘한 감동이 있다. '선잠'은 '한 여름밤의 꿈'같은 사랑이야기로 계절의 변화와 사랑의 변화를 그려낸다. 여주인공은 역시 전형적인 에쿠니 가오리식 케릭터이다. 유쾌한 세 친구들의 이야기 포물선은, 두 남자와 한 여자의 진득한 우정을 모임을 통해 간결하면서도 진중하게 풀어냈다. '재난의 전말'은 역시 전형적인 에쿠니 가오리식 여주인공이 등장하지만, '진드기'라는 재난을 통해 주인공의 내면을 파헤쳐간다. '오지은'의 노래 '날 사랑하는 게 아니고'가 떠오르는데, 주인공이 사랑하는 것은 사랑하고 있다는 기분 혹은 마음일지도 모르겠다.
내가 생각하는 에쿠니 가오리식 여주인공은, 작가거나 잡지사 등 출판관련업에 종사하고 목욕을 좋아하고, 몸도 마음도 건강하고 안정적인 직장을 가진 남성과 연애하는, 조금은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느낌도 드는 케릭터이다.
'녹신녹신'은 속을 알 수 없는, 아니 어쩌면 비겁한 변명의 나쁜 여자 이야기이고, '밤과 아내와 세제'는 이 책에 실린 글 중 가장 짧고 남자의 시점에서 이야기하지만 사랑과 결혼에 대한 묘한 여운을 남긴다. 장례식을 좋아하는 아주 독특한 부부의 이야기 '시미즈 부부'는 시미즈 부부와의 교류를 통한 여주인공의 정신적 성숙을 그려내고 있다. 아마 가장 궁금할 '반짝 반짝 빛나는'의 10년 후 이야기는 다른 인물들의 시점으로 진행되는데, 충격적 결말일 수도 있지만 스포일러가 될 수 있으니 줄이도록 하겠다. '마지막 기묘'한 장소는 같이 늙어가는, 노년기에 있는 세 모녀, 어머니와 두 딸의 이야기로 유쾌하고 활기차다.
지난 단편집 '차가운 밤에'와 마찬가지로 에쿠니 가오리의 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던 책으로, 역시나 장편들보다 재밌고 읽기가 편했다. 사놓고 읽지 못했던 그녀의 작품들, 밀린 책들을 이제부터 열심히 읽어야겠다.
- Posted at
- Last updated at
- Filed under 타인의취향/Book
-
- Tag
- 에쿠니 가오리
얼음연못 <2>
얼음여왕이 큰 호수로 찾아오고
추위가 찾아왔지만 사람들은 알지 못했지.
그것이 끝나지 않을,
기나긴 겨울의 시작이라는 것을.
긴 추위가 시작되면서 호수와 숲의 선물이 줄었지만
아직도 낚시와 사냥과 열매는
사람들을 굶지않게 할 수 있었어.
소녀의 집과 소년의 집은
여느 북쪽 나라 사람들처럼 가난했어.
소녀의 집과 소년의 집은
서로 큰 호수의 반대편에 있었어.
호수는 소년과 친구들의 놀이터였어.
물장구, 물수제비, 고기잡기 같은 놀이들로
남자 아이들은 하루를 보냈지.
하지만 소녀와 여자 아이들은
하루의 대부분의 집에서 보내야했어.
어느 화창한 날이었어.
아마 일년 중 가장 따뜻한 시기였고
북쪽 나라에 마지막 여름이 지나가던 때였어.
여름이라고 했지만, 가장 더운 여름이어야하겠지만
얼음여왕이 찾아오고서 더위는 따뜻함으로 바뀌었지.
이 때만큼은 여자 아이들에게도 물놀이가 허락되었어.
그래서 소녀와 친구들도 물놀이를 나갔지.
천방지축이었던 소년과 친구들은
더 큰 아이들의 주먹과 어른들의 잔소리를 피해서
호수 반대편 마을에 가까운 곳에서 종종 놀곤 했어.
그날도 소년과 친구들은 그랬어.
그리고 그곳에서 소녀와 여자 아이들을 만났지.
다른 마을의 아이들이었기에
처음에는 서로 낯을 가렸지만
아이들의 천진함은 곧 그들을 어울리게 만들었지.
그렇게 여느 아이들처럼 소년과 소녀는 가까워졌어.
사실, 소년과 소녀는 처음 만났을 때부터
서로를 바라보고 있었어.
- Posted at
- Last updated at
- Filed under 그리고하루/at the moment
-
- Tag
- 얼음연못
미스티 블루 - 1/4 Sentimental Con.Troller - 봄의 언어
2006년 1월에 발표된 EP '4℃ 유리 호수 아래 잠든 꽃' 이후, 제목처럼 잠들어 약 40개월만에 동면에서 깨어난 '미스티 블루(Misty Blue)'.
약 40개월만이지만, '미스티 블루'가 완전히 동면만 한 것은 아닙니다. 소속사인 파스텔뮤직의 컴필레이션들을 통해 '여름궁전', 'Slow days', '한 쪽 뺨으로 웃는 여자'같이 주옥같은 곡들을 발표했습니다. 또 'MBC 베스트극장'의 '동쪽 마녀의 첫번째 남자'의 배경음악에도 참여했구요. 그 동안 밴드에도 변화가 생겨서 원래 3인조 였지만, 기타리스트가 탈퇴하고 2인조를 유지하고 있지요. 미스티 블루의 멜로디메이커 '최경훈'은 2008년에 '벨 에포크(Belle Epoque)'라는 미스티 블루의 쌍둥이 여동생쯤 되는 팀을 결성해 앨범도 발표했지요.
'1/4 Sentimental Con.Troller - 봄의 언어'라는 긴 제목은 지난 앨범, EP와 마찬가지로 여전합니다. 너무나 이쁜 앨범 커버 역시 '김지윤' 작가의 일러스트로 꾸며져 있어요. 또 얼굴을 가리고 있지요. 언제나 소녀는 부끄러움이 가득합니다. 'controller'가 아니고 'Con.Troller'입니다. 'con'은 사전을 찾아보면 '반대하여'라는 뜻을 갖고 있네요. 'troller'는 사전에 없지만 'troll'은 '명랑하게 노래하다'라는 뜻이 있구요. '명랑한 노래에 반대하는 사람'이라는 뜻을 갖고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미스티 블루의 노래 가운데 명랑한 노래는 별로 없었잖아요. 이제, 가장 중요한 수록곡을 둘러보죠.
intro라고 할 수 있는 '04:07:02'는 알쏭달쏭의 제목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시간일지도 모르고, 영화의 한 장면처럼 컷의 번호같은 것일지도 모르겠어요. 거리 넘어로 들려오는 피아노 소리는 갑자기 클로즈 업되고 또각거리는 구두는 어디론가 급하게 걸어갑니다.
'봄'과 떼어놓기 힘든 '왈츠', '봄의 왈츠를 위한 시계'는 똑딱 똑딱 돌아가는 시계가 아니라 '쿵작짝 쿵작짝' 느리게 흐르는 시계입니다. 잔잔한 피아노 연주는 꼭 '햇살 좋은 날 바람에 흔들리는 초록잎으로 시작하는 영화'의 오프닝 테마같은 느낌입니다. 그 영화의 제목은 바로 이 곡의 제목이겠구요. 조근조근 이야기하는 보컬 '은수'의 노래는 감정기복이 없기에 허전함이 더 강하게 다가옵니다.
가장 잔인한 '4월','4월의 후유증'은 큰 일교차때문에 감기 걸리기 쉬운 4월처럼 변덕스럽습니다. 투명한 느낌의 쟁글거리는 기타 연주는 '미스티 블루표'라고 알려줍니다. '이진우'라는 남자 보컬이 참여했는데 그 건조함은 촉촉하지 않은 은수의 목소리가 생기 넘치게 들리게 할 정도입니다. 건조한 명사와 동사의 나열은 결코 문장이 될 수 없습니다. 이야기가 될 수 없어요. 진실한 관계나 추억이 될 수 없지요. 4월의 후유증은 어쩌면 4월의 그 건조함을 닮아서 건조한 삶을 살아가게 하는 증상일지도 모르겠네요.
'봄'과 '4월', 역시 계절과 달력에 민감한 미스티 블루랍니다.
'여름궁전'이나 '화요일의 실루엣'처럼 역시 미스티 블루다운 제목, '하늘 그네'는 그리움에 대해 노래합니다. 기타 초보처럼 막 치는 느낌의 기타 연주로 시작하여 차오르는 감정처럼 풍성해지는 연주가 이 곡의 심상을 대변해줍니다. 그리고 이런 점이, 보컬의 기교로 감정 표현을 하지 않는 '미스티 블루의 감정 표현법'일지도 모르죠. 몸도 마음도 이만큼 커져서, 진심보다는 이해타산이 앞서서 마음보다는 머리가 앞서서, 이제는 돌아갈 수 없겠죠. 하늘을 향해 힘차게 나아가지면 결국 땅으로 돌아오는 그네처럼, 좇아도 좇아도 잡을 수 없는 무지개처럼 기억은 언제나 잡을 수 없는 시간을 추억으로 만들어 버립니다.
'도쿄(Tokyo)'가 아니에요. 하지만 '동경 센티멘탈 클럽'은 일본 순정 만화 제목같습니다. 그리고 순정 만화처럼 미스티 블루다운 '파스텔톤 소녀의 감수성'을 노래합니다. 소녀들의 비밀스런 대화같은 곡입니다.
독특한 제목의 '향기 알리섬'은 수록곡 가운데 유일하게 활기차고 밝습니다. '향기 알리섬'은 사실 꽃의 이름이고 꽃말이 '뛰어난 아름다움'이기에 그렇게나 밝은가 봅니다. 가사에 나오는 'Shirley Valentine'은 영화의 제목으로 자신을 찾아가는 여자 주인공의 이름이기도 합니다. 지난 EP에서 노래한 '봄에게 미처 배우지 못한 것'을 이제는 배웠나봅니다. 미스티 블루 속의 소녀도 이제는 어엿한 숙녀가 되려나봅니다.
앨범의 부제인 '봄의 언어'는 아쉽게도 마지막 곡입니다. 계절이 변하듯 사람의 마음도 변하고, 봄이 지나면 봄의 언어는 쓸 수 없겠죠. 봄의 언어는 끝나지만 이 EP의 제목 '1/4 Sentimental Con.Troller'에는 힌트가 숨어있습니다. 이번 EP는 큰 퍼즐의 1/4일뿐이고 나머지 3/4도 만나볼 수 있답니다. 바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을 주제로 한 4장의 연작 EP가 계획되어 '봄의 언어'가 첫번째 작품으로 앞으로 세 장의 EP가 남았다는 즐거운 이야기죠. 계획으로만 끝나지 않고, 꼭 줄줄이 나와주길 바랍니다.
컴필레이션에만 수록되었던 곡들도 수록되길 바랬었는데 그러지 않아 아쉽습니다. 혹시 '여름궁전'은 다음 EP에는 수록되려나요? 다음 EP들의 제목도 '언어 시리즈(여름의 언어...)'는 아니겠죠? 개인적으로는 '여름의 우울'을 예상해봅니다. 그럼 여름 EP에서 만나요. 별점은 4개입니다.
- Posted at
- Last updated at
- Filed under 타인의취향/Song&Album
스타트렉 더 비기닝 (Star trek) - 2009.05.08
TV 시리즈로 더 유명한 '스타 트렉'의 11번 째 장편영화 '스타트랙 더 비기닝'.
요즘 한창 헐리우드에 불고 있는 프리퀄로 열풍을 이어가기 위해, '배트맨 비긴즈', '슈퍼맨 리턴즈'와 비슷한 느낌이 드는 제목 '스타트렉 더 비기닝'이라고 붙였을지도 모르지만 이 제목은 사실 '국내용' 제목입니다. 이 영화와 관련된 미국 사이트들에서는 이 영화를 소개할 때 '더 비기닝'이라는 말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심지어 미국 포스터에도 이 영화의 제목은 간단하게 'Star trek'입니다. 이 영화가, 사실상 새로운 시리즈를 시작하는, 다른 프리퀄들과는 다른 '스타트렉' 정통성을 이어간다는 의미에서 이런 간단한 제목이 붙었나봅니다.
5개의 TV 시리즈와 10편의 영화가 이미 나와있는 방대한 이야기라 본 영화를 보기전에 전편들의 내용을 알아야한다는 부담이 생길지도 모르지만, 프리퀄답게도 저처럼 스타트렉 시리즈에 대해 거의 모르는 사람들도 즐길 만한 내용 전개를 보여줍니다.
'휴먼 드라마'와 'SF 우주 대서사시'를 혼합한 오프닝을 시작으로 영화는 시종일관 두 이야깃거리 사이에서 중심을 꽤나 잘 유지합니다. 그리하여 꿈많은 '우주 소년소녀' 시절을 보낸 이들이 푹 빠질 만한 이야기를 두 시간이 조금 넘는 상영시간 동안 기가 막히게 풀어나갑니다. 더불어 '블랙홀'과 '외계인'을 비롯해 '순간이동', '시간이동', '평행우주' 등 우주에 대해 큰 관심이 있지 않더라도 익히 들어봤을 법한 소재들을 아름다운 우주와 함께 환상적인 특수효과로 그려냅니다.
스타트렉의 기본 사상일지도 모르겠지만, '스타워즈'에서 보여지는 '외계인'들과는 다르게 미지의 종족이 아닌, 인류의 '흑인', '백인', '황인'처럼 그저 생김새가 조금 다른 또 다른 인류로 보여집니다. 그래서 그런지 본 영화에서 등장하는 외계인들은 모두 이 팔과 두 다리를 갖고 '이족보행'을 하는 고도의 지능을 보유한 생명체이며, 인류와 '교미(?)'와 '잡종교배(?)'도 가능합니다.
아쉬운 점은 미래의 이야기이지만, 여느 전설이나 신화처럼 '혈통주의'을 바탕으로한 '주인공(커크)'의 모습입니다. "아버지가 위대한 함장이었기에 아들도 위대한 함장이 될 것이다."라는 조금은 이해할 수 없는 논리가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더구나 인격과 능력은 어느부분 '유전'도 있겠지만 언어를 통해 지식전달이 가능해진 이후로는 분명 '교육'혹은 '전승' 더 중요할 법한데, '아버지'와 '아들'은 전혀 만난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TV 시리즈 '히어로즈'에서 악역 '사일러'로 등장했던, 본 영화의 또 다른 주인공 '잭커리 퀸토(스팍)'는 정말 외계인이 잘 어울리더군요. 스팍의 '미모의 지구인 어머니'는 많이 본 얼굴이었는데 '위노나 라이더'였습니다. 악역(악당 두목)이었지만 생각보다 비중은 크지 않었던 '에릭 바나'의 선택과 용기에도 박수를 보냅니다. 커크 '크리스 파인'은 조만간 개봉할 새로운 '터미네이터' 시리즈에도 출연한다는군요. '제임스 본' 시리즈에서 비중있는 악역이었던 '칼 어반'은 주인공의 충실한 조력자, 비중있는 조연으로 다시 만나네요. 그리고 미래에서 온 '늙은 스팍'의 '레너드 니모이'는 눈에 익은 얼굴이었는데 바로 스타트렉 TV 시리즈에서 역시 '스팍'을 연기했던 배우였습니다. 원작에 대한 오마주일까요? 미래에서온 스팍이 사실은 과거의 배우였다니 아이러니합니다. 영화 속 이야기 전개로는 분명 미래지만, 우리 현실에서는 과거 시리즈이니까요.
작년의 '다크나이트'가 없었다면 5개도 충분히 주겠지만, 다크나이트는 별5개의 새로운 정의를 만든 느낌입니다. 별점은 4.5개입니다.
- Posted at
- Last updated at
- Filed under 타인의취향/Movie&DVD
-
- Tag
- J. J. Abrams, 스타트렉
Swinging Popsicle - Go on

일본에서 날아온 삼인조 'Swinging Popsicle'의 'Go on'.
Swinging Popsicle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평소 자주 들르는 '파스텔뮤직'의 홈페이지에서 어떤 곡을 듣게 된 후였습니다. 일렉트로니카 사운드에 약간은 어설픈 느낌의 영어 보컬이 어우러져 흥겨운 배경음악은 바로 제 귀를 사로 잡았죠. 그 곡의 제목은 사운드와 너무 잘 어울리는 'Chocolate Soul Music'이었습니다.
'Swinging Popsicle'은 보컬에 '미네코 후지시마', 기타에 '오사무 시마다', 베이스에 '히로노부 히라타'로 라인업을 이룬 삼인조 밴드입니다. 1995년에 신문광고를 통해서 서로 만나 밴드를 결성했다고 하니, 10년이 넘은 장수 밴드인 셈이죠. 가사는 노래를 부르는 '미네코'가 주로 쓰고 작곡은 거의 전부 '시마다'와 '히라타'가 각각 하는 듯한데, 이런 분업은 (아쉽게도 얼마전에 보컬 '지선'이 탈퇴한) '러브홀릭'을 떠올리게 합니다. 러브홀릭도 작곡을 각각 기타와 베이스를 담당하는 '강현민'과 '이재학'이 나뉘어 했으니까요. 10년 넘게 한 밴드에 함께했지만, '시마다'와 '히라타' 두 사람이 작곡한 곡들에는 각자의 개성이 느껴집니다. 그리고 그 개성에 따라 앨범 'Go on'의 트랙들을 두 가지 분위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앨범에서 시마다의 곡들은 주로 일렉트로니카와 접목한 팝 사운드를 들려주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히라타의 곡들은 밴드 사운드에 기반한 팝-락에 가깝습니다.
이 밴드의 기존 인기곡들과는 다르게, 청량하고 세련된 느낌으로 앨범을 시작하는 'Rainbounds'는 앨범의 타이틀 곡인 'Chocolate Soul Music'과 더불어 시마다가 지향하는 방향을 강하게 느낄 수 있는 곡입니다. 그리고 이어지는 'クラッシュ'은 역시 시마다의 곡으로 일렉트로니카와 거리가 있지만, 히라타의 곡들과는 다른 느낌의 곡입니다.
반면 세 번째 트랙'Stay By My Side'는 히라타가 지향하는 방향을 느낄 수 있는 곡입니다. 안정적인 밴드 사운드를 바탕으로 편안하고 서정적인 팝을 들려줍니다. 사랑스러운 가사 역시 '팝다움'이 느껴집니다. 파스텔뮤직의 컴필레이션 앨범 'Cracker'를 통해 미리 공개되었던 '哀しい調べ(Sad Melody)'는 제목처럼 앨범에서 가장 슬픈 곡이고, 이어지는 'フレンザゲイン'은 가볍고 경쾌한 연주와는 달리, 방향을 알 수 없는 청춘의 단편을 가사에 담고 있는 곡입니다. 두 곡 역시 그의 스타일이 녹아있습니다.
스타일리쉬한 'Chocolate Soul Music'은 데뷔 10년이 넘는 밴드의 곡이라고 하기에는 믿기 어려울 정도의 신선함을 자랑합니다. 댄서블한 사운드는 시부야계의 곡들과 비교해서도 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하구요. 아기자기하고 깜짝한 사운드의 'Nothing's Gonna Changes My World'는 시마다의 실험 정신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시마다의 두 곡이 지나고 다시 히라타의 두 곡이 이어지는데, '?像とノイズ'은 누렇게 변할 정도로 오래된 책장 사이에서 찾은 추억의 흑백사진 같은 이미지로 들립니다. 'I Will Ж My Will'은 흩날리는 가을 바람처럼 쓸쓸함으로 충만한 곡입니다. 감정을 흔드는 바이올린 연주와 코러스는 담담하고 메마른 보컬에 처량함을 더해줍니다. 후렴구에는 애끊는 감정이 절절히 느껴집니다. 'Chocolate Soul Music'이 사마다의 타이틀 곡이었다면, 저는 이곡의 히라타의 타이틀 곡이라고 하고 싶네요.
마지막은 시마다의 두 곡으로 마치게됩니다. '雨音~I wish you were here~'는 '빗소리'라는 제목처럼 빗방울이 떨어지는 느낌의 전자음으로 시작합니다. 비 갠 뒤 화장한 날씨처럼 밝은 목소리지만, 가사는 혼자 걷는 비 속에서 그리움을 그려내고 있습니다. 마지막 곡 'Go on'은 제목처럼 끝나지 않을 것 같이 긴, 7분여에 이르는 트랙입니다.
서로 다른 음악색을 지향하는 시마다와 히라타이지만 두 사람의 곡들은 이 한 장의 앨범 안에서 위화감 없이 녹아들어 Swinging Popsicle만의 분위기를 만들어냅니다. 그리고 그 조화의 중심에는 대부분의 가사를 쓰고 노래하는 '미네코'의 탁월한 능력이 있기에 가능했으라 생각됩니다. 밴드 결성 10년이 넘었지만, 세월에 마모되지 않고 진화해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Swinging Popsicle, 앞으로도 기대해봅니다. 별점은 4.5개입니다.
- Posted at
- Last updated at
- Filed under 타인의취향/Song&Album
-
- Tag
- Swinging Popsicle, 파스텔뮤직
우려의 현실화, '2NE1'
데뷔 싱글이라고 할 수 있는 '롤리팝'이 온라인 음원 차트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그 성공은 '빅뱅'이라는 국가대표급 국민 아이돌이었기에 가능했던 일이었습니다. 사실 롤리팝에서의 2NE1의 비중은 feature 수준이었구요. 그리고 '빅뱅'의 그늘에서 벗어나 홀로서기를 시작한 '2NE1'의 첫 싱글 'Fire'가 발표되었습니다.
2NE1을 처음 보면서 우려했던 점은 'YG','PYJ'와 더불어 'Big 3'로 가요계를 삼분하고 있는 'SM'에 빗대어 '천상지희'가 되는냐, '소녀시대'가 되느냐 였습니다. 여자 '동방신기'로 시작한 천상지희는 실패한 케이스였지만, SM의 후속 여성 그룹으로 여자 '슈퍼주니어'로 비유되던 '소녀시대'는 슈퍼주니어를 뛰어넘는 인기를 누리고 있으니까요.
첫 싱글에서 보여준 2NE1의 모습 아쉽게도 전자(前者)에 가깝습니다. 문제는 'YG'가 '원더걸스'나 '소녀시대'같은 전형적인 여성 아이돌을 발표해본 경험이 없다는 점에 있을 수도 있겠습니다. SM의 경우, 과거 'S.E.S'의 성공이 있었고, '천상지희'의 실패를 바탕으로 '소녀시대'의 성공을 이끌어냈습니다. JYP의 '원더걸스'도 경험이 없기는 마찬가지일 수도 있지만 2NE1처럼 국내에서 받아들여지기 힘든 Hip-hop이 아닌, 트랜드를 놓치지 않고 친숙한 '뽕끼'와 '댄스' 조합하였습니다.
'2NE1'의 롤모델로 보이는 '빅뱅'의 경우에도 국민 아이돌로 발돋움할 수 있었던 것은 Hip-hop 색이 짙던 데뷔 앨범이 아닌, 그 이후 발매된 댄스와 일렉트로니카를 조합한 미니앨범을 통해서 였습니다. 그리고 '빅뱅'은 '지드래곤'의 활약으로 상당수의 곡들을 자체 생산하고 자신들의 스타일로 자체 소비한 점도 성공 요인일 수 있겠습니다.
YG의 경험부족과 더불어, 2NE1이 빅뱅도 실패했던 Hip-hop색이 짙은 첫 싱글로 접근한 점은 어찌보면 무모해 보입니다. 그리고 2NE1에는 여자 '지드래곤'이 없는 점 역시 한계입니다. 하지만 빅뱅이 미니앨범을 통해 방향을 수정하여 큰 성공을 거둔 예처럼 2NE1의 앞날이 어두운 것만은 아닙니다. 트랜드를 주도하는 YG의 새로운 카드를 기대해 봅니다.
- Posted at
- Last updated at
- Filed under 타인의취향/Music&Disc
-
- Tag
- 2NE1
얼음연못 <1>
옛날, 아주 먼 옛날이야기야.
아주 추운 북쪽 나라의 이야기야.
계절이라고는 덜 추운 겨울, 추운 겨울, 아주 추운 겨울만 있는
북쪽 나라의 이야기야.
북쪽 나라에 '얼음연못'이라고 불리는 호수가 있었어.
왜 호수 이름이 '얼음연못'이냐면,
북쪽 나라에 긴 겨울이 찾아오기 전에는 큰 호수가 있었어.
하지만 얼음여왕이 북쪽나라에 찾아온 뒤로
그 호수는 꽁꽁 얼어버리고 눈으로 덮였어.
그리고 호수 가운데에 작은 연못으로만 남았어.
그래서 얼음연못이 된거야.
긴 겨울이 시작되기 전, 얼음여왕이 찾아오기 전
북쪽 나라의 큰 호수는 참 살기 좋은 곳이었어.
호수에는 온갖 물고기가 가득 했고,
호수 주변에는 울창한 숲이 있었고,
그 숲에는 수많은 짐승들이 살고 있었어.
호수 마을 사람들은 호수에서 낚시를 하고 숲에서 사냥하고
숲의 나무와 열매로 가난하지만 풍요롭게 살 수 있었어.
하지만 얼음여왕이 찾아온 후
호수는 모든 게 달라졌어.
호수가 얼어가면서 물고기들은 줄어들었고
숲의 나무들은 말라기기 시작했어.
숲에서 살던 동물들도 떠나기 시작했지.
당연히 호수 마을 사람들의 삶도 어려워졌지.
더 북쪽 만년설의 산맥에서 살 던 얼음여왕이
왜 북쪽 나라에 왔는지, 그때는 알려지지 않았어.
하지만 들리는 소문에 따르면
얼음여왕에게는 후계자가 없었데.
그래서 후계자를 찾기위해
북쪽 나라에 찾아왔다는 이야기가 사람들 사이에 돌았어.
살기 어려운 북쪽 나라에서 사람들은 하나 둘 떠나기 시작했어.
그렇게 사람들이 떠나갈 때 즈음에 시작된,
한 소녀와 한 소년의 이야기야.
- Posted at
- Last updated at
- Filed under 그리고하루/at the moment
-
- Tag
- 얼음연못
10년이 지나서 좋은 것들
![]() | ![]() |
1995년에 발표되어 내 10대 중반을 온통 뒤흔들어 놓았던, 'Alanis Morissette'의 충격적인 데뷔앨범 'Jagged Little Pill'.
그리고 'Jagged Little Pill' 발표 10주년 기념으로 2005년 발표된 'Jagged Little Pill Acoustic'이 나온 것.
제목 그대로 원곡들을 acoustic으로 편곡/연주하여 들려주는 앨범.
20주년이 되는 2015년에도 하나 나와주었으면.
![]() | ![]() |
10년이 지나서 좋은 것, 둘.
1999년에 발표(우리나라에는 2000년)된 '에쿠니 가오리'와 '츠지 히토나리'의 독특한 작품이자 대표작이된 '냉정과 열정사이'의 'Rosso'와 'Blu', 각각 10년 만에 재회하는 '아오이'와 '쥰세이'의 이야기. 나는 2001년이나 2002년 즈음에 읽었을 것다.
사실 '에쿠니 가오리'의 장편소설들은 '반짝 반짝 빛나는'과 '마미야 형제'를 제외하면 상당히 지루한 편이었다. 반면에 단편소설집들은 상당히 재미있는 편.
'츠지 히토나리'의 장편소설들은 많지 않지만 감동적이고 재미있는 것이 우리나라 정서에는 더 맞는 편이랄까.
![]() | ![]() |
두 작가가 다시 의기투합하여 '냉정과 열정사이' 발표 10주년이 되는 바로 올해 비슷한 형식의 작품을 발표한단다.
바로 '좌안'과 '우안', 각각 2 권으로 총 4권. 분량도 만만하지 않다.
'좌안'은 에쿠니 가오리가 쓴 '마리'의 이야기, '우안'은 츠지 히토나리가 쓴 '큐'의 이야기.
'냉정과 열정사이'를 시작으로 두 작가의 팬의 되어 번역서는 대부분 사서 읽고 있는데. 기대된다.
아래는 '냉정과 열정사이'를 제외하고 내가 갖고 있는 에쿠니 가오리의 책들.
















이번에는 역시 '츠지 히토나리'의 책들





10년이 지나서 좋은 것, 셋.
정말 좋을지 모르겠지만, 이런 좋은 음악과 좋은 책을 함께할 10년 정도 사귄 연인이 있었으면 좋지 않을까?
- Posted at
- Last updated at
- Filed under 타인의취향/etc.
-
- Tag
- Alanis Morissette, 에쿠니 가오리, 츠지 히토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