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마법

언어(言語)란 참으로 불완전하다. 특히 사람의 입에서 나오는 '말'이란 더욱 그렇다. 일상에 쏟아내는 무수한 말들, 그런 말들이 우리의 생각과 감정과 상황을 얼마나 표현할 수 있을까? 또 얼마나 무관심하고 거짓되고 상처가 되는 말들이 많을까? 남의 말보다 내 자신의 말을 못 믿기에 나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말을 많이 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말하는 것보다는 듣는 것을 좋아하는 내 취향도 그런 이유일 것이다. 불완전한 언어를 경계하지만, 우습게도 말을 듣는 것은 몇 시간이라도 할 자신이 있다. 물론 따분한 강의나 설명은 아니다. 그냥 일상의 이야기들을. 말을 잘 하는 사람보다는 말을 잘 들어주는 사람이 되는 것이 내 소박함 꿈이기도 하다.

역시 언어란 참 불완전하다. 그런데 그런 점이 언어의 매력이기도 하다. 물론 칭찬 한 마디가 곰을 구르게 한다지만 그런 이야기를 하려는 것은 아니다. 노랫말에 대한 이야기다. 감정의 흐름을 담고 있는 노랫말, 가사(歌辭)는 노래가 표현하는 '감정의 흐름' 중 한 면을 잘라내어 펼쳐놓은 것이라고 할까? 그 단면을 불완전한 언어로 표현하기에 가사도 불완전할 수 밖에 없다. 그렇기에 듣는이의 상상이 발휘될 수있다. 직접적인 혹은 간접적인 경험들과 그 경험을 바탕으로한 상상력으로 가사는 듣는이의 마음 속에서 한 단면이 아닌 '완전한 흐름'으로 되 살아난다. '언어의 불완전함', 그 빈틈이 듣는이로 하려금 상상의 나래를 펼치게 한다.

좀 다른 샛길로 빠져서, 노래를 이루는 가사 뿐만 아니라 선율 혹은 멜로디도, '흐름의 재구성'의 한 재료가 될 것이다. 가사가 '흐름의 한 단면'이라면 선율은 그 '흐름의 뼈대'같은 것이라고 하겠다. 수 많은 단면 중 '가장 중요한 단면(가사)'와 '전체적인 뼈대(선율)'로 노래의 재구성은 이루어진다.

물론 개인의 경험과 상상력에 따라 재구성되는 그 흐름은 많이 다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보다 엄선된 단어와 문장들로 이루어진 가사일수록 노래를 만든 사람이 전하려는 흐름과 듣는이의 상상 속에서 재구성되는 흐름이 많이 비슷하지 않을까? 아마도 그런 가사가 더 좋은 가사들 중 하나가 아닐까?

딴 이야기가 좀 길었다. 비단 노래 뿐만 아니고 글도 마찬가지라고 생각된다. '언어의 불완전함', 그래서 언어는 매력적이다. 그래서 더 많이 읽고 싶고 더 많이 듣고 싶다. 그리고 좀 욕심부려서, 좋은 글들을 쓰고 싶다. 나아가, '불완전함의 재구성', 더 멋진 나만의 재구성을 위해 더 많이 느끼고 더 많이 경험하고 더 많이 생각하고 싶다. 더 아름답게 상상하고 싶다.
2006/12/31 23:27 2006/12/31 23:27

바다의 끝에서

두 사람이 있었다.


"와, 바다야! 정말 오랜만이야!"

"응. 나도 정말 오랜만이네. 겨울바다는"

"와아~"

"신발 조심하라구."

"벌써 조금 젖었어."

"어떤 사람은 여기를 '바다의 끝'이라고 했어."

"바다의 끝?"

"응. 아마 바다의 입장에서는 육지와 만나는 이곳이 끝이겠지."






"난, 언제나 타오르던 사랑이 결국 차갑게 식어버리면 어쩌나 걱정만 해왔어."

"그럼, 사랑이 타오르게 하지마."

"타오르지 않게?"

"그런 차가운 사랑도 있지 않을까?"

"차가운 사랑이라. 어떤 걸까?"

"아니면..."

"아니면?"

"아니면, 타오르게 할 연료가 바닥나면... 그땐 죽는 거야."

"죽는 건, 너무 과격하잖아."

"그게 진짜였다면. 그렇다면 해볼 만 하지 않겠어?"

"그럴까?"





"있잖아."

"응? 잘 안들려!"

"있잖아, 내 '끝'이 되어줘. 날아가지 않을게."

"끝이란 없어. 단지 시작만이 있는거야!"

"시작만? 응."

"날아가든 날아가지 않은 상관없어. 그게 운명이라면."

"응. 운명이라면."

"넌, 나에겐 모든 시작인 걸!"

"응. 나에게 너도."

"(널 만나서 너무 기쁘고 널 알아서 너무 슬퍼.)"

"뭐라고? 잘 안들려."

"아니야."

"그럼 우린 바다의 끝에서 시작인 거네!"

"응. 바다의 끝에서."

당신을 만나서 가장 기뻤고 당신을 알아서 가장 슬펐습니다.
2006/12/30 12:15 2006/12/30 12:15

어배러투모로우 in 12월 24일 클럽 빵

이어지는 팀은 '저학년 포크'를 들려준다는 '어배러투모로우'로, '교주의 포스'가 느껴지는 '호라', 왠지 피곤해보였던 '복숭아', 언제나 빵 무대의 어둠의 자리에 서게 되는 '민', 이렇게 세 사람이었습니다.

'악사의 연주'와 '놀이동산 왈츠'로 시작했고 준비한 수첩을 관객들에게 선물로 증정했습니다.(저는 못 받아서 좀 아쉬웠요.) 신곡 '스커트'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날은 추워지는데, 점점 짧아지기만 하는 '여성들의 스커트'에 대한 노래라네요. '버스 메이트', '복학생' 등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아저씨'에서는 상당히 많은 인원이 난입하여 단체 발차기를 보여주었습니다.

앵콜곡은 '아저씨'만큼이나 사람이 많을 수록 반응이 좋아지는 '고기반찬'이었구요.

2006/12/30 01:02 2006/12/30 01:02

타바코쥬스 in 12월 24일 클럽 빵

이어서 '빵'에서 두번째 보게되는 '타바코쥬스'.

사람이 많고 왁자지껄하니 왠지 분위기가 좋았습니다. 분위기를 많이 타는 밴드랄까요. 오른쪽의 기타리스트는 이 날 여자친구와 헤어졌다는군요.


2006/12/30 00:20 2006/12/30 00:20

피카 in 12월 24일 클럽 빵

이어서 '로로스'의 첼리스트 제인의 솔로 프로젝트 '피카'의 공연이 있었습니다. 좀 서툰 그녀의 우리말은 언제나 재밌습니다. 서툴지만 솔직하고 풍부한 그녀의 기분을 느낄 수 있어서 그런가봅니다.

네 곡 정도 들려주었는데 인상의 남는 곡 중 하나인 '도깨비'는 이번에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아까 '나비'의 순서 때 나왔던 세션들과 '나비'가 나와서 피카의 'Open your eyes'를 도와주었습니다.

'크리스마스는 파티'라고 피티를 위한 그녀의 좀 야한 의상(?)도 볼 수 있었습니다.

2006/12/29 21:50 2006/12/29 21:50

나비 in 12월 24일 클럽 빵

빵에 도착했을 때는 '나비'가 세션들과 함께 한창 공연 중이었습니다.

그리고 공연 중인 곡은 바로 '나비'의 대표곡 'Dragon'. 로로스의 첼로 '제인'의 도움으로 첼로 연주와 함께하는 'Dragon'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거대한 위용과 불을 뿜는 드래곤은 첼로의 도움으로 드디어 창공을 날고 있었습니다.

이어 마지막곡은 카피곡으로 'Nirvana'의 'Rape Me'를 들려주었습니다.

사람이 상당히 많아서 맨 뒤에 서서 볼 수 밖에 없었어요. 그래서 사진들이 별로네요.

2006/12/29 20:58 2006/12/29 20:58

상암 CGV에서 만난 김태희

점점 떨어져만 가는 방문자 수를 만회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 1탄.

영화 '중천'을 보러갔다가 보게된 무대인사를 위해 온 '김태희'와 '정우성'.

두 사람 말고도 몇 사람이 더 인사를 왔지만 기억나는 사람은 두 사람 뿐.

사실은 무대인사를 보기위해 '중천'을 본 것이지만.

클릭해서 크게 보세요.

2006/12/29 02:24 2006/12/29 02:24

deaf stars, blind words

이제 별들은 소원을 들어주지 않아.

이제 별들은 귀 기울이지도 않아.

now I'm seeing the shining stars.

and just  telling the silent words.


별들은 소리을 들을 수 없는 걸까?

결국 별들은 귀먹어버린 걸까?

now I'm seeing the deaf stars.

and just telling the silent words.


별들에게 소원은 닿을 수 없는걸까?

이젠 소원도 눈멀어버린 걸까?

now I'm seeing the shining stars.

and just telling the blind words.


온통 귀 먹은 별들과 눈 먼 단어들뿐.

결국 이루어질 수 없는 바람들뿐.

now I'm seeing the deaf stars.

and just telling the blind words.


Do you listen to me ?

Can you listen to my mind, my broken...

Can you ?, my everlasting star.

2006/12/29 02:05 2006/12/29 02:05

씨티엠 in 12월 24일 salon 바다비

네번째는 '시티엠'이라는 팀이었습니다. '캐스커'같은 일렉트로닉이나 라운지 음악을 들려주는 유닛이랄까요? 그런 느낌이었습니다.

얼마전에 베이시스트를 구해서 어쿠스틱으로 들려준 곡도 있었고 어쿠스틱 공연을 자주 할 거랍니다.


2006/12/27 21:19 2006/12/27 21:19

티미르호 in 12월 24일 salon 바다비

세번째는 '티미르호'라는 독특한 구성의 밴드(?)였습니다. 이 날 공연에서는 리코더와 피아노, 두 명의 멤버만 볼 수 있었는데 원래는 바이올린까지 세 명이라고 합니다.

바다비에 못 보던 피아노가 생겼는데, 바로 '티미르호'의 피아니스트가 인도 여행 가려고 모았던 돈으로 피아노를 사서 기증했답니다. 중고 피아노이지만 역시 그 소리는 키보드와 비교할 수 없었습니다.

이 밴드가 들려주는 음악은 '뉴에이지' 혹은 '크로스오버'라고 할까요? 바이올린까지 세 멤버가 모여서 들려주는 선율이 궁금하네요.

2006/12/27 21:04 2006/12/27 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