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ialito - Mondialito


Mondialito의 sommeil des vrilles(클릭^^)


올해 7월에 소개했던 미니 앨범 합본 'Avant la pluie + note of dawn'의 'Mondialito'의 셀프타이틀 앨범인 'Mondialito'가 지난 10월 24일에 발매되었습니다. 저는 국내 라이센스를 맏고 있는 '파스텔뮤직'에 특별하게 부탁해서 음반 매장에 배포되는 날보다 3일 정도 빨리 구매했었습니다.

두 장의 미니 앨범으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둔 뒤라, 소위 '돈 바른' 사운드를 느낄 수 있다고 할까요? 앨범 'Mondialito'에서는 'Avant la pluie + note of dawn'보다 따뜻해지고 세련미가 강화된 French Pop을 느낄 수 있답니다.

제목 톡톡 튀는 상큼한 느낌의 첫 곡 'soda'를 시작으로 보컬 junko와 string이 묘한 조화를 이루는 'on se perd'가 이어집니다.

'sommeil des vrilles'는 이 앨범에서 가장 좋아하는 곡입니다. Mondialito의 곡들 가운데 가장 따뜻한 느낌의 곡으로, 듣고 있으면 머릿속에서 해질 무렵, 작은 성당이 있는 한적한 교외의 풍경이 떠오릅니다. '작은 성당'은 아무래도 중간중간 들리는 종소리 때문인 것같네요.

포근한 느낌의 'sommeil des vrilles'에 이어지는 'l'ennui sans fin'은 cool하고 세련된 느낌의 곡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모 작가의 문체와 비슷한 느낌이라고 생각됩니다.

빵집이름으로 잘 알려진 제목 'tous les jours'는 junko의 목소리가 코러스와 어우러지면서 '사이좋은 모녀가 부르는 노래'라는 느낌이 들게합니다. 빵집에서 먹음직스러운 빵들을 보면서 느끼는 푸근함과도 조금 닮아있구요.

아쉽게도 앨범 수록곡은 8곡이 전부입니다. 총 12트랙이지만 나머지 4곡은 한국 팬들을 위한 미발표곡과 지난 미니 앨범의 live version입니다. 국내 미발표곡 'ephemeral'과 비교해 보면 이번 앨범에서 보컬 junko의 발전을 느낄 수 있답니다. 'l'azur'와 'notre échec'의 acoustic live version은 album version과는 또 다른 향을 느낄 수 있습니다.

세련된 파리의 거리부터 낭만적인 교외의 풍경까지 일본산 프렌치팝 'Mondialito'에서 느낄 수 있답니다. 다만 아쉬운 점은 프랑스어를 몰라 가사의 내용을 알 수 없다는 점입니다. 별점은 4개입니다.
2005/12/31 15:23 2005/12/31 15:23

공지영 - 사랑 후에 오는 것들



몇 일 전 아침, 신문에서 두 여성 작가의 책 소개가 있었다. 그 중 하나 '사랑 후에 오는 것들'이 내 관심을 끌었다. '냉정과 열정 사이'의 '츠지 히토나리'와 함께 썼다는, '냉정과 열정 사이'같은 형식의 소설, '공지영'의 '사랑 후에 오는 것들'이었다.

결국 난 그날로 책을 주문했다. 서적 구매에 거의 유일하게 이용하는 Yes24에서 이 책 두 권과 '나니아 연대기'를 담았다. 그리고 이틀 후 아침 책을 받았다. 참 좋은 세상이다.

'친절한 지영씨'

작가 공지영의 책은 이 책 '사랑 후에 오는 것들'의 처음이었다. '츠지 히토나리'가 쓴 남자편보다는 공지영이 쓴 여자편을 먼저 빼들었다. 그녀의 첫 느낌은 매우 친절했다. 간결하면서도 문장과 문장사이를 넘어가는 것이 쉽지 않았던 '에쿠니 가오리'의 '아오이'와는 달리 공지영의 '홍'은 장황한 만큼 감정에 대한 설명과 묘사가 풍부했고 막힘 없이 정말 '물 흐르듯' 읽을 수 있었다.

'이별 전에 있던 일들'

제목은 '사랑 후에 오는 것들'이지만 '홍'의 이야기는 '이별 전에 있던 일들'이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를 떠올리게 하는 사건이 있을 때마다 홍은 과거의 그와 함께 했던 시간 속으로 돌아간다. 사랑 후에 오는 것들이 이별 전에 있던 것들과 관련이 없을 수 없겠지만 홍의 '사랑 후'는 결국 '이별 전'의 거울이다.

'그녀의 이야기'

여자의 이야기이기 때문일까? 막힘없이 물길을 따라갔지만 그 물에 흠뻑 젖을 수 없었다. '조금은 기적같은 내용이었다면 좋았을텐데...'라는 생각도 든다. '사필귀정(事必歸正)'이라는 말처럼 내용은 너무도 바르게, 아니 결국 그럴 수 밖에 없게 흘러간다. 연애소설이 다 그런 것이겠지만... 좀 더 독자의 상상에 맏겨두어도 좋지 않았을까?

헤어짐이 슬픈 건 헤어지고 나서야 비로소 만남의 가치를 깨닫기 때문일 것이다. 잃어버리는 것이 아쉬운 이유는 존재했던 모든 것들이 그 빈자리 속에서 비로소 빛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사랑받지 못하는 것보다 더 슬픈 건 사랑을 줄 수 없다는 것을 너무 늦게야 알게 되기 때문에.
2005/12/31 02:20 2005/12/31 02:20

I Love J.H in 12월 29일 club SSAM

마지막은 27일만에 공연을 하는 'I Love J.H'였습니다. 역시나 흥겨운 공연이었고 드러머 정욱이형은 오늘도 혼자 땀을 엄청 흘렸습니다. 저도 오랜만에 보는 이 밴드의 공연이라 너무 좋았구요.

이달 13일부터 향뮤직에서 판매중인 Single의 초도 물량이 모두 팔려서 추가 물량이 입고되었다고 하네요.

1월 13일에는 '공중캠프'에서 1집 발매 기념 공연이 있습니다. 당일 공연장에서 1집 앨범도 판매한다고 하네요.

2005/12/30 20:18 2005/12/30 20:18

Fat Round Girl in 12월 29일 club SSAM

두번째는 'Fat Round Girl'이라는 특이한 이름의 밴드로 멤버 중 그런 Girl은 없었습니다. J-Pop 분위기가 조금 난다고 할 수도 있겠는데, 중간에 반가운 얼굴들 때문에 사진도 별로 찍지 못했고 집중도 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확실히 후반부의 곡들은 아쉬운 느낌이 컸습니다.

반가운 얼굴들은 '그림자궁전'의 '9'군과 'Newsboy problem'의 '멍'양이었습니다.

2005/12/30 19:18 2005/12/30 19:18

24caution in 12월 29일 club SSAM

약 한 달만에 다시 찾은 홍대입구! 'Power Girls' Special'이라는 조금은 황당한 제목의 공연이 있었습니다. 제목은 거창하지만 그냥 여성멤버가 있는 밴드 세 팀을 모은 공연이었어요.

첫 밴드는 '24caution'라는 밴드였습니다. 사진을 보면 아시겠지만 상당히 화끈한(?) 무대 매너를 보여주었습니다. 라이브를 한 번 볼 만한 밴드입니다.

2005/12/30 18:37 2005/12/30 18:37

나니아 연대기 : 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 - 2005.12.28.

기나긴 '나니아 연대기'의 첫번째 이야기 '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의 개봉일이 29일인줄로 철썩같이 믿고 있다가, 어제 CGV 사이트에서 28일의 상영시간표를 확인해보니 어제부터 상영을 시작했더군요. 잽싸게 가서 보고왔습니다.

본 느낌은 '판타지의 로망이 있고 동심의 세계로 빠져들게하는 영화'라고 하고 싶네요. 귀여운 4남매와 말하는 동물들 뿐만 아니라, 그리스와 로마 신화에 관심있는 사람들이라면 친숙한 판과 켄타우로스, 미노타우로스가 등장하는 '사자, 마녀 그라고 옷장'은 저를 동심의 세계로 이끌기에 충분했습니다.

사실 좀 티나는 CG합성과 착한 편의 CG에 비해 어설퍼 보이는 나쁜 편 괴물들의 모습들이 아쉽기는 합니다. '킹콩'에서도 여성의 긴 머리가 옥의 티로 문제가 되었는데 '나니아 연대기'에서도 그 점이 옥의 티로 보입니다.

하지만 귀여운 4남매와 말하는 동물들, 신화 속 등장인물들은 그런 단점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재미와 흥분을 제공합니다. '반지의 제왕' 시리즈가 심오한 내용과 대단한 볼거리로 중무장 했었지만, 그 심각함으로 압박을 줄 뿐 TRPG에서 느껴봄직한 '로망'을 느낄 수는 없었거든요. (참고로 저는 1998년부터 TRPG를 해왔답니다.) 전설의 동물, 유니콘을 탄 주인공이나 곰 세 마리가 끄는 설매를 탄 마녀는 정말 '로망'이 철철 흐른다고 해야겠습니다. 특히 '마녀' 누나(?)는 고약한 성질만 뺀다면 대단히 매력적인 케릭터입니다. 마법지팡이와 검을 동시에 휘두르는 모습의 '반지의 제왕'의 '간달프'와 비슷하네요. 두 자루의 검을 휘두를 때의 그 카리스마는 압권이었습니다.

내용의 전개는 어찌보면 단순할 정도로 예상이 가능합니다. 저연령층까지 포용하는 내용이기에 선과 악의 구분도 참으로 단순명쾌하구요.

제 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에서 시작되는 이 영화에서 '영국'이라는 설정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반지의 제왕의 네 명의 호빗처럼 이 영화의 4남매도 'United Kingdom'의 4개 왕국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착한 편을 이끄는 '아슬란'이 사자라는 점도 마찬가지겠구요.

아슬란을 보좌하는 녀석이 '켄타우로스'라는 설정은 그리스 신화의 켄타우로스의 모습을 차용했나봅니다. 그리스 신화의 수 많은 영웅들은 대부분 현명한 스승인 '켄타우로스'의 가르침을 배웠답니다. 그 켄타우르스 중 유명한 '케이론'이 있지요. 판은 음악을 매우 좋아하는 신화 속 종족이지요. 또 '희생과 부활'이라는 개념은 모두 익히 알고 있을 성경에서 차용했겠지요.

총 6부작으로 기획되었다는 이번 시리즈의 첫번째 '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은 시리즈의 첫단추를 끼우는 작품으로 괜찮은 영화라고 생각됩니다. 엔팅 크레딧이 올라가자마자 찾아올 후속편들이 기대되더군요. 별점은 4.5개입니다.

덧붙여, '해리포터' 시리즈처럼 이 영화도 아이들이 주인공인데 앞으로 5편이나 남은 시리즈 촬영기간동안 아이들이 몰라보게 커버리지 않을까하는 걱정이 드네요. 제발 '반지의 제왕' 시리즈처럼 CG처리는 나중에 한다고 해도 주인공 등장 장면은 빨리 촬영해 뒀으면 좋겠습니다.
2005/12/29 11:30 2005/12/29 11:30

친절한 금자씨 DVD 사태??!!

어제(27일) 발매된 영화 '친절한 금자씨'의 DVD가 발매 당일 품절되는 진기록(?)을 보여주었습니다. 다음 물량은 1월 10일에 입고가 된다는군요. 그만큼 '친절한 금자씨'에 대한 관심이 아직도 대단하다는 뜻이겠죠.

그리고 또 한가지 문제가 터졌습니다. 저는 오늘 아침 이 DVD를 받아서 2번 Disc의 일명 '색이 빠지는 버전'의 '친절한 금자씨'를 보았습니다. 그런데 CJ로고가 끝나자마자 들리는 소리는 영화 평론가의 목소리였습니다. 분명히 코멘터리는 선택하지 않고 본편을 보고 싶었는데 해설이 나오더군요. 이상해서 타이틀로 돌아가 음성 설정을 보니 해설 밖에 없더군요. 영화에서 음성 변경을 했지만 종류가 딱 하나 뿐이더군요. 1번 disc에서는 분명히 영화 음성과 2가지 해설이 들어있는데 뭔가 이상하네요.

DVD 제작사인 'CJ 엔터테인먼트'의 광고로는 해설만 나온다는 언급은 없었는데 앞으로 어떻게 될지 지켜보아야겠습니다.


DVD 정보 more..



그리고 Disc 2의 Special feature 중 2가지가 빠져있네요.

*DVD를 PS2로 돌리니 음성이 한 가지였는데 PC로 돌려보니 2가지로 나오긴 하네요. 그런데 영화 음성이 해설에서 배경으로 들리는 음성 수준의 볼륨이네요. disc 1과 비교해봐도 확실히 작군요.
2005/12/28 14:36 2005/12/28 14:36

에이리언4 (Alien Resurrection) - 2005.12.27.

1997년 개봉당시 개봉일에 극장에서 보았던 영화 '에이리언4'. 이 영화로 '위노나 라이더'가 좋아졌다는...

'DVD 2.0' 번들로 4개월 연속으로 증정했던 '에이리언 SE' 시리즈의 4번째로 동생이 이 DVD를 보고 잡지를 구입.

2003년 special edition은 극장 개봉판과는 다른 오프닝과 엔딩이 있다고 하여 보았다. 오프닝은 모르겠지만 엔딩은 다르다.

에이리언 시리즈치고 상당히 빠른 전개는 좋았지만 위노나 라이더가 등장한 이유는 참으로 황당.

장 피에르 주네 감독이 프랑스인이기 때문인지 결말에서 파괴된 파리(Paris)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에이리언의 진화가 더딘 사이 인간 전사들이 많이 진화했는지 이젠 싸울 만하다. 별점 3.5개
2005/12/27 22:31 2005/12/27 22:31

헤드윅 (Hedwig and The Angry Inch) - 2005.12.26.

DVD 잡지에서 번들로 준 헤드윅. 대단한 내용에 대단한 연기, 대단한 영화!!

'헤드윅'을 연기한 '존 카메론 미첼'은 처음에는 좀 혐오감(?)도 들었지만 볼 수록 연기에 몰입되면서 '그녀'로 생각하게 되었다. 헤드윅 뿐만 아니고 헤드윅과 밴드를 이끌어가는 친구들도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초기 헤드윅의 밴드 멤버가 미군과 결혼한 한국 여성들이었다는 점은 우스우면서도 씁쓸한 우리 역사의 한 조각이다. 결국 헤드윅은 락스타로 성공을 한 것일까?

사람을 미치게 만드는 무엇, 그것이 음악에 있는 것일까? 별 4.5개.

"So there is the music."
2005/12/27 22:20 2005/12/27 22:20

페퍼톤스 - Colorful Express



'12월 16일, 그들이 돌아왔다!'
2004년 3월에 발매된 EP 'A Preview'로 자아도취에 빠져가던 홍대 앞 Rock Scene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던 '페퍼톤스(Peppertones)'의 1집이 발매되었습니다. 지난 겨울 모 라디오 프로그램에 등장하여 이르면 봄, 늦어도 가을로 넘어가기 전에는 발매될 거라던 앨범이 약속보다 상당히 늦게 발매된 것이죠. 그만큼 팬들은 갈증에 시달렸답니다. 사실 EP 'A Preview'가 너무나 좋았기에 정식 앨범은 어느 정도일 지, 기대만큼 걱정도 컸습니다. EP만큼 해야 본전이고 부족하면 비난의 화살이 날라올 지도 모를 일이니까요.

'Colorful Express'
앨범 발매에 앞서 MV로 공개된 'Ready, Get Set Go!'는 '역시나!'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밝고 힘차고 경쾌합니다. 운동회라고 생각되는 소음과 시작을 알리는 총성으로 시작되는, 이 앨범의 타이틀 곡으로 '우울증을 위한 뉴-테라피 이인조'라는 밴드의 모토에 딱 들어맞는 곡입니다. EP의 '21st Century Magic'에 연장선에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그 '방방거림'은 EP를 능가하네요. 앨범의 타이틀 곡은 intro를 제외한 2번째나 그 이후에 들어가는 것이 대부분인데 첫 곡으로 배치한 점도 독특합니다.

이어지는 'Superfantastic' 역시 매우 흥겹고 희망찬 곡입니다. 첫 곡이 객원 보컬 'deb'에게 맞는 곡이라면 이번곡은 또 다른 개원 보컬 'WestWind'에게 딱 맞는 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어로 되어있는 가사도 '대단히' 희망적인 메시지이구요.

'세계정복', '스타크레프트'에 들어본 효과음과 함께 시작하는 역시 경쾌하지만, 앞선 두 곡에 비하면 가라앉은 느낌입니다. '세계정복'이라는 제목에서 왠지 자신들의 음악으로 세계정복하겠다는 밴드의 기상을 느끼는 사람은 저 뿐일까요?

'April Funk'는 올 봄에 공개되었던 Digital Single에 수록되었던 곡의 june mix입니다. 앞의 3곡에 비하면 상당히 소박한 연주를 들려줍니다. 몇몇 효과음이 앞뒤로 들어간 점을 빼면 전체적으로 원곡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상당히 신선한 느낌의 'Bike'는 'Ready, Get Set Go!' 다음으로 밀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 곡입니다. MV로 만든다면 애니메이션으로 만든다면 좋겠네요. 5,6월의 따뜻한 햇살과 한 적한 이차선 도로, 두 대의 자전거, 그리고 그들만의 레이스가 떠오르네요.

이어지는 세 곡 '잠든 도시의 미로', Heavy Sun Heavy Moon', 'Colorful'은 연주곡입니다. 페퍼톤스다운 곡들로 괜찮은 크로스오버라고 해야겠습니다. 10년 후에는 '크로스오버 밴드 페퍼톤스'를 보게 될 지도 모르죠.

'High Romance'는 꿍짝거리는 소위 '뽕끼' 리듬이 느껴지는 곡입니다. 쿵짝쿵짝쿵짜자쿵짝... '어름같은 태양, 차갑게 식어버린 도시' 가사와는 반대로 연주에서는 작열하는 태양 아래 무더운 여름날이 생각하는 곡이고 앨범 수록곡 중 가장 차분한 곡이기도 합니다.

기타 'Sayo'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Fake Traveler'는 6분이 넘는 이 앨범에서 가장 긴 곡입니다. 그다지 잘 부른다고 할 수는 없지만 적절하다고 할 수 있는 보컬에서 묘한 중독성이 느껴지는 곡입니다. 팬들에게는 참으로 반가운 목소리죠.

'남반구'는 '함박웃음'이라고 표현하고 싶은, 쉽고 밝은 곡입니다. 맑은 'WestWind'의 목소리는 '동요'의 느낌이 들게 하네요. 올 여름에 다녀온 푸켓이 떠오르네요.

마지막 2곡이 이미 소개되었던 곡들의 다른 version이기에 실질적으로 마지막 곡이라고 할 수 있는 'Everything is OK'는 밴드의 두 멤버와 객원보컬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곡입니다. 제목처럼 모든 것이 괜찮습니다. 너무 오랜 기다림이 었지만 이제 그들이 돌아왔어요.

이번 정규 1집은 전체적으로 두 개의 EP를 붙여놓은 느낌입니다. 중간에 들어간 3곡의 연주곡을 기준으로 앞뒤로 2개의 EP로 나누어 진다고 할까요? 연주곡까지 따로 나눈다면 3개로 나눌 수도 있겠지요. 개인적으로는 98%만족하는 곡입니다. EP의 느낌을 그대로 가져가면서도 그 안에서 만족할 만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쉽게도 남은 2%는 앨범에서 찾을 수 없었지만 꾸준한 공연으로 채워주었으면 좋겠네요.

한번 쭉 들으신 분들은 눈치채셨겠지만 앨범 수록곡들이 전부 '여름'에 딱 어울리는 곡입니다. 여름에 나왔어도 참 좋았겠지만 차가운 겨울, 방안에서 듣는 여름 노래도 나쁘지 않네요. 별점은 4.5개입니다.
2005/12/27 15:39 2005/12/27 1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