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심한 위로의 복숭아 in 12월 24일 salon 바다비

두번째는 바로 '심심한 위로의 복숭아'였습니다. 오늘 드디어 이름의 의미를 공개했습니다. 바로 '발로 차주고 싶은 등짝'이라는 소설에 나오는 이름이라고 합니다. 그 소설에서 아픈 친구에게 병문안 가면서 가져간 복숭아가 '심심한 위로의 복숭아'라고 합니다.

공연 팀이 많은 관계로 역시 짧게 진행되었습니다. '심심한 위로의 복숭아'의 대표곡 '코끼리송'과 '우리의 기억은 저편에 숨어서'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신곡으로 새벽에 크리스마스를 위해 만들었다는 신곡을 들려주었습니다. 제목은 기억이 안나는데 슬픈 크리스마스를 내용으로 한 곡이었습니다.

바다비 사장님의 눈치에 못이겨(?) 마지막 곡은 분위기를 띄우기위한 곡 '멜로우씨 잔혹 복수극'을 들려주었습니다. 공연 제목이 'the 조용한 Christmas'였으니 그녀의 고집대로(?) 조용한 곡으로 마무리했으면 어땠나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바로 이 날 낮에 상암 CGV에서 '중천'의 무대인사로 '김태희'를 보았지만, '지은'과 '심심한 위로의 복숭아', 2006년에 포착한 재능있는 두 뮤지션들을 한 공연에서 볼 수 있었던 행운은 제게 크리스마스 선물이나 다름 없었습니다.

입장료도 냈고하니, 본전을 뽑으려고 두 팀을 더 보고 빵으로 향했습니다.

2006/12/26 22:05 2006/12/26 22:05

지은 in 12월 24일 salon 바다비

12월 24일 바다비 공연 'the 조용한 Christmas'. 10 여팀의 공연이 잡여있는 바다비 공연이었습니다. 역시 빵빵한 라인업을 보여주는 '빵'으로 갈까했지만, 초반에 제가 좋아하는 두 뮤지션이 나온다는 것을 알고 우선 바다비를 선택.

첫번째는 바로 너무 오랜만에 만나는 '지은'이었습니다. 공연으로는 '빵'에서 '헤븐리'를 한 번 본 후 두번째네요.

'Santa baby'와 제목이 생각안나는, 크리스마스에 어울릴 만한 두 곡을 카피곡으로 들려주었고, 세번째 곡은 싸이월드 미니홈피 배경음악으로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는 'Like a Star'로 세 곡이 연달아 카피곡이었습니다. 네번째는 드디어 '지은'의 곡 '부끄러워'였는데 밝은 분위기로 카피곡들보다 좋았습니다. 앵콜 요청으로 역시 자작곡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드디어 앨범이 1월 초에 나온다고 합니다. 기대해봅시다.

2006/12/26 21:31 2006/12/26 21:31

가만히 앉아서

두 사람이 있었다.


"여기 있었네. 크리스마스는 잘 보냈어?"

"응."

"어떻게 보냈어?'

"그냥, 친구들도 좀 만나고 가족들이랑도."

"응. 그랬구나."

"잘 보냈겠지?"

"응."

"그래."

"추운데 여기 앉아서 뭐하는 거야?"

"기다리고 있어."

"뭘?"

"운명."

"운명?"

"인생은 운명이라는 큰 원 안을 도는 것과 같데."

"큰 원?"

"원이라면, 돌고 돌아 다시 찾아오지 않을까?"

"아마, 그렇겠지."

"그러니 이젠 가만히 앉아서 기다려보려구. 운명이라는 궤도를 돌아 다시 올 열차를."

"그렇게 앉아만 있으면 운명이 찾아오겠어?"

"그럼?"

"부딪혀야지. 온몸으로."

"난, 이제 욕심부릴 수 없는 걸. 강요할 수도 없는 걸."

"응? 어째서?"

"내가 좋아했던 사람들. 모두 날아가 버렸어. 그러니, 이젠 운명을 기다리는 수 밖에."

"그럼, 그건 운명이 아니었으니까 그런 거겠지."

"그런가."

"응. 그럴거야."

"아니, 그런 게 내 운명일지도."

"설마. 그래서 좌절한거야?"

"아니. 아직은 아니야."

"다행이네. 나도 앉아서 기다려볼까?"

"너도?"

"응. 혼자 기다리면 심심할 거 아니야?"

"그럴까."

"그런데. 만약 운명의 열차가 오지 않으면."

"응?"

"내 운명의 열차가 오지 않으면 그땐 어떡하지?"

"난 놓쳐버린 건 아닐까 생각해 왔어. 놓쳤거나 오지 않거나, 그것도 운명이 아닐까?"

내 운명, 그 끝에 당신이 있기를 바랍니다.
2006/12/26 10:54 2006/12/26 10:54

encoding of 20061218

12월 18일의 CD들.

'러브홀릭'의 리메이크 앨범 'RE-WIND'. 박기영이 불렀던 '정원', 이소라가 불렀던 '처음 느낌 그대로', 보너스 트랙으로 '인형의 꿈' 등 기대만큼은 아니지만 들을 만한 앨범. 지선의 목소리는 역시 괜찮다. 샀더니만 이벤트 당첨으로 2장이 되어버린 앨범.

'짙은'의 EP 'Rock Doves'. 이렇게나 괜찮은 음악을 들려줄 줄이야. 사놓은지는 상당히 오래되었는데(아마 롤링스톤스2 공연갔다가 그날이 EP나온 날이라고 좀 싸게 샀을거다.) 이제서야 처음 들었다. 종종 들어야지.

'마이앤트메리(My Aunt Mary)'의 4집 'Drift'. 타이틀곡 'With'빼고는 사실 처음 들었을 때는 그다지 끌리는 곡이 없었는데 좀 듣다 보니 좋은 곡들이 들린다. '내게 머물러, '특별한 사람', '148km'가 좋다. 마이앤트메리가 지향하는 팝의 느낌을 느낄 수 있는 앨범.

'FreeTEMPO'의 'Oriental Quaint + Imagery'. LoveAFFAIR'가 너무 좋아서 비슷한 느낌을 기대했는데 좀 많이 다르다. 하지만 두세번 들으니 익숙해지면서 이번 앨범 나름의 느낌이 있었다. 한국곡들의 가사가 짜증날 때면 한번씩 들어주고 있다.

'펄스데이'의 데뷔앨범 '1st Birthday'. '차마'의 뮤비가 좀 뜰 때 즈음에는 앨범 발매가 안되었더니 소리소문없이 나와버렸다. 홍보가 안된건지 어쩐건지 뒤늦게 구입. 아쉽게도 '차마'만한 임팩트가 있는 곡이 없다는 점은 아쉽다. 후속곡이라면 '사랑 많은 그녀에게'정도?


more..

2006/12/25 22:53 2006/12/25 22:53

더 멜로디 in 12월 22일 T-saem

두 게스트의 공연이 끝나고 이번 쇼케이스의 주인공인 '더 멜로디'가 등장하였습니다.

'더 멜로디'의 세 멤버 외에도 코러스, 퍼커션, 기타 등의 세션들과 함께 등장하여 꽉 차는 보여주었습니다. 곡에 따라 첼로와 드럼 세션도 등장했구요.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보통 무대에서는 침묵을 지키고 있었던 보컬이 드디어 입을 열었다는 점입니다. 세션 소개에 좀 애를 먹기는 했지만, 주도적으로 멘트를 진행하는 모습은 처음이었는데 괜찮았고 더 나아질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미 발표된 digital single 수록곡인 'Paradise'와 'Love Box', 'Everything N'nothing' 외에도 영화 '도마뱀'의 수록곡인 'Whatever', 영화 '달콤 살벌한 연인'에도 수록되었던 'Remeber' 등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아직 공연에서만 들을 수 있는 'Doo be rab'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T-saem의 화려하고 멋진 무대에 '더 멜로디'의 꽉찬 공연이 더해지니 공개방송을 보는 듯한 기분도 들었습니다. 그만큼 '더 멜로디'의 실력이나 공연 시설이 빛나는 무대였습니다. 크리스마스를 맞이하여 관객들에게 선사하는 '크리스마스 선물'같은 공연이었다고 할까요?

앵콜곡으로는 역시 아직 공연으로만 들을 수 있는 '폴리'를 들려주었습니다. 오프라인으로도 single이 22일자로 발매되었고, 데뷔 앨범은 1월 중순 발매예정입니다. 2007년 가요계를 향한 '더 멜로디'의 발걸음을 지켜봅시다.

2006/12/24 00:05 2006/12/24 00:05

타뷸라 라사

두 사람이 있었다.


"난 말야, 가끔 내가 기억 속에서 살고 있는 게 아닐까하는 생각해."

"기억?"

"응, 사실 난 언젠가 죽었지만 내 기억은 남아서 그 안에서 살고 있는 게 아닐까하는."

"그럼 다른 누군가의 기억 속에서?"

"그렇겠지? 아마도."

"그럼 나도 누군가의 기억이 만들어낸 허상일 수도 있겠는데?"

"설마. 그런가? 나만 허상일 수도 있어. 네 기억 속에서."

"그럼, 그 반대도 가능한데?"

"그럴지도. 아니면 둘 다 허상이거나."

"난, 나를 둘러싼 세상이 사실은 꿈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한 일이 있어."

"매트릭스처럼?"

"응, 꿈을 깨면 전혀 다른 세상일지도. 그 현실에서 사실 우린 지구인이 아닐지도 몰라."

"지구인이 아니면?"

"외계인인데 가상현실 속에서 지구인 놀이를 하고 있는 걸지도."

"이 놀이는 그럼 언제 끝나려나?"

"놀이 속에서 죽어야 끝나지 않을까? Game over처럼."

"아, 기억이란 참 우스운 거같아. 기억이 희미해지면 우리 중 허상인 사람도 사라지겠네."

"그렇겠지. 혹시, Tabula Rasa라고 들어봤어?"

"타뷸라 라사?"

"응, 어떤 경험도 하지 않은 인간의 정신 상태래. 아마 막 태어난 아기의 상태겠지."

"그런데, 갑자기 왜?"

"지금 정신이 그렇게 된다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들어서. 경험이 없다면 기억도 없을테니."

"지우고 싶은 기억이라도 있는거야?"

"아니."

"잊을 수 없는 소중한 기억, 혹시 있어?"

"글쎄. 별로 소중한 것도 아름다운 것도, 그냥 평범한 없는 기억인 걸."

"그래도."

"뭐, 설원의 기억이라고 해야하나. 가끔씩 눈보라가 치는."

"설원의 기억?

"조금은 시린 기억 뿐이라고."

"괜히 물었네."

"아니야, 괜찮아. 어차피 바보같은 기억 뿐인데 뭐."

"저기. 기억해줄래?."

"응?"

"날 기억해줘."

"응, 그럴게. 조심해서 들어가.'

"응. 잘 가."





"...있잖아."

"...응?"

"...나도, 그 말 하고 싶었어. 기억해 달라고. Merry Christmas."

"Merry Christmas."

제 기억이 모두 지워진다면, 그때는 당신을 가장 먼저 만나고 싶습니다.
2006/12/23 10:51 2006/12/23 10:51

뉴욕물고기 in 12월 22일 T-saem

두번째 게스트는 '뉴욕물고기'라는 솔로 뮤지션이었습니다. 미국에서 음악과 미술 작업을 해왔고 이제 막 음악 활동을 시작하려고 한답니다. 아직 시작은 안했다는군요.

신인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음악에서는 신인같지 않은 완숙함이 느껴졌습니다. 세월을 통해 쌓인 내공이라고 할까요?

2006/12/22 22:12 2006/12/22 22:12

소규모 아카시아 밴드 in 12월 22일 T-saem

22일 광화문에 위치한 'T-saem'에서 조만간 single을 발표하고 1월 중순에는 1집을 발표할 예정인, 2007년을 겨냥한 '파스텔뮤직'의 비밀병기(?), '더 멜로디(The Melody)'의 쇼케이스가 있었습니다. 온라인으로 공개된 두 개의 digital single과 영화, CF 등에 삽입되면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이 밴드가 단순히 잘 녹음하여 만들어진 밴드가 아닌 진짜 실력있는 밴드임을 보여주기 위한 쇼케이스가 아닌가 합니다.

T-saem, 슬쩍 보기에도 시설이 상당히 좋았습니다. 세련되고 밝고, 멋지더군요.

본격적인 쇼케이스가 열리기 전에 '게스트'로 두 팀이 있었는데 첫번째는 '소규모 아카시아 밴드'였습니다. 아쉽게도 게스트이기에 두 곡 밖에 들을 수 없었어요. '입술이 달빛'과 '룰루랄라'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두 곡 사이에 있었던 멘트에서는 23일에 있을 파티에 대한 홍보도 있었습니다. 거의 맨 뒤쪽에서 보아서 디카의 줌을 최대로 당기고 찍었습니다. 몇몇 사진은 디지털 줌까지 동원했는데 상당히 밝아서 흔들림이 적네요.

2006/12/22 21:42 2006/12/22 21:42

제로섬

두 사람이 있었다.


"이상한 말 같지만, 모두가 행복한 세상에서는 누구도 행복을 느낄 수 없을 거야."

"모두 행복하다면? 글쎄."

"행복도 상대적인 개념이 아닐까?

"상대적?"

"응, 누군가 불행한 모습을 보고 자신이 행복하다는 걸 알 수 있듯이."

"아, 상대적으로 자신은 불행하지 않으니 행복한 거다?"

"응, 비슷해."

"정말. 그런 거 같기도 해."

"행복과 불행이 불가분의 관계라면 합은 0이 되야하니, 모두가 행복할 수는 없겠지."

"그런거 왠지 들어본 듯한데?"

"아, 어떤 경제학자가 말한 '제로섬(Zero-Sum)'과 비슷한 얘기지."

"제로섬?"

"응, 한 쪽이 이득을 보면 다른 쪽은 손해를 봐서 그 합은 0이 된다고."

"그런 걸 행복에도 적용할 수 있을까?"

"다른 감정들도 마찬가지 아닐까?

"감정들도 마찬가지라니?"

"누군가는 기쁘고 누군가는 슬프고 누군가는 절망하고... 어떤 순간에도 모든 인간이 모두 같은 기분은 아니잖아. 축구에서 한 팀이 골을 넣으면 그 팀이나 팬은 기쁘겠지만, 다른 팀이나 팬은 실망하는 것처럼."

"듣고보니 그럴 듯 하네."

"결국 어떤 사람이 행복하려면, 다른 누군가는 불행해야할 거야. '누군가'는."

"누군가?"

"응, 우리가 될 수도 있겠지. 그 '누군가'가."

"그렇다면 정말 억울한 일이겠는데."

"고독이란 것도 그런 걸지도 몰라."

"그래서 고독한 거라고?"

"제로섬이 맞다면 누군가는 그래야하겠지. 그게 내가 될 수도 있고."

"정말 그걸 믿는거야?"

"응. 아니, 믿고 싶지 않지만 믿게 되는 걸."

"그런데, 있잖아."

"응?"

"그건 누가 생각한 거야? 고독의 제로섬."

"내가."

"그런데 그 가설엔 큰 오류가 있는 걸?"

"어떤 점?"

"우리 지금은 불행하지도 고독하지도 않잖아."

당신과 함께일 때 난 불행하지도 고독하지도 않았습니다.
2006/12/22 09:37 2006/12/22 09:37

우주히피 in 12월 9일 salon 바다비

섯번째는 '우주히피'였습니다. 처음 보는데, 누구 닮았다는 이야기로 곤욕을 치른일이 있다네요. '박지성'을 닮은 느낌아닌가요?

유일한 남성 뮤지션이고 앞선 뮤지션들이 조용조용한 음악을 들려주어서 더욱 힘차게 느껴졌습니다.

마지막 '무지개돼지'는 시간이 너무 늦은 관계로 볼 수 없었습니다. 특이한 이름의 '무지개돼지'는 밴드 '어른아이'의 기타리스트이고, 이 날이 생일이었다네요.

2006/12/21 21:43 2006/12/21 2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