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 in 2월 2일 클럽 빵

지난 2일에 다녀온 '빵'. 원래는 네 팀의 공연이 예정되어 있었지만, 한 팀이 펑크가 나서 세 팀이 공연을 했습니다. 세 팀이었지만 상당히 빵빵한 라인업! 바로 '나비', '골든팝스' 그리고 '그림자궁전'이었습니다.

첫번째는 물이 오른 '나비'였습니다. 올해 공연은 처음 보네요.

왠지 서글픈 '고양이는 울었지', '로로스'의 첼리스트 '제인'과 함께한 판타지모던락 'Dragon' 두 곡은 역시 '나비'의 대표곡 다웠습니다. 마지막 곡은 너무나 유명한 'Nancy Sinatra'의 'Bang Bang'을 들려주었어요. 바로 영화 'Kill Bill'을 통해 너무나 익숙해진 곡이죠.

2007/02/04 19:48 2007/02/04 19:48

'의료법 개정안'에 한탄하며...

정부가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의료법 개정안'.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정말 할 말이 없어지더군요. 이 땅에서 '의업(醫業)'에 종사하는 것이 그렇게 못 마땅한 일인가하는 생각까지 듭니다.

정부는 모두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라지만 과연 그런가요? 지난 2000년 '의약분업'때 어땠나요? 그때도 '국민 건강 증진'이라는 명분 아래 의사들의 반대는 정부, 언론 그리고 시민단체의 뭇매를 맞으며 묵살되었었죠. 그 결과는 어떤가요? 고작 약을 싸는 일에 드는 국민건강보험 지출액이 '의약분업 전 2조원'에서 '의약분업 후 4조원'으로 증가했다네요. 고작 약을 봉투에 넣는 일일 뿐인데 왜 그렇게 지출이 많은거죠? 왜 약을 싸는 일에 국민들이 더 부담을 해야하죠? 그때 '국민 건강 증진' 외치던 무리들은 모두 어디갔나요?  왜 우리 정부는 100년은 커녕 10년 앞도 내다보지 못하나요? 왜 우리는 반성할 줄 모르죠?

이번 개정안의 일부 내용도 그렇습니다. 조금만 더 알아도 뻔히 보이는데, 왜 정부와 언론은 또 눈을 가리려고 할까요?

그야말로 의사가 '교과서대로' 진료를 해도 '과잉 진료'라고 하는 정부와 건강보험공단, 과연 누가 옮은 것일까요? 교과서라하면 물론 영어로 쓰여진 미국에서 나온 교과서를 말합니다. 미국의 실정을 한국에 적용한다는 점이 옳지 않다고 할 수도 있지만, '의학'이란 엄연히 서양의 학문입니다. 그리고 그 '의학'이란 학문의 최정점에 있는 나라가 미국이구요. 그 최정점만큼, 의료비 지출의 부담이 가장 큰 나라가 미국이기도 합니다. 의료 수준이나 의료비 지출 모두 최정점에 있는 만큼, 미국의 교과서는 그 비용을 줄이기 위한 진료과정의 최적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겁니다. 단지 '최소의 비용'은 아니겠지만, '비용 대비 효과', 즉 '효율'에서 최고를 낼 수 있는 진료 과정을 그 '교과서'가 담고 있다는 것이죠. 그런 교과서로 진료하는 것이 국민과 사회를 위해 올바른 의료가 아닐까요? 누가 어떤 근거로 그런 진료를 과잉 진료라고 하죠?

왜 정부는 어떤 근거도 없이 추진하는 일이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것이라고 하죠? 지금 한국과 같은 '이상한 의약분업'을 시행하는 의료 선진국이 어딘가요? 이번 개정안 같은 시도를 하는 국가는 또 어딘가요? 왜 정부는 의료의 내실을 다지려 하지 않고, 부실로 몰고 가려하죠? 자본주의적인 즉, '영리적 의료법인'인 외국계 병원을 들려오려 하면서, 정작 국내 의료는 사회주의로 몰고 가려하나요?

우리 정부의 우스운 점은 어느 부분보다도 의료를 민간에 의존하고 있으면서, 무조건 통제하려는 점입니다. 주위에 국공립 병원이 얼마나 있나 생각해보세요. 수도권 대학 병원만 생각해 볼까요? 국립대 대학병원하면 저는 '서울대학병원'과 그에 딸린 몇명 병원 밖에 생각나자 읺나요. 여러분들이 알고 있는 수 많은 대학병원들, 대부분이 사립대학병원 즉 민간이 설립한 병원입니다.

의료비의 막대한 사회적 지출로 골치를 썩고 있고 의료비 지출이 가정 파산의 큰 원인 중 하나인 미국에서도 의료시설의 국공립 설치 비율은 50%에 가깝습니다. 그런데 지금 우리나라는 어느 수준인지 아시나요? 국공립병원은 10% 정도랍니다. (이 수치에서 '병원'이 아닌 '의원'은 제외일 겁니다. 의료법 상 병원과 의원의 정의는 다릅니다.) 단순히 병상수만으로도 국공립의 차지하는 비율이 역시 10% 정도 밖에 되지 않습니다. '국민 건강 증진'을 외치는 정부는 무엇을 하고 있었던거죠?

이런 비율이 무슨 문제가 될까요? 지금은 보이지 않겠지만, '한국 의료의 치명적'인 약점이 될 수 있습니다. 한미 FTA를 진행하면서 논의 되었던 '의료 시장 개방'이 되면 어떤 일이 생길까요? 외국계 병원과 의료 개방에 대한 '암울한 예측'은, 썼던 관련글(http://bluo.net/1223)을 참고해주세요. 예로, 정말 FTA가 성사 되어 의료 시장이 개방된다면, 얼마전에 반대를 외치던 '한의사'들은 역시나 힘들어지겠죠. 개인적으로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한의학'을 꾸준히 발전시키지 못한 한의사들의 잘못도 있다고 생각하니 여기까지만 이야기 하죠. '약사'들도 역시 암울해 질 것같네요.

FTA의 본질은 '기업'이 '정부'를 '제소'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현재 모든 병원에 강제로 적용되고 있는 '의료보험적용'을 문제 삼아서 , 아마도 높은 수가로 의료보험적용 대상에서 제외될, '외국계 병원'이나 '의료 자본'이  '한국 정부'를 제소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우리 정부가 버텨낼 수 있을까요? 의료보험이 강제가 아닌 선택이 된다면 어찌될 까요?

아마 모든 병원은 아니겠지만, 상당수의 병원들이 의료보험을 빠져나갈 겁니다. 정부에 압박에 숨통을 막혔던 많은 병원들이 빠져나가지 않을까요? 누구나 알 만한 대한민국 최고의 대학병원들은 당연히 빠져나가겠죠. 그 병원들은 국공립이 아닌, 자유로운 '사립'이고 그만큼 자신 있을테니까요. 그리고 현재의 '터무니 없는 의료 수가'를 정상화 시켜주지 않는 이상 상위 그룹에 속하는 대학 병원들이 이탈합 것입니다. 적은 의료 보험 수가로 많은 환자를 보나, 비보험으로 적은 환자를 보나 수입이 비슷하다면 어떤 선택을 할지는 명약관화(明若觀火)하지 않나요?

문제는 강제적으로 묶어둘 수 있는 병원 비율이 10% 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지금도 대학병원에서 기다리는 시간이 상당한데, 그때 정말 몇일 대기해야하는 일이 생길지도 모릅니다. 보험적용 없이는 수배 혹은 수십배 뛰어버린 진료비와 수술비의 사립병원을 갈 엄두를 낼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테니까요. 보험이 적용되는 의료 수가를 올려주어 잡아둘 수 있는 사립병원들도 있겠지만, 이미 터진 뚝을 막기는 뚝이 떠지기 전에 보수하는 일보다 힘든 일이지요.

많은 개념없는 사람들이 외치는 한미 FTA의 '의료 시장 개방', 저는 제발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많은 의사들이 바라고 있구요. 경쟁이 치열해진다고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상황보다 나빠지지는 않을 거라는 점이 다수의 의견입니다. 죽기 일보 직전인데, 어차피 이대로 압박당하면 죽을 터인데, 개방된다고 못되어야 죽기밖에 더하겠습니까?
2007/02/04 15:56 2007/02/04 15:56

가고 싶지만

가세요
그대는 그대의 길을
후회하지 않을 그 길을

가고 싶지만
나 역시 가고 싶지만
나는 갈 수가 없네요.

후회할지도 모른다지만
그래도 나는
이럴 수 밖에 없네요.

먼 훗날에
더 후회하지 않기위해
이 길을 가야하네요.

나는 나의 길을.
그대는 그대의 길을.
우리는 우리의 길을.

2007/02/03 19:31 2007/02/03 19:31

허니와 클로버 (Honey and Clover)

영화 자체도 괜찮았지만 음악이 더 좋았던 영화. 들으면서 Kanno Yoko와 Steve Conte의 느낌이 났는데 역시나 음악 감독이 Kanno Yoko였네.

'아오이 유우'는 나이가 적지 않은데 그래도 어린 얼굴. 일본의 '문근영'인가?

이미지는 클릭해서 보시면 더 깔끔하게 보입니다.

<첫 눈에 사랑에 빠지다>

<이 앞머리>
'매력적인 앞머리'랄까

그래 이 앞머리야


<미행의 미행>

<또 다른 어긋남>

<출격 5인전대>

<푸념>
푸념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이 자신을 가장 좋아해준다." 고작 그 정도의 조건인데도, 영원히 채워지지 않을 것같은 느낌이 들어.


<바다에 서서>

<그 끝에서>

아른한 대학 시절의 이야기.

아, 그러고보면 난 대학 시절도 엉망으로 보냈구나.

"Maybe It wasn't easy. And I just need some rest."
2007/02/02 11:46 2007/02/02 11:46

encoding of 20070130 exclusive

2007년 1월의 처음이자 마지막 추출. 추출에 사용하는 iTunes가 설치되어있는 컴퓨터의 인터넷을 끊어서 태그를 손수 입력하느라 좀 힘이 들었다.

'파니핑크'의 데뷔 앨범 'Mr. Romance'. '캐스커'보다 부드럽고 '올드피쉬'보다 상큼한데다, '미스티 블루'가 첨가 되었다고 할까?  알록달록 상콤달콤한 앨범. 겨울이 아니라 초여름 즈음에 나왔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뭄바트랩'의 데뷔앨범 'Looking For The Sunrise'. 조금씩 일어나고 있는 월드뮤직의 바람을 더욱 강하게 할 앨범이 아닐지. 이국적 연주와 리듬 뿐만 아니라, 두 멤의 교태로운(?) 하모니는 귀를 더욱 즐겁게 한다.

'에픽 하이(Epik High)'의 네번째 앨범 'Remapping The Human Soul'. 2 CD에 거의 100분에 육박하는 재생시간을 보여주는 엄청난 앨범. 소문난 잔치집에 먹을 것 없다지만, '에픽 하이'는 다르다. 처음부터 끝까지 귀를 땔 수 없게 만드는 너무나 좋은 곡들과 계속적으로 귀를 환기 시키는 화려한 피쳐링, 더구나 곡 수도 많으니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 '다이나믹 듀오'의 1집 이후 가장 '귀에 착 감기는' 힙합 앨범이자 2007년 '올해의 앨범'의 강력한 후보.

'the Wreckers'의 데뷔 앨범 'Stand Still, Look Pretty'의 DVD가 포함된 수입 한정반. 생소한 이름이겠지만 신세대 싱어송라이터 'Michelle Branch'가 자신의 6년지기인 'Jessica Harp'와 함께한 '컨트리 듀오'. '오, 신이시여. 이것이 정년 컨트리란 말입니까?' 지금까지 '컨트리'라는 장르에 대한 편견을 날려버리는 멋진 앨범. 이런 컨트리라면 매일 들었으면 좋겠다. 첫트랙  Leave the Pieces'부터 'The Good Kind', 'Tennessee' 등등 그냥 지나칠 수 없는 곡들이 많다. 더불어 'Michelle Branch'의 앨범들도 다시 듣기 시작했는데 이렇게나 좋았었나?

'지은'의 데뷔 앨범 '지은'. 아직 시중에서 구할 수 없는 앨범으로, 그녀를 아는 사람들은 알겠지만, 우여곡절 끝에 드디어 발매가 되었다. 깔끔하다. 하지만 좀 거칠어지면 좋았을 부분에서도 모범생이 된 점은 아쉽다. 하지만 이제 시작일 뿐. 그리고 그럼에도 충분히 좋은 '부끄러워', '그냥 그런 거예요'같은 곡들이 있다.

more..

2007/01/31 18:59 2007/01/31 18:59

일곱 빛깔 사랑

'일본의 대표하는 여성 작가들'의 단편 소설을 모았다는 책, '일곱 빛깔 사랑'. '에쿠니 가오리'의 글이 있다는 점도 구매한 이유이지만, 아직 모르는 다른 일본의 여성 작가들의 글이 궁금하기도 했다.

'에쿠니 가오리'의 '드라제'. 회상하는 형식으로 쓰여진 그녀의 소설이 있었던가? 읽으면서 그런 생각을 했었다. '드라제'는 중년과 청년, 두 다른 나이대의 여성의 시각에서 회상하는 형식이다. 같은 상황에서 다른 회상에 잠겨드는 두 사람, 나이대가 다른만큼 사고방식도 다르다. 작가는 두 사람의 '대비'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자신을 보여주려한 것일까? 적어도 그녀의 책들을 읽어온 나로서는 그렇게 보인다. 역시 중년의, 현재의 그녀는 '쿨'하다.

'기쿠다 미쓰요'의 '그리고 다시, 우리 이야기'. 현재 36세가 된, 세 친구의 이야기를, 그 셋 중 한 친구가 20년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시작되는 회상이다. '외도'는 일본 여성 작가들의 단골 소재일까? '에쿠니 가오리'도 그렇고 이 글도 그렇고 다음에 나올 몇몇 글도 그렇고 '외도'의 관한 이야기다. 화자의 '유부남과 연애하는 두 친구'의 이야기다. 유부남과 연애하기에 골든위크, 연말, 크리스마스 같은 날에는 함께 할 수 없고, 결국 '연애 동맹'이라는 것을 만들어 그런 날을 함께 보내는 두 친구를 바라보며 '연애' 대한 짧은 생각이 담겨있다. '연애 동맹'이라는 이름이지만, 그 두 친구의 관계도 '연애'가 아닐까? 꼭 이성과만 '연애'할 수 있는 것은 아닐테니.

'이노우에 아레노'의 '돌아올 수 없는 고양이'. 역시 '외도'가 소재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그것이 이 소설의 주관심사는 아니다. 부인의 외도와 결국 헤어지기로 한 부부, 그 둘이 헤어지며 부인이 짐을 싸서 나가는 날에 벌어지는 이야기이다. 수년 만에 기록적인 강우는 부인의 발목을 잡는다. 남편에의해 구조된 옆집 고양이는 무엇을 의미할까? 결국 부부의 죽은 고양이, '테르'는 대신할 수 없듯, 두 사람의 사랑은 변했다는 것일까? 아니면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는 것일까?

'다니무라 시호'의 '이것으로 마지막'. 이 글도 '외도'와 약간 연관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그리고 다시, 우리 이야기'처럼 친구에 대한 이야기에 가깝다. 작가의 나이가 적어도 30대나 40대일텐데,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비치(bitch, 소설 속 그대로의 표현)'들의 이야기를 꽤나 재밌게 쓰고 있다. 그렇다고 우습거나 그런 이야기만은 아닌, '관계'와 '성장'에 대한 성찰이 담겨있다거 할까? 성장통을 지나 '어른'이 되어가는 주인공과 그런 성장통 속에서도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아이'로 남아 있으려는 친구에 대한 안타까움과 관계의 종말. 좋아하는 친구와 멀어지는 일은 어떤 이유에서든 언제나 아쉬운 일이다.

'후지노 지야'의 '빌딩 안'. 이제야 이 책의 제목인 '일곱 빛깔 사랑'에 어울릴 만한 '정상적'인 이야기가 나온다. 하지만 사랑이야기라기 보다는 '인간 관계'의 한 시작점에 대한 이야기라고 해야 옮겠다. 거리에서 우연히 묘한 행동을 하는 남자를 보게된 주인공이 그를 같은 빌딩 안의 다른 회사 직원임을 알아내고 우연을 가장하여 만나기까지의 과정을 담고 있는, 어떤 '시시한 연애담'의 시작이 될 수도 있는 이야기, 하지만 시시하다기보다는 소박하도 해야겠다. 이 후에 두사람은 연인이 되었을까? 아니면 그냥 친구가 되었으려나.

'미연'의 '해파리'. 작가의 이룸이 심상치 않은데, 책 앞쪽의 작가의 간단한 이력을 보면 '역시나 한국 출신임'을 알 수 있다. 작가가 디자인과 사진을 공부했다고 하는데, 그 영향인지 글이 상당히 시각적이고 감각적이다. 내용은 제목처럼, 바닷속을 유유히 떠다니는 '해파리'처럼 초현실적이기까지 하다. 한 편의 초현실주의 영화같다고 할까?

'유이카와 케이'의 '손바닥의 눈처럼'. 드디어 '진짜 사랑이야기'라고 할까? 애인 '료지'의 한 순간 실수를 참지 못하고 1년 후에 만나자고 한 주인공 '나오'와 료지와의 하룻밤 불장난을 한 애인 '다에코'을 보낸 '슌스케', 한 달의 한 번 두 사람의 만남과 연애에 대한 담론들로 이야기는 진행된다. 남자의 입장, 여자의 입장, 아마도 '그 남자 그 여자의 사정'. 눈에서 멀어지면 역시 마음에서 멀어지는 것일까? 하지만 그 끝을 만날 때 까지의 끊임 없는 탐색, 그것이 진짜 '연애의 본질'일까? 그래도 가장 훈훈한 결말을 보여주는, '순백의 사랑'.

정말 일본을 대표하는 작가들인지는 알 길이 없지만, 하나 하나가 재밌는 이야기들이다. (사실 '해파리'는 좀 난해한 점이 있어서 읽기 힘들었지만.) 이제 에쿠니 가오리외에 다른 일본 여성 작가들의 책도 하나 하나 찾아 읽어볼까? 결국 시간의 문제인가? 독서도, 연애도.

나는 새로운 장르의 음악을 들을 때는 잘 나가는 컴필레이션이나 샘플러를 찾아 들어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는 지론을 갖고 있다. 어쩌면 독서도 비슷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일곱 빛깔 사랑'같은 '컴필레이션'이라면 일본 소설 입문자들(?)에게 조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소중한 것을, 어떻게 하는 것이 진정 소중히 여기는 일인지, 그때 나오는 알지 못했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모든 것은 아마도 이 손바닥의 눈처럼 녹아버리고 말겠지.
그러고 싶지 않다면.
그러고 싶지 않다면.
2007/01/30 22:00 2007/01/30 22:00

캐비넷 싱얼롱스 in 1월 28일 클럽 빵

두 팀의 조인트에 이어 자연스레 이어지는 '캐비넷 싱얼롱스'의 공연. 흥겨운 폴카가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엄청난 상품(?)이었습니다. 바로 '어쿠스틱 기타'를 선물로 증정하였습니다.

본 공연은 좋았지만, 본 공연이 끝난 후 이어지는 파티(?)는 좀 아쉬웠습니다.

2007/01/30 15:28 2007/01/30 15:28

어배러투모로우 + 캐비넷 싱얼롱스 in 1월 28일 클럽 빵

이어서 오늘 공연의 주인공인 두 밴드. '어배러투모로우'와 '캐비넷 싱얼롱스'의 조인트 공연이 이어졌습니다. 공연에서도 좀 어수선한 분위기의 두 팀이 함께 무대에 오르니 더욱 어수선한 분위기가 연출되었습니다.

'아선생님'의 곡, '금자탑'을 두팀의 연주로 들으니 '아선생님'의 곡이라는 생각을 전혀 할 수 없었습니다. 그만큼 잘 어울렸다고 할까요?

2007/01/30 15:03 2007/01/30 15:03

어배러투모로우 in 1월 28일 클럽 빵

게스트의 공연이 끝나고 '어배러투모로우'가 먼저 올라왔습니다. 특이하게도 선곡을 관객들에게 부탁했습니다. 바로 어린시절 하던 '제비뽑기'랑 비슷하게요. 하지만 제비뽑기의 방향은 엉뚱하게 흘러갔습니다. 예로, 첫번째는 신나는 '고기반찬'이 뽑혔고, 두번째는 전혀 다른 분위기의, 잔잔한 '코끼리송'이 뽑혔습니다. 공연은 그렇게 흘러갔습니다.

공연 중에는 숫자가 적혀있는 삶은 달걀을 나누어주었고, 그 숫자는 선물 추첨의 번호였습니다. 선물은 재밌는 것들이었습니다. 이 추첨은 이어지는 '캐비넷 싱얼롱스'의 공연에서도 이어졌구요.

뭔가 왁자지껄하고 신나는 공연이었습니다. 홍일점 '복숭아'는 멘트를 잘 하기위해 공연 전에 음주까지 했다고 하니, 이 공연을 위해 얼마나 신경을 썼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2007/01/30 14:46 2007/01/30 14:46

부추라마 in 1월 28일 클럽 빵

28일 '빵'에서 있었던 기획 공연 '1월의 맞미가 소풍은 우리와 함께'. 흥겨운 음악을 들려주는 두 밴드, '캐비넷 싱얼롱스'와 '어배러투모로우'가 함께하는 공연이었습니다.

게스트가 한 팀있었는데 바로 '부추라마'였습니다. 처음 보는데, 참 '독특한' 팀이었습니다. 바닥에 앉는 점이나 사용되는 갖가지 도구들(?)도 그랬지만 그들이 들려주는 음악은 더 그랬습니다. 동요나 만화 주제가와 그것들의 '메들리'부터, 어린 시절하던 여러가지 놀이의 노래들까지... 정말 '알 수 없는 정신 세계'라고도 할까요?

2007/01/30 10:03 2007/01/30 10:03